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비가시적 세계의 숭고 -『남도사람』과 『비화밀교』를 중심으로- = Sublimity of The invisible world in Lee Cheong-jun`s Novels -Focusing on Namdosaram and Bihwamilgy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58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sublimity found in Namdosaram and Bihwamilgyo and consider the effects of them. Namdosaram is focused on the idea of ‘sound of which words correspond to life’, and Bihwamilgyo is on the abstraction of the invisible world. In brief, these two texts are commonly focused on the object to be presented rather than that to be reproduced. The form of ‘a lump of the sun’ in Namdosaram combines contrastive and heterogeneous elements and arouses contradictory emotion. In addition, brutality of the father who is a singer overthrows the logic of reality. Bihwamilgyo embodies the invisible world into ‘a secret ritual’. In this ritual, ``I`` hears the loud chorus and feels a thrill and terror, and that emotion gets transferred to noble sentiment with the form of a ‘ritual’. The Horse that is Reborn, the ending of Namdosaram series, the writer resolves the irony of ambivalence and finishes the sentiment of the work as sublimity. Also, in Bihwamilgyo, he embodies secret ‘explosion’ and ends with grotesqueness. Considering explosion is ‘tragedy’, we can see that what the writer values here is ‘forgiveness’ and ‘suggestion’ taking the principle of moderation and balance. In Lee Cheong-jun’s works, grotesque elements are adopted often, but they function as a means to elevate sublimity emotion after al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sublimity found in Namdosaram and Bihwamilgyo and consider the effects of them. Namdosaram is focused on the idea of ‘sound of which words correspond to life’, and Bihwamilgyo is on the abst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sublimity found in Namdosaram and Bihwamilgyo and consider the effects of them. Namdosaram is focused on the idea of ‘sound of which words correspond to life’, and Bihwamilgyo is on the abstraction of the invisible world. In brief, these two texts are commonly focused on the object to be presented rather than that to be reproduced. The form of ‘a lump of the sun’ in Namdosaram combines contrastive and heterogeneous elements and arouses contradictory emotion. In addition, brutality of the father who is a singer overthrows the logic of reality. Bihwamilgyo embodies the invisible world into ‘a secret ritual’. In this ritual, ``I`` hears the loud chorus and feels a thrill and terror, and that emotion gets transferred to noble sentiment with the form of a ‘ritual’. The Horse that is Reborn, the ending of Namdosaram series, the writer resolves the irony of ambivalence and finishes the sentiment of the work as sublimity. Also, in Bihwamilgyo, he embodies secret ‘explosion’ and ends with grotesqueness. Considering explosion is ‘tragedy’, we can see that what the writer values here is ‘forgiveness’ and ‘suggestion’ taking the principle of moderation and balance. In Lee Cheong-jun’s works, grotesque elements are adopted often, but they function as a means to elevate sublimity emotion after a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13

      2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1

      3 장윤수, "텍스트 생산의 담론 구조, 이청준의 <비화밀교>" 한국현대소설학회 (27) : 1-12, 2005

      4 김병익, "전망을 위한 성찰" 문학과 지성사 308-323, 1987

      5 김현, "이청준 깊이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6 권택영,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7 성민엽,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8 존 버거,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미학사 1995

      9 박영준, "알레고리스트의 위치와 「비화밀교」의 정치성" 한민족문화학회 (36) : 333-360, 2011

      10 에드먼드 버크,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쾌와 고통에 대한 미학적 탐구" 한길사 2010

      1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13

      2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1

      3 장윤수, "텍스트 생산의 담론 구조, 이청준의 <비화밀교>" 한국현대소설학회 (27) : 1-12, 2005

      4 김병익, "전망을 위한 성찰" 문학과 지성사 308-323, 1987

      5 김현, "이청준 깊이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6 권택영,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7 성민엽,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8 존 버거,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미학사 1995

      9 박영준, "알레고리스트의 위치와 「비화밀교」의 정치성" 한민족문화학회 (36) : 333-360, 2011

      10 에드먼드 버크,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쾌와 고통에 대한 미학적 탐구" 한길사 2010

      11 김예령, "숭고에 대하여" 문학과지성사 2005

      12 이청준, "비화밀교" 나남 1985

      13 유철상, "복수와 해방의 변증법적 화해 : 이청준의 「언어사회학 서설」연작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16 : 197-214, 2001

      14 볼프강 카이저,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아모르문디 2011

      15 롱기누스, "롱기누스의 숭고미 이론" 연세대 출판부 1-148, 2002

      16 장파,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1999

      17 임철규, "눈의 역사 눈의 미학" 한길사 2004

      18 이청준, "남도사람" 문학과비평사 1988

      19 박슬기, "그로테스크 미학의 존재론적 기반과 의의" 인문학연구원 (58) : 177-202, 2007

      20 필립 톰슨, "그로테스크" 서울대 출판부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