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明)나라 초엽부터 청(淸)나라 중엽에 걸쳐 중국어와 주변 여러 민족어와의 대역 어휘집(對譯 語彙集) (및 문례집(文例集))이 편찬되었는데 이들을 통틀어 화이역어(華夷譯語)라고 부른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2299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명(明)나라 초엽부터 청(淸)나라 중엽에 걸쳐 중국어와 주변 여러 민족어와의 대역 어휘집(對譯 語彙集) (및 문례집(文例集))이 편찬되었는데 이들을 통틀어 화이역어(華夷譯語)라고 부른다. ...
명(明)나라 초엽부터 청(淸)나라 중엽에 걸쳐 중국어와 주변 여러 민족어와의 대역 어휘집(對譯 語彙集) (및 문례집(文例集))이 편찬되었는데 이들을 통틀어 화이역어(華夷譯語)라고 부른다.
신청자는 그동안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19 개 문(門), 820 여개 어휘로 이루어진 화이역어(華夷譯語) 병종본(丙種本) 위구르어 자료 중 5 개 문(門)의 어휘 자료를 Edwin G. Pulleyblank의 Lexicon of Reconstructed Pronunciation in Early Middle Chinese, Late Middle Chinese, and Early Mandarin(1991)에 근거하여 재구하고, Shōgaito Masahiro(庄垣內正弘)의 독법, 현대 위구르어의 형태, 18세기 말 오체청문감(五體淸文鑑)의 위구르어 형태, Sir Gerard Clauson의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Thirteenth-Century Turkish(1972)의 자료와도 비교, 분석하여 영어로 글을 작성하여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여 이중 3 편은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서 논문으로 발간되었고 1 편은 발간될 예정이고 천문문(天文門)을 다룬 1 편은 심사 중이다.
을종본과 병종본의 위구르어 어휘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사 중인 논문에서는 북경도서관(현재는 중국국가도서관) 소장의 사본에 나오는 어형 및 L. Ligeti의 상세한 논문(1966, 1967, 1968, 1969)에 나오는 어형도 함께 다루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나머지 14 개 문(門)의 어휘 자료를 천문문(天文門)을 다룬 논문과 동일한 방식으로 2 년 동안 분석하여 연구진행과정과 연구종료 이후 영어로 적어도 2 편의 글을 작성하여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가능하면 국제 전문 학술지에 게재하여 전 세계의 튀르크학 전공자들이 이용하게 할 것이다. 또한 위구르어 자료에 있는 몽골어, 페르시아어 어휘를 연구 책임자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국내외의 해당 언어 전공자의 자문을 받아 어형을 확정한다.
이들 연구결과물을 통하여 향후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존하는 위구르어 자료가 들어 있는 병종본 판본 6 개 중 아직 확보하지 못한 5 개 (서울대 사본의 원본을 사본과 동일한 것으로 여길 경우에는 4 개) 모두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이들 사본은 확보되는 대로 연구에 활용된다. 다만 다른 사본들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 현존하는 판본 모두를 확보하여 대조, 분석하면 원전의 오류를 바로잡아 모든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화이역어(華夷譯語) 병종본(丙種本) 위구르어 자료가 만들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