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상해 망명과 관련된 다음 두 가지 점을 해명하는 것은 춘원 이광수라는 인물과 그의 문학 전반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되며, 또한 이 두 가지는 이광수와 그의 문학의 본질을 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919년 상해 망명과 관련된 다음 두 가지 점을 해명하는 것은 춘원 이광수라는 인물과 그의 문학 전반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되며, 또한 이 두 가지는 이광수와 그의 문학의 본질을 중...
1919년 상해 망명과 관련된 다음 두 가지 점을 해명하는 것은 춘원 이광수라는 인물과 그의 문학 전반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되며, 또한 이 두 가지는 이광수와 그의 문학의 본질을 중심으로 하여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첫째는 그가 허영숙과 함께 북경으로 사랑의 도피행을 감행하였다가 갑자기 귀국하게 된 정확한 동기와 시점이고, 둘째는 상해에 망명한 뒤에 2년간의 활동 가운데 쓴 글과 그 전후 시기 글 사이의 관계이다. 본고에서는 전자에 관해 집중 검토하는데, 이는 1918년 11월 11일 제1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벌어진 급박한 국제 정세의 변화가 한국 독립운동의 방향과 조직 구성에 미친 영향, 허영숙과의 결혼 문제 때문에 일생일대의 결단을 내리지 않을 수 없었던 이광수 개인사의 문제를 동시에 살펴보아야 풀릴 수 있는 문제다. 이광수는 허영숙과의 결합을 위해 북경으로 애정 도피를 했으나, 파리강화회의 대표 파견을 계기로 조선의 독립운동이 결정적 기로에 섰다는 판단 하에 귀국하고 도일하여 2·8독립운동에 가담하고 상해 망명을 결행할 수 있었다. 후자는 상해 망명 시절을 포함하여 그 이전과 이후의 이광수의 글의 핵심을 일관된 개조론으로 보면서 그 변화와 연속성을 동시에 살펴보는 작업인데, 이는 차후의 논문에서 밝힌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대록, "해방 후 ≪독립신문≫의 속간과 성격" 한국근현대사학회 (71) : 157-187, 2014
2 김경일, "한국사회사상사연구" 나남출판 2003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민족운동사료: 중국편"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6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민족운동사료: 3.1운동편 其二"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8
5 김병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21-국외3·1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6 김승학, "한국독립사(상·하)" 통일문제연구회 1972
7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3
8 신용하, "한국근대민족운동사 연구" 일조각 2017
9 스칼라피노, "한국공산주의운동사1" 돌베개 1986
10 "학지광"
1 오대록, "해방 후 ≪독립신문≫의 속간과 성격" 한국근현대사학회 (71) : 157-187, 2014
2 김경일, "한국사회사상사연구" 나남출판 2003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민족운동사료: 중국편"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6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민족운동사료: 3.1운동편 其二"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8
5 김병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21-국외3·1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9
6 김승학, "한국독립사(상·하)" 통일문제연구회 1972
7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3
8 신용하, "한국근대민족운동사 연구" 일조각 2017
9 스칼라피노, "한국공산주의운동사1" 돌베개 1986
10 "학지광"
11 전상숙, "파리강화회의와 약소민족의 독립문제"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7-36, 2009
12 최덕규, "파리강화회의(1919)와 김규식의 한국독립외교 -고종황제의 자주독립외교의 계보를 중심으로-" 한국세계문화사학회 (35) : 113-162, 2015
13 신일용, "춘원의 민족개조론을 평함」" 7 : 2-27, 1922
14 김원모, "춘원의 광복론-독립신문"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15 노양환, "춘원 이광수 평전(이광수 전집 별권)" 삼중당 1974
16 이광수, "춘원 이광수 애국의 글" 문학생활사 1988
17 박계주, "춘원 이광수" 삼중당 1962
18 정홍섭, "춘원 문학의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농촌계발」과 「민족개조론」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회 (13) : 111-143, 2018
19 주요한, "추정 이갑" 대성문화사 1964
20 "창조"
21 정병준, "중국 관내 신한청년당과 3·1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5) : 5-64, 2019
22 조지훈, "조지훈전집6-한국민족운동사" 나남출판 1996
23 최주한, "제2차 유학시절의 이광수" 춘원연구학회 4 : 93-135, 2011
24 전상숙,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질서의 재편과 민족 지도자들의 대외 인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313-349, 2004
25 이우진, "임정의 파리강화회의 외교"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 (3): 127-146, 1987
26 조동걸,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1917년의 「대동단결선언」"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9 : 1234-1152, 1987
27 강동진,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 한길사 1984
28 반병률, "일제 초기 독립운동노선논쟁-급진론과 완진론-초기 상해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5 (5): 101-129, 2006
29 마루야마 마사오, "일본의 사상" 한길사 1998
30 하타노 세츠코, "일본을 만나다" 푸른역사 2016
31 하타노 세츠코, "일본 유학생 작가 연구" 소명출판 2011
32 정명환, "이광수의 계몽사상-그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성곡언론문화재단 1 : 374-396, 1970
33 김주현, "이광수와 신채호의 만남, 그리고 영향" 한국현대문학회 (48) : 149-180, 2016
34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1-3)" 한길사 1986
35 이광수, "이광수 전집(1-10)" 삼중당 1972
36 광수, "이광수 전집" 삼중당 1963
37 현상윤, "이광수 군의 「우리의 이상」을 독함" 15 : 54-58, 1918
38 최원순, "이 춘원에게 문(問)하노라"
39 윤치호, "윤치호 일기 1916-1943: 한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통해 본 식민지시기" 역사비평사 2001
40 조철행, "육탄혈전으로 독립을 완성할지어다-조소앙의 「대한독립선언서」[일명 무오독립선언서]"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 5 : 115-120, 2001
41 이덕일, "우리 안의 식민사관" 만권당 2014
42 김원모, "영마루의 구름"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43 강덕상, "여운형평전1" 역사비평사 2007
44 정진석, "언론인 춘원 이광수" 기파랑 2017
45 이현희, "애국지사 조동호 평전" 솔과 학 2007
46 안창호, "안도산 전서" 샘터사 1979
47 심원섭, "아베 미츠이에와 조선" 소명출판 2017
48 신용하,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 일지사 12 (12): 94-142, 1986
49 김희곤, "신한청년당의 결성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 : 141-175, 1986
50 황묘희, "신한청년당과 유정 조동호" 한국문명학회 19 : 311-330, 2007
51 신한청년당, "신한청년 창간호" 유정 조동호선생기념사업회 2002
52 김주현, "신채호의 『신대한』 발행과 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6) : 71-97, 2010
53 김주현, "신채호문학연구초" 소명출판 2012
54 "신생명"
55 신용하,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 (상, 하)" 3 (3): 31-, 1977
56 최기영, "식민지시기 민족지성과 문화운동" 한울 2003
57 송건호, "송건호의 인물론-역사에 길을 묻다" 한길사 2009
58 게오르그 루카치,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85
59 김용구,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60 이한울, "상해판 『독립신문』과 안창호" 한국역사연구회 (76) : 325-357, 2010
61 김주현, "상해 시절 이광수의 작품 발굴과 그 의미" 한국어문학회 (132) : 219-257, 2016
62 김주현, "상해 『독립신문』에 실린 이광수의 논설 발굴과 그 의미" 국어국문학회 (176) : 575-626, 2016
63 편집자, "민족정기의 심판" 혁신출판사 1949
64 추헌수, "민족운동 총서 제3집-정치·외교투쟁" 민족문화협회 부설 횃불사 1980
65 이광수, "민족대회소집청원서 및 선언서" 근대서지학회 (8) : 2013
66 최주한, "민족개조론과 相愛의 윤리학" 인문과학연구소 (30) : 295-335, 2011
67 아르놀트 하우,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현대편" 창작과비평사 1997
68 김동환, "무오독립선언의 역사적 의의" 국학연구 2 : 155-183, 1088
69 "매일신보"
70 김승학, "망명객행적록" 희산김승학선생기념사업회 2011
71 김희곤, "동제사의 결성과 활동" 한국사연구회 48 : 167-189, 1985
72 "동명"
73 "동광"
74 독립신문사, "독립신문(속간본)" 국사편찬위원회 2006
75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7-한일관계사료집" 국사편찬위원회 2005
76 이현희, "대한민국임시정부사연구" 혜안 2001
77 이현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정책과 그 실제" 동국사학회 20 : 349-369, 1986
78 한시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프랑스" 한국근현대사학회 (77) : 128-152, 2016
79 송우혜, "대한독립선언서」(세칭 「무오독립선언서」)의 실체-발표시기의 규명과 내용분석" ㅈ역사비평사 3 (3): 144-177, 1988
80 반병률, "단재 신채호의 러시아 연해주 독립운동" 한국학연구소 46 : 365-390, 2016
81 최정수, "단재 신채호의 국제관-《대한매일신보》및《천고》의 논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6 : 565-592, 1995
82 김삼웅 엮음, "단재 신채호 평전" 시대의 창 2005
83 마쓰오 다카요시, "다이쇼 데모크라시" 소명출판 2011
84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내셔널리즘" 글누림 2013
85 허영숙, "나의 자서전" 1939
86 안창호, "나의 사랑하는 젊은이들에게" 지성문화사 1994
87 이광수, "나의 고백(재판)" 춘추사 1948
88 이덕일, "근대를 말하다" 역사의 아침 2012
89 이광수, "그의 자서전(5판)" 조광사 1941
90 가토 요코,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 서해문집 2018
91 문종현, "귀스타브 르봉(Gustave Le Bon)과 대중사회– 19세기 프랑스의 계급적 인종론과 종족적 인종론" 이주사학회 17 : 5-30, 2017
92 김주현, "계몽과 혁명" 소명출판 2015
93 이광수, "개척자(4판)" 흥문당서점 1924
94 이광수, "개척자" 매일신보 1917
95 "개벽"
96 배경한, "汪精衛와 五四運動 ― 파리평화회의 관련 활동과 反帝認識 ―" 중국근현대사학회 (42) : 79-95, 2009
97 정영희, "榴亭 趙東祜의 抗日獨立運動硏究" 역사실학회 37 : 215-242, 2008
98 송지예, "“민족자결”의 수용과 2·8 독립운동"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1 (11): 179-207, 2012
99 심원섭, "‘일본제 조선기행문’과 이광수의 「오도답파여행」" 한국문학연구학회 (52) : 135-167, 2014
100 김희주, "‘민족’을 바라보는 두 시선-신채호와 이광수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65) : 155-182, 2017
101 류시현, "‘東京三才’(洪明熹, 崔南善, 李光洙)를 통해 본 1920년대 ‘문화정치’의 시대"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2) : 323-357, 2009
102 Michael Robinson, "Cultural Nationalism in Colonial Korea, 1920-1925" University of Washington 1988
103 정혜영, "<오도답파여행>과 1910년대 조선의 풍경" 한국현대소설학회 (40) : 313-335, 2009
104 권보드래, "3월 1일의 밤" 돌베개 2019
105 정병준, "3·1운동의 기폭제―여운형이 크레인에게 보낸 편지 및 청원서" 역사문제연구소 (119) : 223-267, 2017
106 이현희, "3·1운동에 관한 연구-특히 그 배경과 민중연합 과정을 중심으로" 12 : 119-140, 1979
107 신용하, "3·1독립운동의 사회사" 현암사 1984
108 김삼웅, "33인의 약속" 도서출판 산하 1997
109 한국역사연구회,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1989
110 정용서, "1920년대 천도교 신파의 ‘민족 자치’ 구상" 국학연구원 (157) : 423-457, 2012
111 이태훈, "1920년대 전반기 일제의 '문화정치'와 부르조아 정치세력의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47) : 3-35, 2003
112 정병준, "1919년, 파리로 가는 김규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0) : 79-131, 2017
113 임형택, "1919년 동아시아, 3․1운동과 5․4운동" 대동문화연구원 (66) : 175-202, 2009
114 서일수, "1919~1923년 신채호의 反臨時政府 路線과 民族自決主義 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3) : 43-73, 2012
115 金素眞, "1910년대의 독립선언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16 이인화, "1910년 이후 한말 사회진화론의 변용과 극복 양상- 안중근, 박은식, 안창호, 신채호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74) : 231-261, 2014
117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해)독립신문" 한국학자료원 2011
1910년대 일제강점기 민족운동 고찰 -춘원의 상하이⋅블라디보스토크⋅믈린⋅치타에서의 활동
이광수의 장편소설에 대한 남북한의 문학사적 인식의 차이 고찰 -『무정』, 『개척자』, 『혁명가의 안해』, 『흙』 등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