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 직후 일본군의 한반도 점령 실태와 귀환 = Japanese army's policing and returning to the Korean Peninsula shortly after lib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5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ese army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fter its opening ports and established the coloniz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by using miliary power after Korean annexation in 1910. The army to Japanese Imperialism kept and expanded the imperialism as well as established the imperialism. Of course because of this, the unilateral lead and excessive authority of the military acted as main factors of demolition of the entire empire. What is noticeable is that military action of the Japanese army on the Korean Peninsula was not limited to the period before liberation.
      The Japanese army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shortly after liberation on August 15, 1945 controlled the journalism and public opinion and cracked down on directly Koreans' independence movement. Meanwhile, the Japanese force was in charge of practical policing until the American army rolled into the territory. The Korean Establishment Preparation Board organized by Koreans, security guard and etc. conducted their own activities but their roles were considered to be limited.
      In particular, the Japanese army controlled the security authority on the Korean Peninsula by increasing the number of military police by 6 times in the short-term. They laid the foundation to help their people return to their own country while being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racking down on Koreans'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army overwhelmed the armed power of security guard or self-defense forces organized by Korean people, still showing off their power after liberation.
      The biggest reason why above all the Japanese army continued to occupy the territory was that the army was delegated the authority from the Allied Forces. In particular, American army delegated the authority to keep order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forces before September 8 when the American army landed in Incheon. American army granted the permission to possess weapons to some of Japanese army and to keep security in the regional stationing even after landing in Incheon.
      In this situation the Japanese army and navy withdrew its troops from the Korean Peninsula safely and smoothly. The Japanese forces recognized this as unprecedented on their own. The returning of Japanese forces ended in late October.
      When the Japanese forces tried to make their people safely returning to their country with security authority, millions of Koreans forcibly mobilized because of aggressive war were left neglected at the front. The American forces accepted the division with the 38th parallel border as fact without caring abo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army.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liberated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fluctuated with conflicts and confusion from idealism and ideology. And its harmful effect has continued so far.
      번역하기

      Japanese army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fter its opening ports and established the coloniz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by using miliary power after Korean annexation in 1910. The army to Japanese Imperialism kept and expanded the imperialism as w...

      Japanese army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fter its opening ports and established the coloniz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by using miliary power after Korean annexation in 1910. The army to Japanese Imperialism kept and expanded the imperialism as well as established the imperialism. Of course because of this, the unilateral lead and excessive authority of the military acted as main factors of demolition of the entire empire. What is noticeable is that military action of the Japanese army on the Korean Peninsula was not limited to the period before liberation.
      The Japanese army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shortly after liberation on August 15, 1945 controlled the journalism and public opinion and cracked down on directly Koreans' independence movement. Meanwhile, the Japanese force was in charge of practical policing until the American army rolled into the territory. The Korean Establishment Preparation Board organized by Koreans, security guard and etc. conducted their own activities but their roles were considered to be limited.
      In particular, the Japanese army controlled the security authority on the Korean Peninsula by increasing the number of military police by 6 times in the short-term. They laid the foundation to help their people return to their own country while being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racking down on Koreans'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army overwhelmed the armed power of security guard or self-defense forces organized by Korean people, still showing off their power after liberation.
      The biggest reason why above all the Japanese army continued to occupy the territory was that the army was delegated the authority from the Allied Forces. In particular, American army delegated the authority to keep order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forces before September 8 when the American army landed in Incheon. American army granted the permission to possess weapons to some of Japanese army and to keep security in the regional stationing even after landing in Incheon.
      In this situation the Japanese army and navy withdrew its troops from the Korean Peninsula safely and smoothly. The Japanese forces recognized this as unprecedented on their own. The returning of Japanese forces ended in late October.
      When the Japanese forces tried to make their people safely returning to their country with security authority, millions of Koreans forcibly mobilized because of aggressive war were left neglected at the front. The American forces accepted the division with the 38th parallel border as fact without caring abo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army.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liberated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fluctuated with conflicts and confusion from idealism and ideology. And its harmful effect has continued so f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군은 개항 이래 한반도를 무단으로 침략하였고 1910년 한국병탄 이후에는제국의 식민 지배를 무력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제국주의 일본에게 군대는 제국의확립은 물론 이를 유지하고 팽창시킨 존재였던 것이다. 물론 이 때문에 군의 일방적 독주와 지나친 월권은 제국 전체를 패멸로 이끈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주목할 점은 일본군의 한반도 내 군사적 행위가 비단 해방 이전에 국한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직후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은 언론과 여론을통제하고 한인들의 독립 시위를 직접 탄압하는 한편 미군이 진주할 때까지 실질적인 치안 유지를 담당하였다. 한인들에 의해 조직된 건국준비위원회와 치안대 등이 나름의 활동을 전개했지만 그 역할은 제한적이었다고 판단된다.
      특히 일본군은 헌병 병력을 단기간에 6배 이상으로 증원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반도 내 치안권을 장악하였다. 이들은 한반도 곳곳에 주둔하면서 한인들의 만세시위를 막고 자국의 인민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일본군은 한인들로 구성된 치안대나 자위대의 무장력을 압도하면서 해방 이후에도 여전한 권능을 과시하였다.
      일본군이 무단 점령을 지속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연합군에게그 권한을 위임받았기 때문이었다. 특히 미군은 인천에 상륙하는 9월 8일 이전까지 한반도 이남의 질서 유지를 일본군에 일임하였다. 심지어 진주 이후에도 일본군 일부 병력에게 여전히 무기 소지를 허가하고 주둔 지역의 치안 유지를 담당케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에 주둔했던 일본 육ㆍ해군은 매우 안전하고 순조롭게한반도에서 철군할 수 있었다. 이는 일본군 스스로도 유래가 없는 일로 평가할 정도였다. 일본군의 귀환은 10월 하순 경 일단락되었다.
      일본군이 치안권을 움켜쥔 채 자국민의 안전한 귀환을 추진하고 있을 때, 침략전쟁으로 인해 강제동원되었던 수백만의 한인들은 전선 곳곳에 방치되어 있었다.
      미군은 일본군과 함께 싸웠던 임시정부를 돌아보지 않은 채 38도선을 경계로 한분단을 기정사실화해 나갔다. 식민지배에서 해방된 한반도 정국은 사상과 이념을이유로 혼란과 갈등으로 요동쳤다. 그리고 그 폐해는 아직까지 끝나지 않고 있다.
      번역하기

      일본군은 개항 이래 한반도를 무단으로 침략하였고 1910년 한국병탄 이후에는제국의 식민 지배를 무력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제국주의 일본에게 군대는 제국의확립은 물론 이를 유지하고 팽...

      일본군은 개항 이래 한반도를 무단으로 침략하였고 1910년 한국병탄 이후에는제국의 식민 지배를 무력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제국주의 일본에게 군대는 제국의확립은 물론 이를 유지하고 팽창시킨 존재였던 것이다. 물론 이 때문에 군의 일방적 독주와 지나친 월권은 제국 전체를 패멸로 이끈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주목할 점은 일본군의 한반도 내 군사적 행위가 비단 해방 이전에 국한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직후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은 언론과 여론을통제하고 한인들의 독립 시위를 직접 탄압하는 한편 미군이 진주할 때까지 실질적인 치안 유지를 담당하였다. 한인들에 의해 조직된 건국준비위원회와 치안대 등이 나름의 활동을 전개했지만 그 역할은 제한적이었다고 판단된다.
      특히 일본군은 헌병 병력을 단기간에 6배 이상으로 증원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반도 내 치안권을 장악하였다. 이들은 한반도 곳곳에 주둔하면서 한인들의 만세시위를 막고 자국의 인민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일본군은 한인들로 구성된 치안대나 자위대의 무장력을 압도하면서 해방 이후에도 여전한 권능을 과시하였다.
      일본군이 무단 점령을 지속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연합군에게그 권한을 위임받았기 때문이었다. 특히 미군은 인천에 상륙하는 9월 8일 이전까지 한반도 이남의 질서 유지를 일본군에 일임하였다. 심지어 진주 이후에도 일본군 일부 병력에게 여전히 무기 소지를 허가하고 주둔 지역의 치안 유지를 담당케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에 주둔했던 일본 육ㆍ해군은 매우 안전하고 순조롭게한반도에서 철군할 수 있었다. 이는 일본군 스스로도 유래가 없는 일로 평가할 정도였다. 일본군의 귀환은 10월 하순 경 일단락되었다.
      일본군이 치안권을 움켜쥔 채 자국민의 안전한 귀환을 추진하고 있을 때, 침략전쟁으로 인해 강제동원되었던 수백만의 한인들은 전선 곳곳에 방치되어 있었다.
      미군은 일본군과 함께 싸웠던 임시정부를 돌아보지 않은 채 38도선을 경계로 한분단을 기정사실화해 나갔다. 식민지배에서 해방된 한반도 정국은 사상과 이념을이유로 혼란과 갈등으로 요동쳤다. 그리고 그 폐해는 아직까지 끝나지 않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吉田俊隈, "「朝鮮人 志願兵‧徵兵의 梗槪」, 『朝鮮軍關係史料 2/2"

      2 朝鮮軍報道部長 長屋尙作, "「朝鮮の狀況報告(1945.11)」, 防衛省 防衛硏究所 陸軍一般-文庫-柚-175"

      3 "「南鮮海軍部隊復員關係書類綴(1945.9.26)」, 防衛省 防衛硏究所 中央-終戰處理-33"

      4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1" 한길사 2004

      5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1" 역사비평사 1991

      6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7 조건, "중일전쟁기(1937~1940) ‘朝鮮軍司令部報道部’의 설치와 조직구성" 한일민족문제학회 (19) : 39-88, 2010

      8 국사편찬위원회, "주한미군사 1(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Part 1)"

      9 유지아, "전후 재조선일본군의 무장해제 과정에서 형성된 한미일관계" 한일관계사학회 (28) : 151-192, 2007

      10 조건, "전시 총동원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한인 통제와 동원" 동국대 2015

      1 吉田俊隈, "「朝鮮人 志願兵‧徵兵의 梗槪」, 『朝鮮軍關係史料 2/2"

      2 朝鮮軍報道部長 長屋尙作, "「朝鮮の狀況報告(1945.11)」, 防衛省 防衛硏究所 陸軍一般-文庫-柚-175"

      3 "「南鮮海軍部隊復員關係書類綴(1945.9.26)」, 防衛省 防衛硏究所 中央-終戰處理-33"

      4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1" 한길사 2004

      5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1" 역사비평사 1991

      6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7 조건, "중일전쟁기(1937~1940) ‘朝鮮軍司令部報道部’의 설치와 조직구성" 한일민족문제학회 (19) : 39-88, 2010

      8 국사편찬위원회, "주한미군사 1(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Part 1)"

      9 유지아, "전후 재조선일본군의 무장해제 과정에서 형성된 한미일관계" 한일관계사학회 (28) : 151-192, 2007

      10 조건, "전시 총동원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한인 통제와 동원" 동국대 2015

      11 조성윤, "일제 말기 제주도의 일본군 연구" 보고사 2008

      12 "매일신보"

      13 宋南憲, "解放三年史 Ⅰ" 까치 1985

      14 "米軍ニ對スル治安情況說明"

      15 "第17方面軍司令官兼朝鮮軍管區司令官 上月良夫, 「第17方面軍 朝鮮軍の終戰狀況上奏文(1945.12.5)」, 防衛省 防衛硏究所 陸軍一般-滿洲-朝鮮-16"

      16 宮田節子, "朝鮮軍槪要史" 不二出版 1989

      17 森田芳夫, "朝鮮終戰の記錄" 巖南堂書店 1964

      18 "太平洋戦争終結による在外邦人保護引揚関係 在外各地状況及び善後措置関係 南鮮の状況(朝鮮全般のものを含む)"

      19 李東華, "夢陽呂運亨의政治活動(下)" (13) : 1978

      20 "京城日報"

      21 조건, "「朝鮮 狀況 報告(朝鮮の狀況報告)」 - ‘朝鮮 駐屯 日本軍’의 마지막 보고서 -" 한국학연구소 44 : 479-486, 2015

      22 문제안, "8․15의 기억" 한길사 2005

      23 金基兆, "38線 分割의 歷史-美, 蘇ㆍ日間의 戰略對決과 戰時外交 祕史" 동산출판사 1994

      24 신주백, "1945년 한반도에서 일본군의 ‘본토결전’ 준비" 한국역사연구회 (49) : 181-210,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