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을 위한 융복합 교수-학습 방안 연구 -국어와 도덕 교과의 "배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lan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Focusing on the "Caring" in Korean Language and Moral Sub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42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국어교육의 핵심역량으로 설정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를 밝히고, 이를 위한 교과 간의 융복합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국어교육의 핵심역량으로 설정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를 밝히고, 이를 위한 교과 간의 융복합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은 복합적인 채널을 통해 수많은 지식과 가치들을 공유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과 활발히 교류하는 다문화 사회의 학습자들이 그들을 둘러싼 다양한 문화들의 상호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은 국어과의 핵심역량으로서, ``지식, 기능, 태도``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들의 결합을 토대로 구축된다. 이때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는 ``지식, 기능 태도``의 범주에 따라 각각 ``다양한 언어문화에 대한 지식``과 ``호혜적 문제해결에 대한 지식``, ``적확한 언어 사용 능력``과 ``협력적 관계 형성 능력``, ``다양성 존중의 태도``와 ``배려의 태도``로 구분된다. 이러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은 지금여기, 그리고 미래 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습자들이 길러야 하는 목표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실천 양식으로서 교과 간 통합을 지향하는 융복합 교육의 교수-학습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와 도덕과의 통합을 실현한 ``공유모형``을 기반으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 중 ``배려의 태도``를 위한 융복합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담화 상황에 따른 ``배려``의 가치를 탐구하여 그들의 삶 속에서 ``배려의 태도``를 실천할 수 있도록 ``가치 탐구 학습법``과 ``역할놀이 학습법``이 결합된 복합 모형을 적용해 ``배려``의 교수-학습 과정을 마련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established as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ited 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suggest a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lan between subj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established as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ited 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suggest a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lan between subjects for the forego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hat learners in multicultural society sharing various knowledge and values and exchanging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with members actively through a complex channel understand, respect and communicate reciprocality of various cultures encircling the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as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ubject, is construc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corresponding to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are classified as ``knowledge of various linguistic cultures``, ``knowledge of reciprocal problem-solving``, ``ability to use accurate language``, ``ability to form a cooperative relation, ``attitude respecting diversity`` and ``c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corresponds to the objective that learners living here now and will live in the future society should develop, so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plan for increa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should be prepared. For the objective, teaching-learning in convergence education aiming at the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as a practical mode can be actively utilized. Of the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this study suggested a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lan for ``caring attitude`` based on the ``Shared Model`` that realized integr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nd Moral subjects. This means that this study prepared a teaching-learning course for ``caring`` by applying a complex model that ``value inquiring learning method`` and ``role playing learning method`` are integrated for enabling learners to fulfill ``caring attitude`` in their life by seeking the value of ``car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convers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규훈, "핵심 역량 기반 문법교육 내용 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22 : 27-61, 2014

      2 가은아, "핵심 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구상" 한국작문학회 (20) : 37-72, 2014

      3 최승현,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및 교사교육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노상우, "학문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이론적-실천적 변화 모색" 교육종합연구소 10 (10): 67-88, 2012

      5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1, 2007

      6 Sitton, John, "하버마스와 현대사회" 동과서 2007

      7 Verbunt, Gilles, "인간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상호문화사회" 교육과학사 2012

      8 차윤경,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4

      9 손동현, "융복합 교육의 수요와 철학교육" 철학연구회 83 : 231-261, 2008

      10 서혁,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핵심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48 : 7-40, 2013

      1 김규훈, "핵심 역량 기반 문법교육 내용 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22 : 27-61, 2014

      2 가은아, "핵심 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구상" 한국작문학회 (20) : 37-72, 2014

      3 최승현,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및 교사교육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노상우, "학문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이론적-실천적 변화 모색" 교육종합연구소 10 (10): 67-88, 2012

      5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1, 2007

      6 Sitton, John, "하버마스와 현대사회" 동과서 2007

      7 Verbunt, Gilles, "인간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상호문화사회" 교육과학사 2012

      8 차윤경,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4

      9 손동현, "융복합 교육의 수요와 철학교육" 철학연구회 83 : 231-261, 2008

      10 서혁,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핵심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48 : 7-40, 2013

      11 김선아, "숙의를 통한 융복합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미술과-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71-96, 2013

      12 고희성, "상호문화적 문법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생태학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16

      13 김혜숙,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다문화 사회의 통합형 문법교육을 위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5-46, 2012

      14 이근호,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5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16 윤현진,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설정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7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8 서영진,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9 박인기,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5 : 23-54, 2002

      20 김영아, "문학 기반 융복합 교육 방안 연구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5

      21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2015

      22 이병준, "다문화역량이란 무엇인가" 한국교육사상연구회 37 : 1-11, 2007

      23 구정화,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10

      24 서종남,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25 Johnson, David W, "다문화교육과 인간관계" 교육과학사 2010

      26 서은숙, "다문화 윤리교육 일고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7 : 363-402, 2012

      27 이명신, "나딩스(Nel Noddings)의 배려교육론 ―유아교육과 교사교육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2 : 59-79, 2010

      28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8

      29 서혁, "국어교육론 1: 국어 교과 교육론" 한국문화사 239-266, 2005

      30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2015

      3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 2006

      32 추병완, "V. O. Pang의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론"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5 (15): 1-19, 2011

      33 Yakman, Georgette, "Introduct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한국과학창의재단 39-7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