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김운초(金雲楚)와 류여시(柳如是)한시 표현수법의 비교연구 -색채어, 전고와 역사인물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86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색채어, 전고와 역사인물 등 세 가지로 나누어 한・중 기녀시인 김운초와 류여시 한시의 표현수법을 비교하였다.
      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두 시인의 한시 작품에 모두 색채어의 활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자극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푸른색과 붉은색의 대조적 사용을 선호하고, 색채와 무관하지만 차대의 수법으로 시적 미감을 더하는 것이 두 시인의 공통점이다. 그러나 김운초가 차분한 푸른색 계열을 많이 사용한 것이 김운초가 붉은 색 계열을 많이 사용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그리고 김운초가 자연 경물이나 산수 자체를 묘사하는데 색채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 류여시는 시에서 색채의 대조를 통해 감정을 부각시킨다.
      전고의 사용에 있어서 김운초가 선계 동경 사상을 풍기는 전고와 지음 관계를 비유하는 백아와 자기 전고를 많이 사용하는 데 비해 류여시는 불변의 사랑을 추구하는 전고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운초는 연천과의 관계를 지기로 생각하고, 류여시는 진자룡(陳子龍)을 연인으로, 전겸익(錢謙益)을 지기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시인의 시에 등장한 역사인물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김운초의 시에 등장한 남성 역사인물들은 주로 기녀와 관련이 있는 대문장가(大文章家)로 김운초가 기녀 신분임에도 자신의 시재를 알아준 남성 시인을 이상형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류여시의 시에 등장한 남성 역사인물은 대문호(大文豪), 지혜와 모략(謀略)이 뛰어난 남성, 협객, 애국지사, 은사 등 다양한데, 대체로 류여시는 문무를 겸비한 남성, 특히 애국심이 강한 남성을 이상형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시인의 시에 등장한 여성 역사인물을 보면 김운초는 자신을 평범한 여성보다 여성시인으로 생각하고 문학적 성취를 추구했고, 류여시는 자신을 남성의 사랑을 받고 싶은 여성, 일편단심의 여성으로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표현수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사실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난 의식에서도 선명하게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차이점이 생긴 원인에 대해 개인적 성격, 생활배경, 사회적 배경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분석해보았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색채어, 전고와 역사인물 등 세 가지로 나누어 한・중 기녀시인 김운초와 류여시 한시의 표현수법을 비교하였다. 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두 시인의 한시 작품에 모두 색채어의...

      본 논문에서는 색채어, 전고와 역사인물 등 세 가지로 나누어 한・중 기녀시인 김운초와 류여시 한시의 표현수법을 비교하였다.
      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두 시인의 한시 작품에 모두 색채어의 활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자극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푸른색과 붉은색의 대조적 사용을 선호하고, 색채와 무관하지만 차대의 수법으로 시적 미감을 더하는 것이 두 시인의 공통점이다. 그러나 김운초가 차분한 푸른색 계열을 많이 사용한 것이 김운초가 붉은 색 계열을 많이 사용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그리고 김운초가 자연 경물이나 산수 자체를 묘사하는데 색채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 류여시는 시에서 색채의 대조를 통해 감정을 부각시킨다.
      전고의 사용에 있어서 김운초가 선계 동경 사상을 풍기는 전고와 지음 관계를 비유하는 백아와 자기 전고를 많이 사용하는 데 비해 류여시는 불변의 사랑을 추구하는 전고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운초는 연천과의 관계를 지기로 생각하고, 류여시는 진자룡(陳子龍)을 연인으로, 전겸익(錢謙益)을 지기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시인의 시에 등장한 역사인물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김운초의 시에 등장한 남성 역사인물들은 주로 기녀와 관련이 있는 대문장가(大文章家)로 김운초가 기녀 신분임에도 자신의 시재를 알아준 남성 시인을 이상형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류여시의 시에 등장한 남성 역사인물은 대문호(大文豪), 지혜와 모략(謀略)이 뛰어난 남성, 협객, 애국지사, 은사 등 다양한데, 대체로 류여시는 문무를 겸비한 남성, 특히 애국심이 강한 남성을 이상형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시인의 시에 등장한 여성 역사인물을 보면 김운초는 자신을 평범한 여성보다 여성시인으로 생각하고 문학적 성취를 추구했고, 류여시는 자신을 남성의 사랑을 받고 싶은 여성, 일편단심의 여성으로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표현수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사실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난 의식에서도 선명하게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차이점이 생긴 원인에 대해 개인적 성격, 생활배경, 사회적 배경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분석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만, "한국의 색" 일진사 2005

      2 김지용, "운초의 시와 문학세계" 삼정회 1996

      3 박무영, "여성적 말하기와 기녀 한시의 전략" (2) : 1999

      4 김용훈, "색채 매카니즘" 법문사 1998

      5 金雲楚, "雲楚奇玩" 國立中央圖書館

      6 박영민, "雲楚, 관기와 기생첩의 경계에 선 하위주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1 (11): 237-278, 2005

      7 金呂珠, "金雲楚의 漢詩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8 진용호, "金雲楚詩文學研究" 동아대학교 2005

      9 金履陽, "金履陽文集" 國立中央圖書館

      10 朱光潛, "談美書簡" 江蘇文藝出版社 2007

      1 이재만, "한국의 색" 일진사 2005

      2 김지용, "운초의 시와 문학세계" 삼정회 1996

      3 박무영, "여성적 말하기와 기녀 한시의 전략" (2) : 1999

      4 김용훈, "색채 매카니즘" 법문사 1998

      5 金雲楚, "雲楚奇玩" 國立中央圖書館

      6 박영민, "雲楚, 관기와 기생첩의 경계에 선 하위주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1 (11): 237-278, 2005

      7 金呂珠, "金雲楚의 漢詩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8 진용호, "金雲楚詩文學研究" 동아대학교 2005

      9 金履陽, "金履陽文集" 國立中央圖書館

      10 朱光潛, "談美書簡" 江蘇文藝出版社 2007

      11 林書堯, "色彩學槪論" 力文出版社 1963

      12 劉淸瀅, "獨立之路與依附之結 – 明末淸初歌妓詩人硏究(以柳如是爲例" 京師範大學 2005

      13 劉燕遠, "柳如是集詩詞評注" 北京古籍出版社 2000

      14 周書田, "柳如是集" 中國美術學院出版社 1999

      15 陳寅恪, "柳如是別傳" 三聯書店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