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국의 고령화 상황과 고령정책 = Aging and Aging Policy in the United 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United States, the aging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began earlier than we did, and since the 1960s, it has actively responded to aging. In the course of such social changes, the need for the paradigm shift of aging policies in the area of government policy and civil society is raised with the aging of baby boomers, and discussions and experiments are under way. This paper introduces the aging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aging policie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examine the system and policies to cope with the poverty problem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situation of the aged labor market, and the phased retirement. In this way, we examin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alternatives in our society where the poverty of the elderly becomes a serious social problem.
      번역하기

      In the United States, the aging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began earlier than we did, and since the 1960s, it has actively responded to aging. In the course of such social changes, the need for the paradigm shift of aging policies in the area of go...

      In the United States, the aging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began earlier than we did, and since the 1960s, it has actively responded to aging. In the course of such social changes, the need for the paradigm shift of aging policies in the area of government policy and civil society is raised with the aging of baby boomers, and discussions and experiments are under way. This paper introduces the aging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aging policie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examine the system and policies to cope with the poverty problem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situation of the aged labor market, and the phased retirement. In this way, we examin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alternatives in our society where the poverty of the elderly becomes a serious social probl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은 우리보다 일찍 베이비부머의 고령화를 맞고 있으며 1960년대 이후 고령화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이루어진 사회이다. 그런 가운데 베이비부머의 고령화를 맞아 정부정책이나 시민사회의 영역에서 고령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이를 위한 논의와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고령화 상황과 고령정책을 소개한다. 특히 고령인구의 경제적 상황에 초점을 맞춰 고령인구의 빈곤문제에 대응하는 제도와 정책, 그리고 고령 노동시장 상황, 단계적 은퇴 등을 살펴봄으로써 노인빈곤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기 시작한 우리사회에서 대안마련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번역하기

      미국은 우리보다 일찍 베이비부머의 고령화를 맞고 있으며 1960년대 이후 고령화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이루어진 사회이다. 그런 가운데 베이비부머의 고령화를 맞아 정부정책이나 시민사...

      미국은 우리보다 일찍 베이비부머의 고령화를 맞고 있으며 1960년대 이후 고령화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이루어진 사회이다. 그런 가운데 베이비부머의 고령화를 맞아 정부정책이나 시민사회의 영역에서 고령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이를 위한 논의와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고령화 상황과 고령정책을 소개한다. 특히 고령인구의 경제적 상황에 초점을 맞춰 고령인구의 빈곤문제에 대응하는 제도와 정책, 그리고 고령 노동시장 상황, 단계적 은퇴 등을 살펴봄으로써 노인빈곤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기 시작한 우리사회에서 대안마련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건화, "한국경제와 사회적 경제 ,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긴장과 화해" 돌베개 2016

      2 김주섭, "정년제도의 미국과 영국 사례" 한국노동연구원 2012

      3 고용노동부, "장년고용종합대책"

      4 정건화, "우리사회 고령화문제와 그 해법으로서의 사회적 경제" 25 : 2016

      5 통계청,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2015

      6 정건화, "미국 베이비 부머의 고령화: 시니어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플러스재단 2016

      7 국회입법조사처, "고령자 일자리 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향" 2010

      8 UN, "World Population Ageing"

      9 Brookings Institute, "Two Solutions to the Challenges of Population Aging"

      10 Cameron, J., "The Contribution of Community Enterprises to the Development of Regions" 2008

      1 정건화, "한국경제와 사회적 경제 ,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긴장과 화해" 돌베개 2016

      2 김주섭, "정년제도의 미국과 영국 사례" 한국노동연구원 2012

      3 고용노동부, "장년고용종합대책"

      4 정건화, "우리사회 고령화문제와 그 해법으로서의 사회적 경제" 25 : 2016

      5 통계청,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2015

      6 정건화, "미국 베이비 부머의 고령화: 시니어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플러스재단 2016

      7 국회입법조사처, "고령자 일자리 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향" 2010

      8 UN, "World Population Ageing"

      9 Brookings Institute, "Two Solutions to the Challenges of Population Aging"

      10 Cameron, J., "The Contribution of Community Enterprises to the Development of Regions" 2008

      11 WHO, "Preventing suicide: A global imperative"

      12 Population Reference Bureau, "Population Bulletin 70-2"

      13 Hutchens, R., "Phased Retirement Policies: A Report on Key Findings" 2003

      14 Georgetown University Law Center, "Phased Retirement Data Sheet, Workplace Flexibility 2010"

      15 The Sloan Center for Flexible Work Options and Older Workers at Boston College, "Perspectives: Aligning Business Needs with Older Workers’ Preferences and Priorities"

      16 OECD, "Pensions at a Glance 2013: OECD and G20 Indicators"

      17 GAO, "Older Workers: Labor Can Help Employers and Employees PlanBetter for the Future, Report to Congressional Committees"

      18 OECD, "OECD Better Life Initiative, How's Life?"

      19 Pew Research Center, "More older Americans are working, and workingmore, than they used to"

      20 Harper Sarah, "International Handbook on Ageing and Public Policy" Univ. of Oxford Press 2016

      21 National Council on Ageing, "Infographic: The 2015 United States of Aging Survey"

      22 Civic Ventures, "Choices: Purpose, Passion and a Paycheck In a Tough Economy"

      23 McKinsey Global Institute, "Beyond Korean style: Shaping a new growth formula" 2013

      24 Transamerica Center for Retirement Studies, "Baby Boomer Workers Are Revolutionizing Retirement: Are They and Their Employer Ready?"

      25 AARP, "Attitudes of Individuals 50 and Older Toward PhasedRetirement"

      2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5 White House Conference on Agin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1 1.25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