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봉길 현양 자료를 통해 본 상해의거의 역사적 의미 = Historical meaning of in Shanghai Heroic struggle appeared in widely known materials about Yoon, Bongg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2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광복 이전에 발행된 윤봉길 현양 자료를 검토하여 상해의거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현양하는 자료의 출발은 의거 직후 김구가 한인애국단 이름으로 세계에 알린 성명서였다. 이 성명서가 다듬어져 한국어본이 나왔고, 『屠倭實記』에 중국어본이 실리면서 중국인들에게 윤봉길의 행적, 거사 과정, 그리고 역사적 의의 등이 널리 알려졌다. 그 뒤에 나온 논찬과 전기는 대부분 이것이 기초가 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중국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이 윤봉길의 삶과 거사를 찬양하는 글을 펴냈다. 그 가운데 윤봉길과 1년 동안 함께 지냈던 김광이 쓴 『윤봉길전』은 내용이 가장 풍부하여 ‘종합판’이라 부를만하다.
      상해 의거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상해를 빠져나가 중국 내륙으로 고난의 길을 걸었다. 어려움이 심할수록 이를 이겨내는 원동력을 윤봉길이 펼친 상해의거에서 찾았다. 한국국민당의 기관지 『韓民』이 윤의사의 투쟁을 거듭하여 찬양한 이유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옹호와 투쟁성 홍보를 통한 자신력의 회복을 목적으로 삼은 때문이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광복군의 기관지 『光復』으로 이어졌고, 『獨立評論』에서도 그러했다.
      미주지역의 현양 자료는 동해수부 홍언이 『신한민보』에 게재한 글이 대부분이다. 특히 생애와 의거를 열 장면으로 나누어 서사시로 엮어낸 글은 문장력이 뛰어나고 감동을 주기에 충분하다. 중국인이 쓴 논찬도 눈길을 끈다. 老梅라는 필명을 쓴 景梅九와 葛赤峰의 글이 대표적이다. 그 가운데서도 당대 명필로 이름을 널리 알린 老梅 景梅九의 獻詩가 돋보인다.
      논찬과 전기류는 다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윤봉길의 인물사를 정리하면서 일찍부터 나라를 위한 삶을 지향한 됨됨이를 그려냈다. 둘째, 상해로 망명한 뒤 김구와 만남, 그리고 거사를 준비하고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하였다. 셋째, 상해를 떠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경시기에 이르기까지 거듭 홍구공원 의거를 되새기며 독립운동의 활력소를 찾았다. 넷째, 특히 미주지역 동포들이 이에 고무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데 적극 나섰다. 다섯째, 중국인들의 찬사가 드높아져 만보산사건으로 말미암아 독립운동 선상에 나타났던 혼란과 위기가 해결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광복 이전에 발행된 윤봉길 현양 자료를 검토하여 상해의거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현양하는 자료의 출발은 의거 직후 김구가 한인애국단 이름으로 세...

      이 연구의 목적은 광복 이전에 발행된 윤봉길 현양 자료를 검토하여 상해의거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현양하는 자료의 출발은 의거 직후 김구가 한인애국단 이름으로 세계에 알린 성명서였다. 이 성명서가 다듬어져 한국어본이 나왔고, 『屠倭實記』에 중국어본이 실리면서 중국인들에게 윤봉길의 행적, 거사 과정, 그리고 역사적 의의 등이 널리 알려졌다. 그 뒤에 나온 논찬과 전기는 대부분 이것이 기초가 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중국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이 윤봉길의 삶과 거사를 찬양하는 글을 펴냈다. 그 가운데 윤봉길과 1년 동안 함께 지냈던 김광이 쓴 『윤봉길전』은 내용이 가장 풍부하여 ‘종합판’이라 부를만하다.
      상해 의거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상해를 빠져나가 중국 내륙으로 고난의 길을 걸었다. 어려움이 심할수록 이를 이겨내는 원동력을 윤봉길이 펼친 상해의거에서 찾았다. 한국국민당의 기관지 『韓民』이 윤의사의 투쟁을 거듭하여 찬양한 이유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옹호와 투쟁성 홍보를 통한 자신력의 회복을 목적으로 삼은 때문이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광복군의 기관지 『光復』으로 이어졌고, 『獨立評論』에서도 그러했다.
      미주지역의 현양 자료는 동해수부 홍언이 『신한민보』에 게재한 글이 대부분이다. 특히 생애와 의거를 열 장면으로 나누어 서사시로 엮어낸 글은 문장력이 뛰어나고 감동을 주기에 충분하다. 중국인이 쓴 논찬도 눈길을 끈다. 老梅라는 필명을 쓴 景梅九와 葛赤峰의 글이 대표적이다. 그 가운데서도 당대 명필로 이름을 널리 알린 老梅 景梅九의 獻詩가 돋보인다.
      논찬과 전기류는 다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윤봉길의 인물사를 정리하면서 일찍부터 나라를 위한 삶을 지향한 됨됨이를 그려냈다. 둘째, 상해로 망명한 뒤 김구와 만남, 그리고 거사를 준비하고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하였다. 셋째, 상해를 떠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경시기에 이르기까지 거듭 홍구공원 의거를 되새기며 독립운동의 활력소를 찾았다. 넷째, 특히 미주지역 동포들이 이에 고무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데 적극 나섰다. 다섯째, 중국인들의 찬사가 드높아져 만보산사건으로 말미암아 독립운동 선상에 나타났던 혼란과 위기가 해결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김구의 ?虹口炸案의 眞相? 발표와 顯揚의 시작
      • 3. 중국지역 독립운동가들의 찬사
      •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거 현양과 활력소 찾기
      • 5. 미주 동포사회의 격정적 현양
      • 1. 머리말
      • 2. 김구의 ?虹口炸案의 眞相? 발표와 顯揚의 시작
      • 3. 중국지역 독립운동가들의 찬사
      •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거 현양과 활력소 찾기
      • 5. 미주 동포사회의 격정적 현양
      • 6. 중국인의 윤봉길의거 찬미
      • 7.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영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韓詩俊, "해제: 金光著 ꡔ윤봉길전ꡕ" (가을) : 1988

      2 임경석, "잡지 <<콤무니스트>>와 국제선 공산주의그룹" 한국사연구회 (126) : 177-201, 2004

      3 박헌영전집편찬위원회, "이정 박헌영 전집 1권" 역사비평사 2004

      4 최기영, "이두산의 재중독립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42) : 122-150, 2007

      5 조범래, "의열투쟁Ⅱ(한인애국단)"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6 김희곤, "매헌윤봉길전집 2(상해의거와 순국)"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2012

      7 김희곤, "매헌 윤봉길전집 6(논찬, 전기)"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2012

      8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37(조선민족혁명당 및 기타 정당)" 국사편찬위원회 2009

      9 한시준, "대한민국임시정부Ⅲ(중경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0 한상도, "대한민국임시정부Ⅱ(장정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 韓詩俊, "해제: 金光著 ꡔ윤봉길전ꡕ" (가을) : 1988

      2 임경석, "잡지 <<콤무니스트>>와 국제선 공산주의그룹" 한국사연구회 (126) : 177-201, 2004

      3 박헌영전집편찬위원회, "이정 박헌영 전집 1권" 역사비평사 2004

      4 최기영, "이두산의 재중독립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42) : 122-150, 2007

      5 조범래, "의열투쟁Ⅱ(한인애국단)"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6 김희곤, "매헌윤봉길전집 2(상해의거와 순국)"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2012

      7 김희곤, "매헌 윤봉길전집 6(논찬, 전기)"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2012

      8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37(조선민족혁명당 및 기타 정당)" 국사편찬위원회 2009

      9 한시준, "대한민국임시정부Ⅲ(중경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0 한상도, "대한민국임시정부Ⅱ(장정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1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Ⅰ(상해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