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개혁주의 윤리신학의 형태와 구조를 신학적인 측면과 교회론적인 측면이라는 두 가지로 넓게 구분하여 추적한다. 신학적인 측면에서는 개혁주의 윤리신학의 멜란히톤(Melanchthon), 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5021
2025
Korean
개혁주의 윤리신학 ; 윤리 ; 십계명 ; 피에르 드 라 플라스 ; 아미라우트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 ; Reformed Moral Theology ; ethics ; Decalogue ; Pierre de la Place ; Amyraut ; Heidelberg Catechism ; Westminster Standards
231
학술저널
67-96(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개혁주의 윤리신학의 형태와 구조를 신학적인 측면과 교회론적인 측면이라는 두 가지로 넓게 구분하여 추적한다. 신학적인 측면에서는 개혁주의 윤리신학의 멜란히톤(Melanchthon), 찰...
연구는 개혁주의 윤리신학의 형태와 구조를 신학적인 측면과 교회론적인 측면이라는 두 가지로 넓게 구분하여 추적한다. 신학적인 측면에서는 개혁주의 윤리신학의 멜란히톤(Melanchthon), 찰스 호지(Hodge), 윌리엄 에임스(Ames), 아미라우트(Amyraut), 피에르 드 라 플라스(Pierre de la Place)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의 업적을 통해 살펴본다. 특히 개혁주의 윤리신학에 아미라우트는 십계명, 자연법, 그리고 도덕법의 중요 연관성으로 기여를 했다. 라 플라스는 도덕 철학과 비교하여 윤리신학의 구별성과 우월성을 이야기 하면서 도덕 철학의 많은 부분이 저연법적으로 올바를 수 있고 윤리신학과 상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신학적 관점에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 나타나는 윤리신학의 체계를 언급한다. 교회론적 측면에서 특별히 개혁주의 기독교인들은 학문적 이정표 뿐만 아니라 설교, 주석, 참회 수첩(penitential manuals), 공의회 결정과 같은 교회에서 생산되고 교회를 위해 만들어진 자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한다. 저자에 의하면 개혁주의 윤리신학은 신학적이고 교회론적인 학문이고 십계명을 우선순위로 삼고, 성경이 주요한 원천이라는 것을 근거로 한다. 십계명의 두 표는 윤리신학과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에 관한 두 가지 가장 큰 계명에 대한 관계를 보여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벨기에의 도시 안트베르펜(Antwerpen)에서의 추억
새 예루살렘의 영광: 요한계시록 21:9-27을 중심으로
빌닷의 두 번째 연설에 대한 욥의 응수 해석1 - 욥기 19장의 분석과 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