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사암의 역사 문화적 가치에 대한 고찰 = A Review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 Seon-sa Hermi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9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Daegu area, there are two main cultural heritages originated in Chiwon Choi(崔致遠). The first one is the Palgak-deungru-Gi(Records)(八角燈樓記) for the Hoguk-Seong(Fortress)(護國城)[also called Geomdan-Toseong(Earthen Fortress)] in Suchang-Gun(郡 province) in the age of Silla(新羅) Dynasty, and the other is Seyeon-Ji(Pond)(洗硯池), Nanga-Dae(Pavilion)(欄柯臺), and Mureung- Kyo (Bridge)(武陵橋) in the area around the Seon-sa Hermitage(仙槎菴).
      Leegang Seowon(Academy)(伊江書院) was built in 1636 (14th year of the King Injo) in the prehistoric ruins where Chi-won Choi visited in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Already in 1587 (20th year of the King Seonjo), however,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Leegang Seowon,Sacheol Jeong(鄭師哲)had established the Seonsa Seojae(Study-Library Room)(仙槎書齋) in the same place. This Library had been a ruin during the Imjin War, and it came to be rebuilt by Sawon Seo(徐思遠) in 1599 (32th year of the King Seonjo) turning it into Study Room calld Seonsa-Jae(仙査齋). The words, ‘仙槎’ and ‘仙査’ both, pronounced the same ‘seonsa’, are related to the same meaning, ‘raft’, that is, a raft-boat on which the demi-gods ride. It had been nominated Seonsa(仙槎) in the period of Chiwon Choi, but by the days Sawon Seo lived and after, it was called ‘Seonsa(仙査)’.
      The traces of Chiwon Choi's visit in the Seon-sa Hermitage, Saeyeon-Ji, Nanga-Dae, and Mureung-Gyo are clearly proved in 『Sh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Daegbbu Eupji(Village anthology)(大丘府邑誌)』, and 『Daegu Eupji(Village Anthology)(大丘邑誌)』. Also, in Hee-ji Yang's 『Daebong- Jip(Anthology)(大峯集)』 and Moonhae Kwon's 『Chogan-Jip(Anthology)(草澗集)』, poems referring to Seon-sa Hermitage, Seyeon-Ji, and Nanga-Dae are intraduced. Besides, poems about Seonsa Hermitage and Nanga-Dae appear in the Seon-sa Tmeple(仙槎寺) composed by Jongjik Kim(金宗直) and the Seohobyeung- Sipgok(Ten-Songs)(西湖屛十曲) by Seokgyu Do(都錫珪). Poems were composed of about Nanga-Dae, Mureung-Gyo, and Seyeon-Ji where Chiwon Choi had visited, and on the basis of which 『Geumho-Seonsa Seon-yu-do(Boat-Riding Picture)(琴湖仙査船遊圖)』 came to be drawn. This Seon-yu-do is a painting, where 23 people, including Hyeon-gwang Jang(張顯光) and Daero Yeo(呂大老), were invited by Sawon Seo to go boat-riding in commemo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Wanrak- Jae(Study Room)(玩樂齋). As such, Sensa Rock has been a famous place from which numerous literary works as well as paintings originated.
      Sawon Seo(徐思遠) remembers Go-Un(孤雲, Nickname of Chiwon Choi), Chiwon Choi,in his writing under the title, Seon-sa(仙査) in Nakjae-Seonsen- Munjip(Anthology)(樂齋先生文集), transmitting the facts on Seyeon-Ji and Nanga-Dae as a form of poetry. These poems by Sawon Seo played a major role in spreading the memories of the ruined Seon-sa Hermitage and the forgotten Chiwon Choi to the world. In 14th year of the King Injo (1636), 21 years after the death of Sawon Seo. Leegang-Seowon was to be rebuilt on the site of a Seon-sa Jae(仙査齋), and in the 17th year of the King Injo (1639), a commemoration tablet was settled to result in a complete dignity as a Seowon(Academy)(書院).
      Leegang-Seowon, built on the ruins where Choi Chiwon visited, is a significant academy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Yeongnam School of Confucian culture. This essay is intended to be exploited as a source to widely promote our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designating these places, including Seon-sa Hermitage (仙査菴), Se-eon-Ji, Nanga-Dae, and Mureung-Gyo as formal historical- cultural properties.
      번역하기

      In the Daegu area, there are two main cultural heritages originated in Chiwon Choi(崔致遠). The first one is the Palgak-deungru-Gi(Records)(八角燈樓記) for the Hoguk-Seong(Fortress)(護國城)[also called Geomdan-Toseong(Earthen Fortress)] in...

      In the Daegu area, there are two main cultural heritages originated in Chiwon Choi(崔致遠). The first one is the Palgak-deungru-Gi(Records)(八角燈樓記) for the Hoguk-Seong(Fortress)(護國城)[also called Geomdan-Toseong(Earthen Fortress)] in Suchang-Gun(郡 province) in the age of Silla(新羅) Dynasty, and the other is Seyeon-Ji(Pond)(洗硯池), Nanga-Dae(Pavilion)(欄柯臺), and Mureung- Kyo (Bridge)(武陵橋) in the area around the Seon-sa Hermitage(仙槎菴).
      Leegang Seowon(Academy)(伊江書院) was built in 1636 (14th year of the King Injo) in the prehistoric ruins where Chi-won Choi visited in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Already in 1587 (20th year of the King Seonjo), however,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Leegang Seowon,Sacheol Jeong(鄭師哲)had established the Seonsa Seojae(Study-Library Room)(仙槎書齋) in the same place. This Library had been a ruin during the Imjin War, and it came to be rebuilt by Sawon Seo(徐思遠) in 1599 (32th year of the King Seonjo) turning it into Study Room calld Seonsa-Jae(仙査齋). The words, ‘仙槎’ and ‘仙査’ both, pronounced the same ‘seonsa’, are related to the same meaning, ‘raft’, that is, a raft-boat on which the demi-gods ride. It had been nominated Seonsa(仙槎) in the period of Chiwon Choi, but by the days Sawon Seo lived and after, it was called ‘Seonsa(仙査)’.
      The traces of Chiwon Choi's visit in the Seon-sa Hermitage, Saeyeon-Ji, Nanga-Dae, and Mureung-Gyo are clearly proved in 『Sh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Daegbbu Eupji(Village anthology)(大丘府邑誌)』, and 『Daegu Eupji(Village Anthology)(大丘邑誌)』. Also, in Hee-ji Yang's 『Daebong- Jip(Anthology)(大峯集)』 and Moonhae Kwon's 『Chogan-Jip(Anthology)(草澗集)』, poems referring to Seon-sa Hermitage, Seyeon-Ji, and Nanga-Dae are intraduced. Besides, poems about Seonsa Hermitage and Nanga-Dae appear in the Seon-sa Tmeple(仙槎寺) composed by Jongjik Kim(金宗直) and the Seohobyeung- Sipgok(Ten-Songs)(西湖屛十曲) by Seokgyu Do(都錫珪). Poems were composed of about Nanga-Dae, Mureung-Gyo, and Seyeon-Ji where Chiwon Choi had visited, and on the basis of which 『Geumho-Seonsa Seon-yu-do(Boat-Riding Picture)(琴湖仙査船遊圖)』 came to be drawn. This Seon-yu-do is a painting, where 23 people, including Hyeon-gwang Jang(張顯光) and Daero Yeo(呂大老), were invited by Sawon Seo to go boat-riding in commemo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Wanrak- Jae(Study Room)(玩樂齋). As such, Sensa Rock has been a famous place from which numerous literary works as well as paintings originated.
      Sawon Seo(徐思遠) remembers Go-Un(孤雲, Nickname of Chiwon Choi), Chiwon Choi,in his writing under the title, Seon-sa(仙査) in Nakjae-Seonsen- Munjip(Anthology)(樂齋先生文集), transmitting the facts on Seyeon-Ji and Nanga-Dae as a form of poetry. These poems by Sawon Seo played a major role in spreading the memories of the ruined Seon-sa Hermitage and the forgotten Chiwon Choi to the world. In 14th year of the King Injo (1636), 21 years after the death of Sawon Seo. Leegang-Seowon was to be rebuilt on the site of a Seon-sa Jae(仙査齋), and in the 17th year of the King Injo (1639), a commemoration tablet was settled to result in a complete dignity as a Seowon(Academy)(書院).
      Leegang-Seowon, built on the ruins where Choi Chiwon visited, is a significant academy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Yeongnam School of Confucian culture. This essay is intended to be exploited as a source to widely promote our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designating these places, including Seon-sa Hermitage (仙査菴), Se-eon-Ji, Nanga-Dae, and Mureung-Gyo as formal historical- cultural proper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치원이 대구지역에 남긴 문화유산으로 크게 두 가지를 둘 수 있다. 첫째 하나는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기를 들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선사암(仙槎菴) 일대의 세연지(洗硯池)·난가대(欄柯臺)·무릉교(武陵橋) 등을 들 수 있다.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이 노닐던 선사암 옛터에 1636년(인조 14)에 이강서원이 세워졌다. 이강서원이 설립되기 이전에 정사철(鄭師哲)이 먼저 1587년(선조 20)에 선사서재(仙槎書齋)를 세웠다. 이 선사서재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폐허가 되어 서사원(徐思遠)이 1599년(선조 32)에 이를 다시 개축하여 강학소로 삼은 것이 선사재(仙査齋)이다. ‘仙槎’와 ‘仙査’는 발음이 같으며, 같은 의미로 둘 다 ‘뗏목’이라는 뜻으로 신선들이 타고 다니는 뗏목 배를 의미한다. 최치원 당시에는 선사(仙槎)하였는데, 서사원 때부터 선사(仙査)라 하였다.
      최치원이 선사암(仙槎菴)과 새연지·난가대·무릉교 등에 머문 흔적은 『신증동국여지승람』, 『대구부읍지』, 『대구읍지』 등에서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또한 양희지의 『대봉집』, 권문해의 『초간집』에는 선사암·세연지·난가대에 얽힌 시가 등장한다. 이 뿐만 아니라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선사사(仙槎寺), 도석규(都錫珪)의 「서호병십곡(西湖屛十曲)」에도 선사암과 난가대에 관한 시가 등장한다. 최치원이 머물고 노닐던 선사암·난가대·무릉교·세연지를 대상으로 시를 짓고, 그 기록을 바탕으로 그린 그림이 금호선사선유도(琴湖仙査船遊圖)이다. 선유도는 서사원이 장현광(張顯光), 여대로(呂大老) 등 23명을 초대하여 선사(仙査)에 완락재(玩樂齋)를 지은 기념으로 뱃놀이를 한 그림이다. 이와 같이 최치원이 머물었던 선사암 옛터에는 시와 그림 등 수많은 문학작품들이 쏟아져 나온 유명한 곳이다.
      서사원(徐思遠)은 그의 문집 『낙재선생문집(樂齋先生文集)』 선사(仙査)에서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을 추억하며 세연지, 난가대에 얽힌 사실을 시로 남기고 있다. 서사원의 이러한 시는 폐허된 선사암(仙槎菴)과 잊어져 가는 최치원에 대한 기억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서사원이 세상을 떠난 후 21년 뒤인 인조 14년(1636년) 선사재(仙査齋) 자리에 이강서원(伊江書院)을 건립하였다. 인조 17년(1639년)에 위패(位牌)를 봉안하여 서원의 면모를 완전하게 갖추게 된 것이다.
      최치원이 머물었던 선사암(仙槎菴) 옛터에 세워진 이강서원은 영남학파 유교문화의 형성과 발달에 크게 기여했던 중요한 서원이다. 선사암·세연지·난가대·무릉교를 비롯한 이곳을 역사 문화유적지로 지정하여 우리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국제사회에 널리 홍보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쓴 것이다.
      번역하기

      최치원이 대구지역에 남긴 문화유산으로 크게 두 가지를 둘 수 있다. 첫째 하나는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기를 들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선사암(仙槎菴) 일대의 세연지(洗硯池)·난가...

      최치원이 대구지역에 남긴 문화유산으로 크게 두 가지를 둘 수 있다. 첫째 하나는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기를 들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선사암(仙槎菴) 일대의 세연지(洗硯池)·난가대(欄柯臺)·무릉교(武陵橋) 등을 들 수 있다.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이 노닐던 선사암 옛터에 1636년(인조 14)에 이강서원이 세워졌다. 이강서원이 설립되기 이전에 정사철(鄭師哲)이 먼저 1587년(선조 20)에 선사서재(仙槎書齋)를 세웠다. 이 선사서재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폐허가 되어 서사원(徐思遠)이 1599년(선조 32)에 이를 다시 개축하여 강학소로 삼은 것이 선사재(仙査齋)이다. ‘仙槎’와 ‘仙査’는 발음이 같으며, 같은 의미로 둘 다 ‘뗏목’이라는 뜻으로 신선들이 타고 다니는 뗏목 배를 의미한다. 최치원 당시에는 선사(仙槎)하였는데, 서사원 때부터 선사(仙査)라 하였다.
      최치원이 선사암(仙槎菴)과 새연지·난가대·무릉교 등에 머문 흔적은 『신증동국여지승람』, 『대구부읍지』, 『대구읍지』 등에서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또한 양희지의 『대봉집』, 권문해의 『초간집』에는 선사암·세연지·난가대에 얽힌 시가 등장한다. 이 뿐만 아니라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선사사(仙槎寺), 도석규(都錫珪)의 「서호병십곡(西湖屛十曲)」에도 선사암과 난가대에 관한 시가 등장한다. 최치원이 머물고 노닐던 선사암·난가대·무릉교·세연지를 대상으로 시를 짓고, 그 기록을 바탕으로 그린 그림이 금호선사선유도(琴湖仙査船遊圖)이다. 선유도는 서사원이 장현광(張顯光), 여대로(呂大老) 등 23명을 초대하여 선사(仙査)에 완락재(玩樂齋)를 지은 기념으로 뱃놀이를 한 그림이다. 이와 같이 최치원이 머물었던 선사암 옛터에는 시와 그림 등 수많은 문학작품들이 쏟아져 나온 유명한 곳이다.
      서사원(徐思遠)은 그의 문집 『낙재선생문집(樂齋先生文集)』 선사(仙査)에서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을 추억하며 세연지, 난가대에 얽힌 사실을 시로 남기고 있다. 서사원의 이러한 시는 폐허된 선사암(仙槎菴)과 잊어져 가는 최치원에 대한 기억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서사원이 세상을 떠난 후 21년 뒤인 인조 14년(1636년) 선사재(仙査齋) 자리에 이강서원(伊江書院)을 건립하였다. 인조 17년(1639년)에 위패(位牌)를 봉안하여 서원의 면모를 완전하게 갖추게 된 것이다.
      최치원이 머물었던 선사암(仙槎菴) 옛터에 세워진 이강서원은 영남학파 유교문화의 형성과 발달에 크게 기여했던 중요한 서원이다. 선사암·세연지·난가대·무릉교를 비롯한 이곳을 역사 문화유적지로 지정하여 우리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국제사회에 널리 홍보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쓴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방한문학회 30 : 2006

      2 "초간선생문집"

      3 "신증동국여지승람"

      4 김창호, "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의 분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57 : 2001

      5 이문기, "신라말 대구지역 호족의 실체와 그 행방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기』의 분석을 통하여-" 향토문화연구회 9·10 : 1995

      6 이문기, "신라 하대 정치와 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15

      7 최정환,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를 세운 위치에 대한 재검토와 그 설립의 필요성 고찰" 2020

      8 "삼국유사"

      9 "삼국사기"

      10 "동문선"

      1 동방한문학회 30 : 2006

      2 "초간선생문집"

      3 "신증동국여지승람"

      4 김창호, "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의 분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57 : 2001

      5 이문기, "신라말 대구지역 호족의 실체와 그 행방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기』의 분석을 통하여-" 향토문화연구회 9·10 : 1995

      6 이문기, "신라 하대 정치와 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15

      7 최정환, "신라 수창군 호국성 팔각등루를 세운 위치에 대한 재검토와 그 설립의 필요성 고찰" 2020

      8 "삼국유사"

      9 "삼국사기"

      10 "동문선"

      11 "대봉선생문집"

      12 박준호, "대구지역 서원의 현황과 활용방안" 2020

      13 "대구읍지"

      14 이문기, "대구시사1(통사편)" 대구시사편찬위원회 1995

      15 "대구부읍지"

      16 "낙재선생문집"

      17 서사원, "국역 낙재선생문집" 이회출판사 2008

      18 한기문, "고려 태조대 ‘대구 달성’지역 불교계의 동향" 한국중세사학회 (52) : 79-106, 2018

      19 崔致遠, "新羅壽昌郡護國城八角燈樓記" 64 :

      20 최정환, "新羅 壽昌郡 護國城 八角燈樓記의 새로운 고찰" 대구사학회 136 : 153-190, 2019

      21 최영성, "孤雲崔致遠先生文集 下" 고운국제교류사업회·창문사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2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