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소설에 나타난 꽃의 문예적 조명 = The literary light Of The Flowers That Appear In The Classical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4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lassical novels formed the literary view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al world through nature. That is, They tried to solve the troubles of those days through the thought that human beings unite with nature. They imagined the mysterious world ...

      The classical novels formed the literary view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al world through nature. That is, They tried to solve the troubles of those days through the thought that human beings unite with nature. They imagined the mysterious world such as fairy world, the other world, Sea king's palace in the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further showed the imagination that human beings communicated with animals or plants. The works based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flowers had appeared among them. The subject 「Hwawangye」 of 『Samguksagi』 discusses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and desires the world that shines by the king's good intentions through flowers. It embodies the right reason and order of the human beings' world through the impersonated flower's world. Like this, the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flowers includes the subject 「Geotaji tales」of 『Samgukyusa』. The story is as follow. the sea king makes her daughter became a spray of flowers and gives it to Goetaji. And then the woman lives with Geotaji after it is changed to her later. The flowers here is the present that the heaven gives the human being that saves the God's world that goes through the hardships and symbolizes the fact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human beings' world is Justice. Flowers actively appear in the classical novels of Joseon age and is first used to bring into relief the hero/heroine in the three dimensions. Choirang of 「Leesaenggyujangjeon」and Sonangja of 「Wikyeongcheonjeon」meet the hero by the feature that they put the spray of flowers on her hair or with the hand. The glamorous and voluptuous beauty of heroines radiates and this suggests that the heroines lead their love relationship that will be developed soon. The flowers of Nanyang princess' dream of conception of 「Guwunmong」and Shimcheong dream of conception of 「Shimcheongjeon」bring into relief the fact that they have the divinity of Heaven. Gyeseomwal and Chunhwang's position present Gisaengs through the peach blossom in their houses in 「Chunhwangjeon」 and 「Guwunmong」. And the flowers of 「Jeonwuchijeon」 brings into relief the Taoism's character of Jeonwuchi. Second, flowers ar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emporal and spatial scene. The fallen blossoms in Suseokgung space of 「Wunyeongjeon」suggest the tragic love of the hero and heroine who early die. The flower garden in the back yard of 「Anbingmonyurok」is changed to the dream's world of Anbing. And the pavilion standing beside a lotus pond that the lotus flowers bloom of 「Jongokjeon」is done to the space that the truth of Jongok reveals. On the other hand, the flowers hav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y are very shortly described in the temporal scene unlike the spatial one. For example, it's not the conventional expression such as 'when the period that they can take the state examination'. It consists of the expression such as 'They match their literary talent in the state examination hall.'. The expression in the three dimensions that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is used is remarkable. Third, the promotion and match of the literary talent that appear in the inserted poem even use the image of flowers. The flowers are used by the subject of the poem that Yangsaeng and female ghosts match the literary talents in 「Manboksajeopogi」. Nangyang princess and Jeonggyeongpe do it with the real flowers in 「Guwunmong」. And the lotus blossom and chrysanthemum do it with theme that they live their lives on enjoying the morality in 「Anbingmongyurok」. Like this, the imaged flowers in the classical novels play a role in more specifically revealing the theme of the individual works. The flowers first contribute to reveal the communication and conflict of the lo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꽃의 형상화 기법 양상
      • Ⅲ. 꽃의 서사 구조적 기능
      • Ⅳ. 꽃을 통해 본 심미주의적 문예관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꽃의 형상화 기법 양상
      • Ⅲ. 꽃의 서사 구조적 기능
      • Ⅳ. 꽃을 통해 본 심미주의적 문예관
      •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영, "화소와 결구방식을 통해 본 영웅소설의 유형성 in: 한국고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새문사 2005

      2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3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0

      4 김근태, "한국고전소설의 서술방식연구" 집문당 2000

      5 김대행, "한국 시의 전통 연구" 개문사 1980

      6 송성욱,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 in: 한국고전소설의 세계" 돌베개 2005

      7 최삼룡, "한국 고소설의 소재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29 : 1991

      8 박태상, "조선조 애정소설연구" 태학사 1996

      9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2004

      10 신해진, "역주 조선후기 세태소설선" 월인 1999

      1 김진영, "화소와 결구방식을 통해 본 영웅소설의 유형성 in: 한국고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새문사 2005

      2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3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0

      4 김근태, "한국고전소설의 서술방식연구" 집문당 2000

      5 김대행, "한국 시의 전통 연구" 개문사 1980

      6 송성욱, "한국 고전소설의 모티프, 그 환상적 성격 in: 한국고전소설의 세계" 돌베개 2005

      7 최삼룡, "한국 고소설의 소재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29 : 1991

      8 박태상, "조선조 애정소설연구" 태학사 1996

      9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2004

      10 신해진, "역주 조선후기 세태소설선" 월인 1999

      11 김진영, "심청전" 민속원 2005

      12 이검국, "신라수이전 집교와 역주" 영남대 출판부 1998

      13 일연, "삼국유사" 솔 1997

      14 김부식, "삼국사기" 솔 1997

      15 최강현, "사군자의 문학적 고찰(Ⅰ)-주로 매화를 중심으로-" 홍익대 출판부 1975

      16 박철희, "문학개론" 형설출판사 1985

      17 이수자, "무속의례의 꽃장식 그 기원과 성격과 의미" 한국무속학회 (14) : 407-442, 2007

      18 윤영옥, "매화와 국화의 시조 in: 시조론" 일조각 1978

      19 유정일, "기재기이 연구" 경인문화사 2005

      20 신광한, "기재기이 in: 고려대 만송문고 영인본" 범우사 1990

      21 김시습, "금오신화" 솔 1998

      22 박성의, "국문학 배경론" 10 : 1954

      23 김만중, "구운몽" 서울대출판부 2007

      24 경일남, "고전소설의 창작기법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7

      25 박일용,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역설적 비극과 낭만:고전소설에 설정된 이상적 인물의 이념과 삶"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1 : 1999

      26 경일남, "고전소설과 삽입 문예양식" 역락 2002

      27 윤광민, "고시조에 나타난 꽃 연구" 성신여대 1986

      28 진동혁, "고시조문학론" 형설출판사 1982

      29 이월영, "고소설론" 월인 2000

      30 안영희, "고대인들에게 반영된 꽃의 의미:꽃의 어원을 중심으로" 숙명뎌대대학교 아세아여성연구소 11 : 1972

      31 이태극, "고대소설의 자연배경론 : 續․한국고대소설연구 서설" 이화여대 3 : 1963

      32 김기동, "〈김희경전〉․〈전우치전〉,《한국고전문학100》" 서문당 1994

      33 김기동, "〈김인향전〉․〈사씨남정기〉,《한국고전문학100》" 서문당 1984

      34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