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적기업 정책 10년의 평가와 개선과제 = An Evaluation of Koeran Social Enterprise Policy for 10 years and A Proposal of New Agend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valuate social enterprise policy during the last 10-year period in Korea and to propose new agenda for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Nowadays quantitative growth of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has slowed down and this problem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Korean certification system for social enterprises. The structure of governmental support budget has been improved in some respects.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wage subsidy has decreased and various support tool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support tools are fragmented and dual goals of wage subsidy lead to failure of social value maxim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we propose new agenda which include the promotion of stakeholder's policy participation, introduction of new legal personality for social enterprise and simultaneous repeal of governmental certification system, the redesign of support policy for social value maximization and improvement of linkage between support tool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valuate social enterprise policy during the last 10-year period in Korea and to propose new agenda for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Nowadays quantitative growth of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has slowed down and this problem is...

      This study is to evaluate social enterprise policy during the last 10-year period in Korea and to propose new agenda for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Nowadays quantitative growth of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has slowed down and this problem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Korean certification system for social enterprises. The structure of governmental support budget has been improved in some respects.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wage subsidy has decreased and various support tool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support tools are fragmented and dual goals of wage subsidy lead to failure of social value maxim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we propose new agenda which include the promotion of stakeholder's policy participation, introduction of new legal personality for social enterprise and simultaneous repeal of governmental certification system, the redesign of support policy for social value maximization and improvement of linkage between support t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이후 10년간의 정부의 사회적기업육성정책 및 법제도 환경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기업의 저변이 확대된 과정에서 인증사회적기업의 양적 성장이 정체되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인증제도 및 이를 보완하는 정책의 한계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인건비 지원에 치중된 예산의 구조는 개선되고 다양한 지원수단이 개발되었으나 지원수단의 연계는 미비한 상황이다. 인건비 지원 사업이 기업지원 요소와 노동통합 요소가 결합되어 있어 사회적 가치 극대화로 연결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사회적기업 정책 수립에서 당사자의 참여 및 주도성을 강화하고, 사회적기업 법인격을 신설하면서 현행 인증제를 등록제로 전환하고, 사회적 가치 극대화를 위한 지원정책의 재설계를 추진하고 정책 설계 및 집행에서 민간과 공공의 역할 재배치 및 지원수단의 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향후 10년의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이후 10년간의 정부의 사회적기업육성정책 및 법제도 환경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기업의 저변이 확대된 과정에서 인...

      이 글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이후 10년간의 정부의 사회적기업육성정책 및 법제도 환경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기업의 저변이 확대된 과정에서 인증사회적기업의 양적 성장이 정체되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인증제도 및 이를 보완하는 정책의 한계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인건비 지원에 치중된 예산의 구조는 개선되고 다양한 지원수단이 개발되었으나 지원수단의 연계는 미비한 상황이다. 인건비 지원 사업이 기업지원 요소와 노동통합 요소가 결합되어 있어 사회적 가치 극대화로 연결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사회적기업 정책 수립에서 당사자의 참여 및 주도성을 강화하고, 사회적기업 법인격을 신설하면서 현행 인증제를 등록제로 전환하고, 사회적 가치 극대화를 위한 지원정책의 재설계를 추진하고 정책 설계 및 집행에서 민간과 공공의 역할 재배치 및 지원수단의 연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향후 10년의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대명, "한국 사회적경제의 진단과 과제" 고용노동부 2015

      2 김혜원, "사회적기업의 생존과 성장" 고용노동부 2014

      3 김혜원, "사회적기업의 노동통합 성과 분석 - 인건비 지원 종료 사건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31-60, 2017

      4 김혜원, "사회적기업을 위한 새로운 법인격의 구상" 고용노동부 2011

      5 김혜원, "사회적기업을 위한 새로운 법인격: 쟁점과 대안"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93-130, 2017

      6 황승화, "사회적기업 제도개선 과제 발굴" 고용노동부 2011

      7 김혜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중기 재정 투자 방향"

      8 예산정책처,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평가" 예산정책처 2012

      9 이인재, "사회적기업 육성 정책 평가 및 과제" 고용노동부 2014

      10 박도영, "사회적기업 교육 표준(안)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5

      1 노대명, "한국 사회적경제의 진단과 과제" 고용노동부 2015

      2 김혜원, "사회적기업의 생존과 성장" 고용노동부 2014

      3 김혜원, "사회적기업의 노동통합 성과 분석 - 인건비 지원 종료 사건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31-60, 2017

      4 김혜원, "사회적기업을 위한 새로운 법인격의 구상" 고용노동부 2011

      5 김혜원, "사회적기업을 위한 새로운 법인격: 쟁점과 대안"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93-130, 2017

      6 황승화, "사회적기업 제도개선 과제 발굴" 고용노동부 2011

      7 김혜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중기 재정 투자 방향"

      8 예산정책처,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평가" 예산정책처 2012

      9 이인재, "사회적기업 육성 정책 평가 및 과제" 고용노동부 2014

      10 박도영, "사회적기업 교육 표준(안)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5

      11 김혜원, "사회적경제의 주요 내용요소 구성안"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5

      12 황덕순, "사회적 경제 이슈와 쟁점 연구" 고용노동부 2015

      13 양세훈, "마을기업 발전방안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원 2013

      14 Monzón, Jose Luis, "Recent evolutions of the Social Economy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2017

      15 기획재정부, "2차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 발표"

      16 이철선, "2015년 협동조합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17 중앙자활센터, "2015 자활백서"

      18 길현종, "2014 사회적기업 성과 분석 : 기초분석"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5

      19 길현종, "2013 사회적기업 성과 분석 : 기초분석"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1 1.25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