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13
2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1
3 장윤수, "텍스트 생산의 담론 구조, 이청준의 <비화밀교>" 한국현대소설학회 (27) : 1-12, 2005
4 김병익, "전망을 위한 성찰" 문학과 지성사 308-323, 1987
5 김현, "이청준 깊이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6 권택영,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7 성민엽,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8 존 버거,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미학사 1995
9 박영준, "알레고리스트의 위치와 「비화밀교」의 정치성" 한민족문화학회 (36) : 333-360, 2011
10 에드먼드 버크,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쾌와 고통에 대한 미학적 탐구" 한길사 2010
1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13
2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1
3 장윤수, "텍스트 생산의 담론 구조, 이청준의 <비화밀교>" 한국현대소설학회 (27) : 1-12, 2005
4 김병익, "전망을 위한 성찰" 문학과 지성사 308-323, 1987
5 김현, "이청준 깊이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6 권택영,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7 성민엽,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8 존 버거,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미학사 1995
9 박영준, "알레고리스트의 위치와 「비화밀교」의 정치성" 한민족문화학회 (36) : 333-360, 2011
10 에드먼드 버크,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쾌와 고통에 대한 미학적 탐구" 한길사 2010
11 김예령, "숭고에 대하여" 문학과지성사 2005
12 이청준, "비화밀교" 나남 1985
13 유철상, "복수와 해방의 변증법적 화해 : 이청준의 「언어사회학 서설」연작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16 : 197-214, 2001
14 볼프강 카이저,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아모르문디 2011
15 롱기누스, "롱기누스의 숭고미 이론" 연세대 출판부 1-148, 2002
16 장파,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1999
17 임철규, "눈의 역사 눈의 미학" 한길사 2004
18 이청준, "남도사람" 문학과비평사 1988
19 박슬기, "그로테스크 미학의 존재론적 기반과 의의" 인문학연구원 (58) : 177-202, 2007
20 필립 톰슨, "그로테스크" 서울대 출판부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