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86세대와 세대단위로서의 학생운동가 집단: 민주화 30년과 세대효과 = 86-Generation and Studuent Activist Group as a Generation-Units: 30 Years of Democratization and Generation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garding the generation effect of the 86-generation of June-democracy movement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 hypothesis that the generation effect of Maanheim’s theory may be confined to the generation-units, while the generation in actuality is not free from the pressure of life cycle. With survey data drawn from both 86-generation citizens and activists of the National Council of Student Representatives, this paper suggests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generation effects are conditional depending on variables’ type and traits. Second, confirming our hypothesis, the consistency of generation effects is found in the generation-units, not generation in actuality.
      번역하기

      Regarding the generation effect of the 86-generation of June-democracy movement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 hypothesis that the generation effect of Maanheim’s theory may be confined to the generation-units, while the generation in actuality is ...

      Regarding the generation effect of the 86-generation of June-democracy movement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 hypothesis that the generation effect of Maanheim’s theory may be confined to the generation-units, while the generation in actuality is not free from the pressure of life cycle. With survey data drawn from both 86-generation citizens and activists of the National Council of Student Representatives, this paper suggests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generation effects are conditional depending on variables’ type and traits. Second, confirming our hypothesis, the consistency of generation effects is found in the generation-units, not generation in actu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86세대의 세대효과와 관련하여 세대효과가 세대단위에 국한된 현상일지 모르며 실제세대는 생애주기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의 검증을 위해 2017년 5월 대선의 유권자 정치의식조사와 과거 전대협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한 정치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세대와 세대단위를 구분하고 세대효과를 정당, 이념 및 정책, 정치참여 변수들을 통해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첫째, 86세대의 세대효과는 연령효과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변수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조건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17년의 대선의 경우 진보적 쟁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진보정당에 대한 호감도와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 86세대의 세대효과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세대인 86세대의 정치 정체성은 연령에 따른 보수화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둘째, 전대협활동가로 정의된 86세대의 세대단위는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의 정치의식과 진보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고 세대효과는 실제세대보다는 세대단위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86세대의 세대효과와 관련하여 세대효과가 세대단위에 국한된 현상일지 모르며 실제세대는 생애주기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의 검증을 위해 2...

      이 글은 86세대의 세대효과와 관련하여 세대효과가 세대단위에 국한된 현상일지 모르며 실제세대는 생애주기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의 검증을 위해 2017년 5월 대선의 유권자 정치의식조사와 과거 전대협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한 정치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세대와 세대단위를 구분하고 세대효과를 정당, 이념 및 정책, 정치참여 변수들을 통해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첫째, 86세대의 세대효과는 연령효과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변수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조건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17년의 대선의 경우 진보적 쟁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진보정당에 대한 호감도와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 86세대의 세대효과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세대인 86세대의 정치 정체성은 연령에 따른 보수화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둘째, 전대협활동가로 정의된 86세대의 세대단위는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의 정치의식과 진보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고 세대효과는 실제세대보다는 세대단위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대엽, "한국의 사회운동세대, 386" (가을) : 124-147, 2002

      2 정진민, "한국선거에서의 세대 요인" 26 (26): 145-167, 1992

      3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4 박원호, "한국 유권자의 선택 1: 2012 총선" 아산정책연구원 [서울] 2012

      5 정진민, "한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세대: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22, 2012

      6 전상진, "한국 세대사회학의 현주소" 39 (39): 215-228, 2005

      7 노환희, "한국 선거에서의 세대 효과: 1997년부터 2012년까지의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2 (12): 113-140, 2013

      8 이지호, "탄핵광장의 안과 밖: 촛불민심 경험분석" 도서출판 책담 2017

      9 최준영,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 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375-394, 2005

      10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5 (15): 123-152, 2009

      1 조대엽, "한국의 사회운동세대, 386" (가을) : 124-147, 2002

      2 정진민, "한국선거에서의 세대 요인" 26 (26): 145-167, 1992

      3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4 박원호, "한국 유권자의 선택 1: 2012 총선" 아산정책연구원 [서울] 2012

      5 정진민, "한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세대: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22, 2012

      6 전상진, "한국 세대사회학의 현주소" 39 (39): 215-228, 2005

      7 노환희, "한국 선거에서의 세대 효과: 1997년부터 2012년까지의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2 (12): 113-140, 2013

      8 이지호, "탄핵광장의 안과 밖: 촛불민심 경험분석" 도서출판 책담 2017

      9 최준영,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 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375-394, 2005

      10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5 (15): 123-152, 2009

      11 박길성, "왜 세대인가" (가을) : 8-27, 2002

      12 이내영, "세대정치의 등장과 지역주의" 아세아문제연구소 46 (46): 283-309, 2003

      13 허석재, "세대와 생애주기에 따른 이념 변화 : 세계가치관조사 한국자료 분석(1990-2010)" 한국정치학회 51 (51): 181-205, 2017

      14 박재흥, "세대연구의 이론적ㆍ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회 24 (24): 47-78, 2001

      15 박재흥,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비판사회학회 (81) : 10-34, 2009

      16 전상진, "세대경쟁과 정치적 세대 독일 세대논쟁의 88만원 세대론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20 (20): 127-150, 2010

      17 강원택, "세대, 이념과 노무현 현상" (가을) : 89-102, 2002

      18 전상진,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세대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학회 38 (38): 31-52, 2004

      19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20 정진민,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33 (33): 115-134, 1999

      21 Mannheim, Karl,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22 이내영, "6․2 지방선거와 세대균열의 부활" EAI 2010

      23 오세제, "386세대의 조건적 세대효과: 이념성향과 대선투표를 대상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199-230, 2014

      24 오세제, "386세대 세대효과의 특징 연구 -세대효과의 조건적 표출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25 (25): 133-164, 2015

      25 박명호, "2008 총선에서 나타난 세대 효과와 연령 효과에 관한 분석: 386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8 (8): 65-86, 2009

      26 박병영, "1980년대 민주화운동 세대의 정치적 정체성"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1 (31): 81-10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1 1.25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