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텃밭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관계(關係)’(친밀감, 신뢰 등)에 주목하고, 신도시 아파트단지 내 텃밭공간이 주민 간 사회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52589
2016
Korean
도시농업 ; 도시텃밭 ; 사회적 자본 ; 사회적 상호작용 ; 사회결속력 ; Urban Agriculture ; Community Gardens ; Social Capital ; Social Interaction ; Social Cohesion
KCI등재
학술저널
25-40(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텃밭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관계(關係)’(친밀감, 신뢰 등)에 주목하고, 신도시 아파트단지 내 텃밭공간이 주민 간 사회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
본 연구는 텃밭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관계(關係)’(친밀감, 신뢰 등)에 주목하고, 신도시 아파트단지 내 텃밭공간이 주민 간 사회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향후도시개발 계획 및 설계에 시사점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대상지는 수도권에 위치한 ‘경기도 용인시 동백지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및 파트너쉽의 경우 텃밭 이용자 집단은 비이용자 집단에 비해 상호간에 교류가 많고 주민 이웃주민 여가 활동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 및 관용성 부문에서는 텃밭 이용자 집단이 상대적으로 아파트주민들에 대한 친밀감이 유의미한 범위에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이웃주민에 대한 신뢰감과 아파트 전체 이미지에 대한 친밀감의 수준 역시 텃밭 이용자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 및 시민의식 부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텃밭 이용자 집단과 비이용자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이웃주민 간 사회연결망분석결과 텃밭 이용자 집단이 이웃과의 관계망이 보다 복잡하고 광범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relationships’ (affinity, trust, etc.) created through community gardening and analyze the impact of a community garden in a new town apartment complex on the formation of social connectedness among 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relationships’ (affinity, trust, etc.) created through community gardening and analyze the impact of a community garden in a new town apartment complex on the formation of social connectedness among residents in order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urban development planning and desig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mmunity gardens in apartment complexes of ‘Dongbaek district, Yongin city, Gyunggi province’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network and partnership, community garden users showed higher interactions and more frequent leisure activities with their neighbors compared to non-users. Second, in trust and tolerance, it was demonstrated that community garden users had a stronger sense of affinity to neighboring residents. Third, in terms of civic engagement and civic consciousn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munity garden users and non-users. Fourth, as a resul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mong residents, it was shown that social network among community garden users was more complex and extensiv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that community gardens can be applied to the recently increasing urban development plans and designs in the
metropolitan area so that social connectedness among residents can be reinforced.
목차 (Table of Contents)
1960년대 이후 도시기본계획이 서울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친 영향
커뮤니티 가든 활성화를 위한 공동주택단지 내 외부 공간 선호도 연구
사회연결망분석(SNA)을 활용한 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자의 이웃관계 변화분석
글로벌 인재포럼 2006: 마리엄아세파 국제교육자협회(NAFSA) 회장
글로벌 인재포럼 Miriam Assefa(Association of International Educators), Doo-hee Lee(APAIE)Scientific Imagineer를 꿈꾸다
성균관대학교 김범준글로벌 인재포럼 2006: 존 헤일리 왓슨 와이어트 회장
글로벌 인재포럼 , John J.Haley(Watson Wyatt), Young-Sul Kwon사회복지행정론
이화여자대학교 조상미글로벌 인재포럼 2006: 글로벌 인재 풀의 형성 - HE관점
글로벌 인재포럼 Martha C. Piper, YoonDae Euh, Jean-Robert Pi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