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吉田俊隈, "「朝鮮人 志願兵‧徵兵의 梗槪」, 『朝鮮軍關係史料 2/2"
2 朝鮮軍報道部長 長屋尙作, "「朝鮮の狀況報告(1945.11)」, 防衛省 防衛硏究所 陸軍一般-文庫-柚-175"
3 "「南鮮海軍部隊復員關係書類綴(1945.9.26)」, 防衛省 防衛硏究所 中央-終戰處理-33"
4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1" 한길사 2004
5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1" 역사비평사 1991
6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7 조건, "중일전쟁기(1937~1940) ‘朝鮮軍司令部報道部’의 설치와 조직구성" 한일민족문제학회 (19) : 39-88, 2010
8 국사편찬위원회, "주한미군사 1(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Part 1)"
9 유지아, "전후 재조선일본군의 무장해제 과정에서 형성된 한미일관계" 한일관계사학회 (28) : 151-192, 2007
10 조건, "전시 총동원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한인 통제와 동원" 동국대 2015
1 吉田俊隈, "「朝鮮人 志願兵‧徵兵의 梗槪」, 『朝鮮軍關係史料 2/2"
2 朝鮮軍報道部長 長屋尙作, "「朝鮮の狀況報告(1945.11)」, 防衛省 防衛硏究所 陸軍一般-文庫-柚-175"
3 "「南鮮海軍部隊復員關係書類綴(1945.9.26)」, 防衛省 防衛硏究所 中央-終戰處理-33"
4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1" 한길사 2004
5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1" 역사비평사 1991
6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7 조건, "중일전쟁기(1937~1940) ‘朝鮮軍司令部報道部’의 설치와 조직구성" 한일민족문제학회 (19) : 39-88, 2010
8 국사편찬위원회, "주한미군사 1(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Part 1)"
9 유지아, "전후 재조선일본군의 무장해제 과정에서 형성된 한미일관계" 한일관계사학회 (28) : 151-192, 2007
10 조건, "전시 총동원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한인 통제와 동원" 동국대 2015
11 조성윤, "일제 말기 제주도의 일본군 연구" 보고사 2008
12 "매일신보"
13 宋南憲, "解放三年史 Ⅰ" 까치 1985
14 "米軍ニ對スル治安情況說明"
15 "第17方面軍司令官兼朝鮮軍管區司令官 上月良夫, 「第17方面軍 朝鮮軍の終戰狀況上奏文(1945.12.5)」, 防衛省 防衛硏究所 陸軍一般-滿洲-朝鮮-16"
16 宮田節子, "朝鮮軍槪要史" 不二出版 1989
17 森田芳夫, "朝鮮終戰の記錄" 巖南堂書店 1964
18 "太平洋戦争終結による在外邦人保護引揚関係 在外各地状況及び善後措置関係 南鮮の状況(朝鮮全般のものを含む)"
19 李東華, "夢陽呂運亨의政治活動(下)" (13) : 1978
20 "京城日報"
21 조건, "「朝鮮 狀況 報告(朝鮮の狀況報告)」 - ‘朝鮮 駐屯 日本軍’의 마지막 보고서 -" 한국학연구소 44 : 479-486, 2015
22 문제안, "8․15의 기억" 한길사 2005
23 金基兆, "38線 分割의 歷史-美, 蘇ㆍ日間의 戰略對決과 戰時外交 祕史" 동산출판사 1994
24 신주백, "1945년 한반도에서 일본군의 ‘본토결전’ 준비" 한국역사연구회 (49) : 181-21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