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플립 러닝을 적용한 대학 의복구성 수업이 자기주도학습 및 실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clothing construction classes in universities applied with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actical ski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5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and develop a systematic guide to help in future applications to other hands-on classes. To this end, a study of 43 first-year fashion industry students performed a t-test of an appropriate sample using SPSS 26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ssess class structure. As a result, flipped learning, applied to practical subjects, has an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elf-study ability, and all th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lesson are well connected, improving the ability to solve complex problems. Therefore, practical subject designs with flipped learning suggest that assignments and activities before and after classes should be linked so that learners can broaden their learning domai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and develop a systematic guide to help in future applications to other hands-on classes. To this end, a study of 43 first-year fashion industry students performed a t-te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and develop a systematic guide to help in future applications to other hands-on classes. To this end, a study of 43 first-year fashion industry students performed a t-test of an appropriate sample using SPSS 26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ssess class structure. As a result, flipped learning, applied to practical subjects, has an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elf-study ability, and all th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lesson are well connected, improving the ability to solve complex problems. Therefore, practical subject designs with flipped learning suggest that assignments and activities before and after classes should be linked so that learners can broaden their learning domai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진,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운영 방식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0 (10): 85-114, 2011

      2 이경림,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 제안" 한국교육개발원 46 (46): 5-35, 2019

      3 이정주, "플립러닝을 적용한 헤어스타일 연출 수업의 몰입과 학습동기 효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5 : 353-367, 2018

      4 육경민, "플립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가정과 의생활 실습수업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99-420, 2019

      5 권구경,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4 (34): 407-439, 2018

      6 김희영, "플립러닝 적용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기본간호학회 24 (24): 265-276, 2017

      7 송연숙, "플립러닝 기반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9 (19): 147-172, 2020

      8 이소현,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실제 - 대학 학부 한국어 문법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 (11): 221-262, 2015

      9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3-92, 2013

      10 이기호, "프로젝트 기반 플립 러닝을 적용한 연출실습 수업 설계 및 운영" 한국연극교육학회 36 (36): 151-176, 2020

      1 김희진,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운영 방식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0 (10): 85-114, 2011

      2 이경림, "플립러닝형 패션디자인발상 교육모델 제안" 한국교육개발원 46 (46): 5-35, 2019

      3 이정주, "플립러닝을 적용한 헤어스타일 연출 수업의 몰입과 학습동기 효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5 : 353-367, 2018

      4 육경민, "플립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가정과 의생활 실습수업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99-420, 2019

      5 권구경,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4 (34): 407-439, 2018

      6 김희영, "플립러닝 적용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기본간호학회 24 (24): 265-276, 2017

      7 송연숙, "플립러닝 기반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9 (19): 147-172, 2020

      8 이소현,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실제 - 대학 학부 한국어 문법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 (11): 221-262, 2015

      9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3-92, 2013

      10 이기호, "프로젝트 기반 플립 러닝을 적용한 연출실습 수업 설계 및 운영" 한국연극교육학회 36 (36): 151-176, 2020

      11 김장현, "패션 실기 수업에 적용한 플립드 러닝의 교육적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497-508, 2020

      12 이애리, "코딩수업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플립드 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9 (9): 23-30, 2017

      13 최경은, "초등 실과 바느질수업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4 (14): 91-114, 2008

      14 최염숙, "초등 실과 바느질 단원의 모듈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5 (5): 33-46, 1999

      15 왕진, "중국 대학평생교육 참여자의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산둥성 S대학교 중심으로 -" 교육종합연구원 18 (18): 65-88, 2020

      16 서미옥, "잘 가르치기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공동체 2015

      17 정민승, "자기주도학습자론의 근대주의적 한계 비판" 10 : 1-18, 2004

      18 조성민, "음악교육에서의 스팻(SPAT)기반 플립러닝의 활용 사례연구: 드럼 전공실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30) : 143-160, 2017

      19 박준오, "실습교과 Flipped Learning 사례연구-‘재료와표현’교과목을 중심으로" 14 : 72-82, 2017

      20 국립국어원, "실습"

      21 김은경, "데이터베이스 교과목에서 플립러닝 적용 사례" 한국정보통신학회 20 (20): 847-856, 2016

      22 이수현, "대학에서 알고리즘 수업을 위한 거꾸로 학습 모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2 (22): 153-159, 2017

      23 이길재, "대학생의 교수·학습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829-849, 2017

      24 김진모, "대학 온라인 실시간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2 (52): 25-48, 2020

      25 조영재, "대학 교수자를 위한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 개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9

      26 강승묵, "기초 3D 그래픽 교과에 대한 플립드 러닝 적용 효과 분석"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 (19): 460-468, 2016

      27 신혜원, "가정과교육에서 손바느질 실습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127-139, 2018

      28 Gannod, G., "Using the inverted classroom to teach software engineering" 777-786, 2008

      29 Gibbons, M., "The self-directed learning handbook: Challenging adolescent students to excel" John Wiley & Sons 2003

      30 Houle, C. O., "The Inquiring Mind"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31 Anwnw-Okeakwa, J. E.,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Strategy in Clothing Construction and Alteration" 1-8, 2004

      32 Devona, D., "Teaching Apparel Construction Using a Flipped Classroom Approach" 111 (111): 59-60, 2019

      33 Phillips, C. R., "Millennial students and the flipped classroom" 5 (5): 102-112, 2014

      34 이종연,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13-323,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종합연구소 -> 교육종합연구원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71 2.408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