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주령과 진통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른 정상 임부의 혈청 CRP치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1992년 3월 1일 부터 1993년 8월 31일 까지 18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93961
1993
Korean
510.5
학술저널
298-305(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임신주령과 진통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른 정상 임부의 혈청 CRP치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1992년 3월 1일 부터 1993년 8월 31일 까지 18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
임신주령과 진통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른 정상 임부의 혈청 CRP치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1992년 3월 1일 부터 1993년 8월 31일 까지 18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0주에서 44주 사이의 건강한 임부 521명을 대상으로 혈청 CRP치를 측정하여 임신주령과 진통의 유무, 양막의 파열여부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CRP치 0.8㎎/㎗ 이상과 2.0㎎/㎗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각각12%(61/521)와 4%(22/521)이었다.
2. 임신주령 37주이하의 만삭전 임부군과 38주이상의 만삭임부군, 양막 파열 임부군과 비파열 임부군, 자궁경관 개대 3㎝이하 임부군과 4㎝이상 임부군의 비교에서 혈청 CRP치 0.8㎎/㎗ 이상과 2.0㎎/㎗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진통이 없는 임부군과 진통중인 임부군의 비교에서 혈청 CRP치 0.8㎎/㎗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각각 5.93%와 13.7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나 혈청 CRP치 2.0㎎/㎗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4. 임신주령 37주 이하의 만삭전 임부군에서 혈청 CRP치 0.8㎎/㎗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진통중인 임부군이 23.64%로 진통이 없는 임부군의 4.69%보다 현저히 높았으며(p<0.001), 혈청 CRP치 2.0㎎/㎗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도 진통중인 임부군과 진통이 없는 임부군이 각각 12.73%와 3.1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p<0.05)가 있었다.
임신주령 38주 이상의 만삭 임부군에서 진통이 없는 임부군과 진통중인 임부군을 비교하여 혈청 CRP치 0.8㎎/㎗ 이상과 2.0㎎/㎗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임부의 감염을 조기 예측하는데 있어 기왕에 조기진통 임부에서 임상적 감염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혈청 CRP치 2.0㎎/㎗은 진통중인 만삭임부에서도 양막파열여부와 분만의 진행정도와 무관하게 유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조기진통 임부의 처치시 혈청 CRP치가 0.8㎎/bl 이상인 경우 임부의 불현성 감염을 의심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maternal serum C-reactive protein measurement in early detection of infectious morbidity at term laboring women,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s were measured in 521 healthy pregnant women; 64 who were n...
In order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maternal serum C-reactive protein measurement in early detection of infectious morbidity at term laboring women,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s were measured in 521 healthy pregnant women; 64 who were not in labor before term, 55 who were in labor before term, 71 who were not in labor at term and 331 who were in labor at term. The frequencies of elevated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were compared in relation to the gestational wee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labor, the status of amniotic membranes and the degree of cervical dila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ies of women with elevated serum C-reactive protein, 0.8㎎/㎗ or higher and 2.0㎎/㎗ or higher, in 521 health pregnant women were 12% and 4%, respectively.
2. C-reactive protein levels of 0.8㎎/㎗ or higher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of women in labor than those not in labor(5.93%, vs. 13.73%, p<0.05), but the frequencies of C-reactive protein level of 2.0㎎/㎗ or higher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The frequencies of C-reactive protein level of 0.8㎎/㎗ or higher and 2.0㎎/㎗ or higher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before term and at term, intact and ruptured membranes, latent phase and active phase of labor, respectively.
3. Before term, C-reactive protein levels of 0.8㎎/㎗ or higher and 2.0㎎/㎗ or higher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of women in labor than those not in labor(23.64 vs. 4.69, p<0.001 and 12.73% vs. 3.13%, p<0.05, respectively), but those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 seen between both group at term.
Above results and review of literature suggest that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of 2.0㎎/㎗ or higher may be reliable in early detection of infectious morbidity at term laboring women as well as laboring women before term, and the presence of subclinical infection should be suspected in the laboring women before term with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of 0.8㎎/㎗ or higher.
실험동물에서 두개강내 정맥동의 부위별 폐쇄가 두개강내에 미치는 영향
Mefenamic acid를 이용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치험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2-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03 | 0.03 | 0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