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의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과 우울 등이 심한 인구를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고독사․자살 예방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돌봄의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과 우울 등이 심한 인구를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고독사․자살 예방 ...
돌봄의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과 우울 등이 심한 인구를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고독사․자살 예방 목적의 노인돌봄 사업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업의 개선방안 및 고독사․자살예방과 같은 돌봄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성과평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RE-AIM 모형을 분석의 틀로 삼고, 노인맞춤돌봄 특화서비스 사업의 시행과정과 성과 중에서도 대상자 발굴과 선정, 그리고 서비스 제공 상의 과정과 성과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절반의 성공인 대상자 모집과 발굴, 2) 고독사․자살예방 사업의 또 다른 사각지대, 3) 여섯 가지 이유가 맞물려 유난히 수행하기 어려운 사업을 굴러가게 하는 힘, 4) 서서히 나타나는 이용자의 변화는 전적으로 전담인력의 공(功).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위험 노인돌봄 사업과 같은 고독사․자살예방 사업의 실행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다섯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1) 고위험 노인돌봄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개선과 제도적 뒷받침, 2) 돌봄 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한 대상자 선정기준 제고, 3) 서비스 제공자의 고용안정과 처우개선, 4) 사업과 관련된 모든 주체에 대한 평가 및 과정적 성과 중심의 평가, 5) 사업 기획단계에서부터 RE-AIM 모형의 영역별 내용을 고려한 사업의 성과 설정 및 사업지원 체계 구축.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원, "코로나 19가 노인에게 미친 영향과 건강권에 대한 시사점: 의료적 관점" 9-28, 2020
2 박미진,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사회적 고립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21 (21): 91-110, 2013
3 최윤정 ; 이미경 ; 김은아 ; 서은해, "지역사회 기반 재가노인 우울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부산재가노인복지협회 빅.마.마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5) : 1-29, 2018
4 노승현 ; 김연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7 (47): 60-88, 2019
5 이미경 ; 최윤정,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사회복지사의정신건강서비스 개입 경험- 우울 및 자살예방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51-179, 2018
6 주경희 ; 민소영, "은둔형 독거노인 지역돌봄지지망 구축 경험- 『 별들에게 물어봐』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2) : 121-160, 2017
7 김기덕, "신자유주의 시대의 관리주의: 그 맥락과 의미" 1-15, 2016
8 김수경, "서울시 학교흡연예방사업의 과정평가: RE-AIM framework의 적용" 서울대학교 2017
9 정병오,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관리주의적 영향과 극복에 대한 고찰" 60-95, 2017
10 차은석 ; 이소정, "비암성 만성질환자 대상 완화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의 접근성 및 효과성 검증; 파일럿 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84-97, 2020
1 정희원, "코로나 19가 노인에게 미친 영향과 건강권에 대한 시사점: 의료적 관점" 9-28, 2020
2 박미진,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사회적 고립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21 (21): 91-110, 2013
3 최윤정 ; 이미경 ; 김은아 ; 서은해, "지역사회 기반 재가노인 우울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부산재가노인복지협회 빅.마.마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5) : 1-29, 2018
4 노승현 ; 김연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7 (47): 60-88, 2019
5 이미경 ; 최윤정,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사회복지사의정신건강서비스 개입 경험- 우울 및 자살예방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51-179, 2018
6 주경희 ; 민소영, "은둔형 독거노인 지역돌봄지지망 구축 경험- 『 별들에게 물어봐』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2) : 121-160, 2017
7 김기덕, "신자유주의 시대의 관리주의: 그 맥락과 의미" 1-15, 2016
8 김수경, "서울시 학교흡연예방사업의 과정평가: RE-AIM framework의 적용" 서울대학교 2017
9 정병오,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관리주의적 영향과 극복에 대한 고찰" 60-95, 2017
10 차은석 ; 이소정, "비암성 만성질환자 대상 완화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의 접근성 및 효과성 검증; 파일럿 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84-97, 2020
11 권혁철,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빈곤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6 (26): 135-160, 2019
12 권중돈, "독거노인 생활실태 분석 및 적정 보호인구 추계"
13 김혜경 ; 김명 ; 이은희 ; 권은주 ; 조한익, "대학생 절주교육 프로그램(과음없는 캠퍼스 만들기) 개발: Intervention Mapping과 Transtheoretical Model의 적용"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145-160, 2011
14 김유진, "노인자살예방실천을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과제 :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토대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4 (14): 89-112, 2011
15 이현아 ; 이준우,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성과의 의미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노년학회 36 (36): 649-671, 2016
16 이정희 ; 김창희, "노인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사례관리 경험 연구- 사회복지사들의 실천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81-111, 2018
17 전용호 ; 이석환,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초기 이슈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77 (77): 225-252, 2022
18 전용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 한국노년학회 40 (40): 599-616, 2020
19 류재성 ; 김문두 ; 이창인 ; 박준혁, "노인 아증후군적 우울증 환자의 인지기능 및 삶의 질 저하"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 (20): 45-53, 2013
20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21 김유진, "고위험 노인돌봄과 정신건강 개입의 만남: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내 「특화서비스」" 한국노년학회 40 (40): 577-598, 2020
22 김유진, "「독거노인 친구만들기」를 통해 살펴본 ‘숨겨진 이웃’,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8 (38): 1149-1171, 2018
23 Chew-Graham, C., "Why may older people with depression not present to primary care? Messages from secondary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20 (20): 52-60, 2012
24 Jauregui, E., "Using the RE-AIM framework to evaluate physical activity public health programs in México" 15 (15): 1-9, 2015
25 Gaglio, B., "The RE-AIM framework: a systematic review of use over time" 103 (103): e38-e46, 2013
26 Theeke, L. A.,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risks for loneliness and outcome differences by loneliness status in a sample of US older adults" 3 (3): 113-125, 2010
27 McInnis-Dittrich, K., "Social work with elders: A biopsychosoci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earson 2014
28 Fortune, A. E.,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for the 21st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79-295, 2010
29 Lubben, J., "Social isolation presents a grand challenge for social work" 2015
30 Gale, C. R.,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s risk factors for the progression of frailty :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47 (47): 392-397, 2018
31 Flanagan, S. M., "Reaching the hard to reach : lessons learned from the VCS(voluntary and community Sector)" 10 (10): 1-9, 2010
32 Froonjian, J., "Reaching the hard to reach : drawing lessons from research and practice" 36 : 831-839, 2013
33 Glasgow, R. E., "RE-AIM planning and evaluation framework : adapting to new science and practice with a 20-year review" 7 : 64-, 2019
34 Holtrop, J. S., "Qualitative approaches to use of the RE-AIM framework : rationale and methods" 18 (18): 1-10, 2018
35 Windle, K., "Preventing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 interventions and outcomes" Social Care Institute for Excellence 2011
36 Qiu, W. Q.,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homebound older adults : an overlooked population" 58 (58): 2423-2428, 2010
37 Marcia G. Ory, "Perceived Utility of the RE-AIM Framework for Health Promotion/Disease Prevention Initiatives for Older Adults: A Case Study from the U.S. Evidence-Based Disease Prevention Initiative" Frontiers Media SA 2 : 143-, 2015
38 Martin, L. L.,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human service programs" Sage 2010
39 Kobayashi, K. M., "Making meaningful connections : A profile of social isolation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small town and small city" 21 (21): 374-397, 2009
40 Gardiner, C., "Interventions to reduce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mong older people : an integrative review" 26 (26): 147-157, 2018
41 Fraser, M. W., "Intervention research : Developing social program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2 Prohaska, T., "External validity and translation from research to implementation" 34 (34): 59-65, 2010
43 R E Glasgow, "Evaluating the public health impact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the RE-AIM framework."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89 (89): 1322-1327, 1999
44 Newbould, L., "Enabling older people with mental health needs to engage with community social care : A scoping review to inform a theory of change" 30 (30): 1286-1306, 2021
45 Kellehear, A., "Dying old : and preferably alone? Agency, resistance and dissent at the end of life" 4 (4): 5-21, 2009
46 Brownson, R. C.,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research in health : translating science to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47 King, R., "Compiling a caseload index for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38 (38): 455-462, 2004
48 Yang, J. A., "Clinical mental health outreach to older adults : Serving the hard-to-serve" 29 (29): 71-79, 2006
49 Marcia G. Ory, "Changing behavior throughout the life-course: Translating the success of aging research"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 (2): 159-162, 2012
50 Richard Armitage, "COVID-19 and the consequences of isolating the elderly" Elsevier BV 5 (5): e256-, 2020
51 Rachel C. Shelton, "An Extension of RE-AIM to Enhance Sustainability: Addressing Dynamic Context and Promoting Health Equity Over Time" Frontiers Media SA 8 : 134-, 2020
52 Segal, D. L., "Aging and mental health" John Wiley & Sons 2011
53 van Citters, A. D.,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outreach services for older adults" 55 (55): 1237-1249, 2004
54 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 "2022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교육 자료" 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 2022
55 보건복지부, "2022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22
56 보건복지부, "2021 자살예방백서" 보건복지부 2021
청년사회서비스사업의 운영실태와 개선과제: 사업관계자 FGI와 설문조사 중심의 고찰
사회적기업의 성장단계별 재정지원의 효과는 어떠한가? -서울시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2 | 1.86 | 2.025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