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성부 시전의 형성과 조선 후기∼대한제국기 시전 공간의 특징 = Formation of Hanseongbu Sijeon and characteristics of Sijeon space in Late Joseon∼Korean Empire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5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양 시전의 공간을 조명하고 도시 한양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며, 조선 초기 시전 행랑의 건설과정과 위치 변화, 시전 건물의 특성 규명, 시전과 행정구역 및 상인 거주지와의 연관성, 도시조직과 행랑과의 관계(물길, 용도에 따른 행랑의 차이 등)를 파악하였다. 시전 행랑은 조선 초기 종로와 혜정교~종묘 입구, 남대문로는 종루~광통교까지 건설되었으며, 주요 시전의 배치는 조선 후기에서 대한제국기까지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시전 건물은 시전의 독특한 운영방식이 적용된 결과로 각 방(房)별로 독립된 공간을 지니는 형식이었다. 도가는 20칸 정도이며, 전방은 31~105평으로 크기가 다양하며 건폐율 77.8% 정도이다. 조선 후기에는 한성부 행정조직 중에 시전 관련 계가 34곳이 존재했다. 일부를 제외하고는 시전과 시전관련 계는 분리되어 있었는데 이는 시전이 상권이 좋은 곳으로 이전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파악하였다. 시전 상인들은 시전 주변이나 한양의 서부인 인달방, 순화방 등에 주로 거주하였다. 행랑은 한양의 도시조직에도 밀접한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종로 행랑과 물길이 동서 평행하게 정비되었음을 지적원도와 문헌상에서 확인하였다. 돈화문로 행랑과 비교할 때 행랑 필지의 깊이가 돈화문로는 15m로 1열 구조이나, 시전 행랑 필지는 10m, 2열 체계로 나타났다. 한양 시전은 필지, 건축, 도로, 물길에 영향을 미쳤고, 한양의 도시공간구조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양 시전의 공간을 조명하고 도시 한양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며, 조선 초기 시전 행랑의 건설과정과 위치 변화, 시전 건물의 특성 규명, 시전과 행정구역 및 상...

      본 논문은 한양 시전의 공간을 조명하고 도시 한양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며, 조선 초기 시전 행랑의 건설과정과 위치 변화, 시전 건물의 특성 규명, 시전과 행정구역 및 상인 거주지와의 연관성, 도시조직과 행랑과의 관계(물길, 용도에 따른 행랑의 차이 등)를 파악하였다. 시전 행랑은 조선 초기 종로와 혜정교~종묘 입구, 남대문로는 종루~광통교까지 건설되었으며, 주요 시전의 배치는 조선 후기에서 대한제국기까지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시전 건물은 시전의 독특한 운영방식이 적용된 결과로 각 방(房)별로 독립된 공간을 지니는 형식이었다. 도가는 20칸 정도이며, 전방은 31~105평으로 크기가 다양하며 건폐율 77.8% 정도이다. 조선 후기에는 한성부 행정조직 중에 시전 관련 계가 34곳이 존재했다. 일부를 제외하고는 시전과 시전관련 계는 분리되어 있었는데 이는 시전이 상권이 좋은 곳으로 이전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파악하였다. 시전 상인들은 시전 주변이나 한양의 서부인 인달방, 순화방 등에 주로 거주하였다. 행랑은 한양의 도시조직에도 밀접한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종로 행랑과 물길이 동서 평행하게 정비되었음을 지적원도와 문헌상에서 확인하였다. 돈화문로 행랑과 비교할 때 행랑 필지의 깊이가 돈화문로는 15m로 1열 구조이나, 시전 행랑 필지는 10m, 2열 체계로 나타났다. 한양 시전은 필지, 건축, 도로, 물길에 영향을 미쳤고, 한양의 도시공간구조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關野貞, "「韓國建築調査報告書」 常民の家屋" 東京帝國大學 1904

      2 박대준, "한국 상업건축의 변천에 관한 연구 : 19세기 이후 소매점과 은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3 정수인, "조선~대한제국기 한성부 시전 공간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2022

      4 김미성, "조선후기 면주전과 명주 생산·유통구조" 연세대학교 2017

      5 박호승, "조선시대 한양시가의 시전행랑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 청진6지구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6 민소희, "조선시대 종로 시전행랑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 종로 청진지구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7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8 김윤주, "조선 초기 수도 한양의불교 사찰 건립과 불사 개설- 태조 이성계의 사찰 건립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66) : 43-72, 2017

      9 심경미 ; 김기호, "시전행랑의 건설로 형성된 종로변 도시조직의 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10 (10): 21-36, 2009

      10 박은숙, "시장의 역사" 역사비평사 2010

      1 關野貞, "「韓國建築調査報告書」 常民の家屋" 東京帝國大學 1904

      2 박대준, "한국 상업건축의 변천에 관한 연구 : 19세기 이후 소매점과 은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3 정수인, "조선~대한제국기 한성부 시전 공간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2022

      4 김미성, "조선후기 면주전과 명주 생산·유통구조" 연세대학교 2017

      5 박호승, "조선시대 한양시가의 시전행랑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 청진6지구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6 민소희, "조선시대 종로 시전행랑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 종로 청진지구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7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8 김윤주, "조선 초기 수도 한양의불교 사찰 건립과 불사 개설- 태조 이성계의 사찰 건립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66) : 43-72, 2017

      9 심경미 ; 김기호, "시전행랑의 건설로 형성된 종로변 도시조직의 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10 (10): 21-36, 2009

      10 박은숙, "시장의 역사" 역사비평사 2010

      11 서동천, "복고와 서양화 사이에서" 한양대학교 출판부 2021

      12 요시다 미츠오, "근세 서울 도시사회 연구 : 한성의 거리와 주민" 심산문화(심산) 2019

      13 한울문화재연구원, "鐘路淸進12∼16地區遺蹟Ⅱ" 한울문화재연구원·지엘메트로씨티 2013

      14 金裕聖, "朝鮮時代 漢陽市街의 行廊建築에 關한 硏究" 延世大學校 大學院 1987

      15 朝鮮總督府, "朝鮮人の商業" 京城 1925

      16 정수인 ; 한동수,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의 배치구조와 공간 변화" 한국건축역사학회 30 (30): 17-28, 2021

      17 정수인 ; 한동수,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 건물의 공간구조와 특징" 한국건축역사학회 31 (31): 7-17, 2022

      18 정수인 ; 한동수, "20세기 초 개성 남대가와 한양 종로 주변 시전의 비교를 통한 상호 관계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31 (31): 19-26,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