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료포락분석 모형을 활용한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효율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Care-Service Efficiency of National and Private Child-Care Center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2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service by national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get objective and scientific information to enhance their efficiency, by the utilization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 this, we performed an efficiency analysis for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in thre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checked related characteristics by multilateral reviews of the criterion groups and the efficiency analysis values, such as the conduciveness, for each of the CCR and BCC models; and selected the influence variables for the efficiency. As a result, ten child-care centers were found to be efficient ones, while 42 child-care centers turned out to be ones with inefficiency from the causes by their scales. We could see that the efficient child-care centers generate higher or similar levels of output elements through relatively much lower levels of input elements. And we performed Tobit Analysis for the variables, such as the child care tuition, the personnel expenses and the subsidy, which were expected to exert influences on the efficiency of the child-care centers and found out that all these independent variables have meaningful influences upon the efficiency. We also confirmed that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private child-care centers is higher than that of the national child-care centers, by the mutual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values for each type of the child-care centers. When we compared the efficiency grades by the fiscal self-reliance ratios of the autonomous districts, which we had expected to show meaningful differences, we could not stipul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scal self-reliance ratio and the efficiency of the child-care cent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service by national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get objective and scientific information to enhance their efficiency, by the utilization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service by national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get objective and scientific information to enhance their efficiency, by the utilization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 this, we performed an efficiency analysis for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in three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checked related characteristics by multilateral reviews of the criterion groups and the efficiency analysis values, such as the conduciveness, for each of the CCR and BCC models; and selected the influence variables for the efficiency. As a result, ten child-care centers were found to be efficient ones, while 42 child-care centers turned out to be ones with inefficiency from the causes by their scales. We could see that the efficient child-care centers generate higher or similar levels of output elements through relatively much lower levels of input elements. And we performed Tobit Analysis for the variables, such as the child care tuition, the personnel expenses and the subsidy, which were expected to exert influences on the efficiency of the child-care centers and found out that all these independent variables have meaningful influences upon the efficiency. We also confirmed that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private child-care centers is higher than that of the national child-care centers, by the mutual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values for each type of the child-care centers. When we compared the efficiency grades by the fiscal self-reliance ratios of the autonomous districts, which we had expected to show meaningful differences, we could not stipul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scal self-reliance ratio and the efficiency of the child-care cen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을 파악하고,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객관적·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시 3개 자치구 내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후, CCR 모형과 BCC 모형 별로 준거집단과 기여도 등 효율성 분석 값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로 관련 특성을 확인하고,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 변수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10개소의 어린이집이 효율적인 어린이집으로 파악되었으며, 42개소 어린이집이 규모에 의한 영향을 원인으로 비효율이 발생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효율적 어린이집은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수준의 투입요소를 통해 높거나 유사한 수준의 산출요소를 생성하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보육료, 인건비, 보조금 등 변수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 모두가 효율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어린이집 유형별 효율성 값을 상호 비교하여 민간어린이집이 국공립어린이집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재정자립도 별로 구분하여 효율성 점수를 비교하였으나 자치구의 재정상태와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효율성 간 상관관계를 규정할 수 없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을 파악하고,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객관적·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을 파악하고,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객관적·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시 3개 자치구 내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후, CCR 모형과 BCC 모형 별로 준거집단과 기여도 등 효율성 분석 값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로 관련 특성을 확인하고,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 변수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10개소의 어린이집이 효율적인 어린이집으로 파악되었으며, 42개소 어린이집이 규모에 의한 영향을 원인으로 비효율이 발생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효율적 어린이집은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수준의 투입요소를 통해 높거나 유사한 수준의 산출요소를 생성하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보육료, 인건비, 보조금 등 변수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 모두가 효율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어린이집 유형별 효율성 값을 상호 비교하여 민간어린이집이 국공립어린이집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재정자립도 별로 구분하여 효율성 점수를 비교하였으나 자치구의 재정상태와 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효율성 간 상관관계를 규정할 수 없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봉민근, "한국보육정책에 관한 연구" 589-614, 2009

      2 이동수, "한국 보육정책의 환경과 과제" 25 (25): 43-63, 2006

      3 장기영, "지역사회 보육시설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4 윤경준, "지방정부 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 대도시 보건소에 대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5 정형지, "제3세대 R&D 그 이후" 경덕출판사 2007

      6 이동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에 관한 DEA의 적용" 9 (9): 89-123, 1993

      7 류영아,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보육시설 평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 (20): 225-254, 2006

      8 김미주,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보육정책의 과제" 한국보육학회 3 (3): 17-28, 2003

      9 서상범, "우선순위제약 DEA모델을 이용한 서비스조직의 성과평가" 한국경영과학회 23 (23): 93-108, 2006

      10 이미정, "우리나라 영유아보육정책의 변천과 발전방안" 한국보육학회 6 (6): 81-98, 2006

      1 봉민근, "한국보육정책에 관한 연구" 589-614, 2009

      2 이동수, "한국 보육정책의 환경과 과제" 25 (25): 43-63, 2006

      3 장기영, "지역사회 보육시설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4 윤경준, "지방정부 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 대도시 보건소에 대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5 정형지, "제3세대 R&D 그 이후" 경덕출판사 2007

      6 이동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에 관한 DEA의 적용" 9 (9): 89-123, 1993

      7 류영아,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보육시설 평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 (20): 225-254, 2006

      8 김미주,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보육정책의 과제" 한국보육학회 3 (3): 17-28, 2003

      9 서상범, "우선순위제약 DEA모델을 이용한 서비스조직의 성과평가" 한국경영과학회 23 (23): 93-108, 2006

      10 이미정, "우리나라 영유아보육정책의 변천과 발전방안" 한국보육학회 6 (6): 81-98, 2006

      11 김명순, "영아를 위한 대화식 그림책읽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5 (25): 41-57, 2004

      12 전춘애, "어머니의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성 인식 정도" 17 : 355-379, 1999

      13 이재무,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혁신자적 인지형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0 (80): 65-83, 2013

      14 유희정,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재정운영 비교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15 정몽준, "시장경제의 약속" 미다스북스 2012

      16 김재환,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보육학회 9 (9): 43-72, 2009

      17 김춘희, "서비스 질의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145-164, 2013

      18 노은호, "보육환경의 질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2 (12): 67-83, 2012

      19 김익균, "보육정책의 복지혼합적 고찰" 한국보육학회 10 (10): 38-58, 2010

      20 장영인, "보육재정 지원방식의 쟁점분석과 과제- 시설별지원과 아동별지원 간의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5 (45): 251-279, 2006

      21 박애경,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따른 보육시설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 수원지역 보육시설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7 (7): 25-42, 2007

      22 김혜금, "보육시설 유형과 이용시간에 따른 취업모의 취업에 대한 태도 및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 대한가정학회 48 (48): 111-118, 2010

      23 박희서, "보육시설 능률성 평가에 관한 연구-AHP와 DEA 분석의 적용을 중심으로" 2008

      24 이점자,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01-120, 2012

      25 조인숙, "보육 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6 조택, "민영화의 효과와 한계" 8 (8): 113-127, 1994

      27 임양미, "민간어린이집 유아반 보육료 현실화 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보육학회 13 (13): 45-69, 2013

      28 선대인, "문제는 경제다" 웅진지식하우스 2012

      29 노영희, "기관규모에 따른 어린이집 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학회 14 (14): 1-22, 2014

      30 남윤인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방안은 무엇인가?" 1-110, 2012

      31 이재무,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창의성 및 협력에 관한 연구 - MBTI유형에 따른 차이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보육학회 13 (13): 47-71, 2013

      32 서문희, "국공립보육시설 위탁운영의 현황과 개선방안" 25 : 165-187, 2001

      33 서영숙, "국·공립 보육시설의 재정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16 : 127-151, 1998

      34 김태호,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보육산업의 연도별⦁지역별 효율성 측정"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2555-2569, 2009

      35 이미정, "공보육 확충정책과 공공형 어린이집 정책 고찰" 한국보육학회 12 (12): 1-24, 2012

      36 송대희, "공기업 경영평가의 이론적 배경과 기법" 한국개발연구원 1987

      37 오연천, "강한 시장, 건강한 정부" 올리브엠앤비 2009

      38 오동일, "가중치에 대한 제약 및 분석 표본 수에 따른 DEA 효율성과 참조집단의 변화에 대한 실험연구" 29 (29): 748-768, 2000

      39 안현미,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 모델’의 적용방안 연구 - 서울국공립보육시설연합회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6 (56): 255-278, 2009

      40 Banker, R. D.,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30 (30): 1078-1092, 1984

      41 표갑수, "SERVQUAL 모델을 이용한 영유아통합지원사업 서비스 질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2 (72): 21-41, 2012

      42 Holzer, M., "Public productivity handbook" Marcel Decker 1992

      43 Dalton, T. C., "Promoting Productivity in the Public ector" Macmillan Press 1988

      44 Rogers, S., "Performance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Longman 1990

      45 Charnes, A.,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es" 2 : 429-444, 1978

      46 Worthington, A. C., "Measuring efficiency in local governments planning and regulatory function" 23 (23): 469-485, 2000

      47 Metters, R. D., "Measurement of multiple sites in service firms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8 (8): 264-281, 1999

      48 White, L. A., "Ideas and the welfare state : explaining child care policy development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35 (35): 713-743, 2002

      49 Okun, A. M., "Equality and efficiency, the big tradeoff" The Brookings institution 1975

      50 Maxcy, J. G., "Efficiency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FBS college football : to the Employment and succession decisions, which matters the most, coaching or recruiting?" 14 (14): 368-388, 2013

      51 모수원, "DEA와 Tobit모형을 이용한 유치원의 효율성과 결정요인" 한국산업경제학회 24 (24): 2367-2378, 2011

      52 최문경, "DEA에 있어서 의사결정단위의 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9 (9): 89-110, 1995

      53 조성명, "DEA모형을 활용한 강남구 국공립어린이집의 운영 효율성 분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54 권영훈, "DEA모형을 이용한 대학운영효율성 분석 연구; 수도권 소재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1 (11): 179-208, 2010

      55 나민주, "DEA를 황용한 대학교육의 효율성 국제 비교"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4 (14): 205-238, 2005

      56 박희숙, "DEA를 활용한 전국 영유아보육과의 효율성 분석 - 전문학사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보육학회 13 (13): 145-162, 2013

      57 윤홍주, "DEA를 활용한 교육대학교 운영의 효율성 평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7 (17): 29-57, 2008

      58 박경삼, "DEA 및 DEA윈도우분석을 이용한 대규모 종합병원의시대별 경영효율성 변화분석" 한국경영학회 34 (34): 267-287, 2005

      59 Boussofiane, A., "Applied data envelopment analysis" 52 : 1-15,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2 1.92 2.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3 2.33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