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겨레"
2 김효순, "조국이 버린 사람들" 서해문집 2015
3 김광민, "재일외국인 교육의 기원이 되는 재일조선인 교육" 23-24, 2013
4 大阪市立長橋小學校, "우리말を返せから20年" 未刊行資料 1992
5 김웅기, "민족학급, In 재일동포 민족교육 실태 심화조사 및 정책방향 제시" 재외동포재단 2016
6 송기찬, "민족교육과 재일동포 젊은 세대의 아이덴티티 : 일본 오사카의 공립초등학교 민족학급의 사례를 중심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7 정병호, "민족 경계와 정체성의 재생산 - 재일 조선학교의 모색과 실험" 비교문화연구소 9 (9): 125-155, 2003
8 홍리나, "문화적 저항으로서의 재일동포 민족학급 : 히가시오사카시 공립소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5
9 大阪市民族講師會, "長橋民族講師團25周年記念誌민족학급(民族學級):自分との出會い友達との出會い" 大阪市民族講師會 1997
10 イル厶の會, "金ソンセンニ厶:濟州島を愛し民族敎育に生きた在日一世" 新幹社 2011
1 "한겨레"
2 김효순, "조국이 버린 사람들" 서해문집 2015
3 김광민, "재일외국인 교육의 기원이 되는 재일조선인 교육" 23-24, 2013
4 大阪市立長橋小學校, "우리말を返せから20年" 未刊行資料 1992
5 김웅기, "민족학급, In 재일동포 민족교육 실태 심화조사 및 정책방향 제시" 재외동포재단 2016
6 송기찬, "민족교육과 재일동포 젊은 세대의 아이덴티티 : 일본 오사카의 공립초등학교 민족학급의 사례를 중심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7 정병호, "민족 경계와 정체성의 재생산 - 재일 조선학교의 모색과 실험" 비교문화연구소 9 (9): 125-155, 2003
8 홍리나, "문화적 저항으로서의 재일동포 민족학급 : 히가시오사카시 공립소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5
9 大阪市民族講師會, "長橋民族講師團25周年記念誌민족학급(民族學級):自分との出會い友達との出會い" 大阪市民族講師會 1997
10 イル厶の會, "金ソンセンニ厶:濟州島を愛し民族敎育に生きた在日一世" 新幹社 2011
11 "神戶新聞"
12 "民團新聞"
13 "日本經濟新聞"
14 황지윤, "日本の公教育における在日コリアンの民族学級の 意義と可能性 ―多文化教育という視点からみた在日コリアンの民族教育―" 한국일본근대학회 (31) : 173-190, 2011
15 杉谷依子, "日本で暮らす外國人の學習權:國際化時代の社會敎育" 國土社 1993
16 朴正惠, "戰後50年、今、民族學級講師として"
17 中村一成, "思想としての朝鮮籍:第8回朴正惠(下)" 2016
18 大阪市敎育委員會, "府内民族學級・朝文硏などの狀況"
19 大阪市, "年齢別推計人口"
20 大阪市敎育委員會, "平成28年度大阪市民族學級狀況"
21 "市外敎"
22 梁陽日, "大阪市公立學校における在日韓國・朝鮮人敎育の課題と展望:民族學級の敎育運動を手がかりに" 9 : 2013
23 金光敏, "多文化共生のための敎育はどこから學ぶべきか:公敎育における在日朝鮮人民族敎育の起源" 抗路社 2 : 2016
24 マキー(藤原)智子, "在日朝鮮人敎育の歷史:戰後日本の外國人政策と公敎育" 北海道大學 2014
25 大阪市, "各區別 世帯の年間収入階級別世帯数 區内構成比率"
26 中村一成, "ルポ思想としての朝鮮籍" 岩波書店 2017
27 アジア経済研究所, "アジア動向年報重要日誌検索システム"
28 "https://d-arch.ide.g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