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꽃차용 꽃 추출물의 구강위생균에 대한 항균특성 =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lower Tea Extracts against Oral Bacter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34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flower tea activity against oral bacteria. Lagerstroemia indica, Paeonia suffruticosa and Hemerocallis fulva showed high extract yields. Bellis perennis, Punica granatum and Cercis chinensis showed the high rates of yield by...

      In this study, we analyzed flower tea activity against oral bacteria. Lagerstroemia indica, Paeonia suffruticosa and Hemerocallis fulva showed high extract yields. Bellis perennis, Punica granatum and Cercis chinensis showed the high rates of yield by ethanol extraction. Extract yield seemed to b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rather than to the solvent.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obrinu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Prevotella intermedia were used to investigate extracts activity against bacteria; the former two cause dental caries and the latter two cause halitosis. Cornus officinalis, L. indica, P. granatum and P.s uffruticosa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 mutans. In specimens extracted with ethanol, P. suffruticosa, Camellia sinensis, Camellia japonica L. and Rosa hybrida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L. indica, P. granatum and C. officinalis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 sobrinus. C. officinalis, P. granatum, L. indica and P. suffruticosa showed high activities for specimens extracted with ethanol. The results show that the warm extracts of C. officinalis, L. indica and P. granatum may be effective to prevent dental caries. In particular, the ethanol-based extracts of C. officinalis, P. suffruticosa and C. sinensis were effective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thus may be highly marketable. Chrysanthemum zawadskii, R. hybrida, P. granatum, C. japonica L. and Zinnia elegans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gingivalis. R. hybrida showed the highest ethanol extract activity, followed by P. suffruticosa, P. granatum, C. japonica L. and L. indica. R. hybrida, P. granatum, C. morifolium and C. japonica showed high activity against Pr.intermedia in the order named. C. zawadskii, P. granatum, L. indica, C. japonica and A. princeps showed high ethanol extract activity. Thus, the warm extracts of R. hybrida, P. granatum and C. japonica may be helpful to reduce halitosis. In addition, the ethanol-based extracts of P. granatum, C. japonica and L. indica are expected to be highly marketable as mouthwash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희, "화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기호도 연구" 한국차학회 15 (15): 47-57, 2009

      2 조경숙, "향차와 화차"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5 (5): 7-58, 2002

      3 최인욱, "항충치효과를 가진 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221-1225, 2003

      4 권현정, "한국인의 구취에 대한 자가 인식과 관련인자" 대한구강보건학회 32 (32): 231-242, 2008

      5 박승우, "진달래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인체 KB cell에 대한 세포독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501-505, 2006

      6 최성희, "전통차, 허브차 한잔에 담긴 건강 마시기" 중앙생활문화사 17-18, 2004

      7 이혜란, "장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향균성" 한국식품과학회 35 (35): 373-378, 2003

      8 이연자, "우리차 우리꽃차" 랜덤하우스중앙(주) 2005

      9 박윤점, "식용꽃 10 종류의 화학성분분석" 한국화훼학회 14 (14): 211-217, 2006

      10 송희자, "마음 맑은 우리 꽃차" 아카데미북 2006

      1 김경희, "화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기호도 연구" 한국차학회 15 (15): 47-57, 2009

      2 조경숙, "향차와 화차"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5 (5): 7-58, 2002

      3 최인욱, "항충치효과를 가진 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221-1225, 2003

      4 권현정, "한국인의 구취에 대한 자가 인식과 관련인자" 대한구강보건학회 32 (32): 231-242, 2008

      5 박승우, "진달래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인체 KB cell에 대한 세포독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501-505, 2006

      6 최성희, "전통차, 허브차 한잔에 담긴 건강 마시기" 중앙생활문화사 17-18, 2004

      7 이혜란, "장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향균성" 한국식품과학회 35 (35): 373-378, 2003

      8 이연자, "우리차 우리꽃차" 랜덤하우스중앙(주) 2005

      9 박윤점, "식용꽃 10 종류의 화학성분분석" 한국화훼학회 14 (14): 211-217, 2006

      10 송희자, "마음 맑은 우리 꽃차" 아카데미북 2006

      11 이숙영, "동백나무 잎과 꽃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3 (13): 93-100, 2005

      12 유정식, "덖음 횟수에 따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꽃차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47-652, 2008

      13 김규원, "꽃차용꽃의문헌을통한한의학적효능분석" 한국화훼학회 16 (16): 93-101, 2008

      14 제순자, "꽃차와 꽃음식" 세종출판사 12-31, 2008

      15 박윤점, "꽃차 개발을 위한 차 관련 국내 특허정보 분석" 한국화훼학회 13 (13): 313-320, 2005

      16 장미란, "국화 꽃 휘발성 향기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작용"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154-161, 2010

      17 이선영, "구강 내 세균에 대한 Essential oil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36 (36): 1-11, 2009

      18 신영자, "감국의 이화학적 성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46-151, 2004

      19 류성용, "Witch hazel(Hamamelis virginiana)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3 (33): 159-166, 2008

      20 Choi SH, "Studies of flavor components of commercial Korean green tea. Korean" 23 : 98-101, 1991

      21 Zaika LL, "Spices and herbs: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s determination" 9 : 97-102, 1988

      22 Kim HJ, "Development of tea using flower and young leaf of oriental Cherry (Prunus serrulata Lindl. var. spontanea Max.)"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2005

      23 Cho KS, "Development of functional flower tea using Chrysanthemum indicum and Rosa hybrida. I. Physiochemical properties before and after flower tea processing" 2 (2): 1-7, 1999

      24 Cho KS, "Development of functional flower tea using Chrysanthemum indicum and Rosa hybrida II Quality characteristics of flower tea" 2 (2): 8-16, 1999

      25 Cho KS, "Development of flower tea using a variety of flowersⅠ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lower tea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by flower material" 6 (6): 85-93, 2000

      26 Cho KS, "Development of flower tea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by green tea and flower" 6 (6): 95-108, 2000

      27 김백일, "Curcuma xanthorrhiza 추출물 및 함유 치약의 구취 억제 효과와 구강 유해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 29 (29): 222-237, 2005

      28 Kim CM, "Chemical change of major tea constituents during tea manufacture" 12 : 99-104, 1983

      29 Lee DS, "Characterization of flavors from Rose Bud tea" 20 : 103-106, 2008

      30 Jang DS, "Antibacterial Substances of the Flower of Chrysanthemum zawadsRii Herbich var Iatilobum Kitamurs" 40 (40): 85-88,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4-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KCI등재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6 2.01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