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거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제곱법(OLS)과 공간계량경제모형인 공간자기회귀모형(SAR), 공간오차모형(SEM)과 비모수적 추정방법인 지리적 가중회귀모형(GWR)을 이용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23207
2021
Korean
Housing Price ; Residential Environment ; SAR Model ; SEM Model ; GWR Model ; 주택매매가격 ; 주거환경 ; 공간자기회귀모형 ; 공간오차모형 ; 지리적 가중회귀모형
KCI등재
학술저널
135-151(1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제곱법(OLS)과 공간계량경제모형인 공간자기회귀모형(SAR), 공간오차모형(SEM)과 비모수적 추정방법인 지리적 가중회귀모형(GWR)을 이용해...
본 연구는 주거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제곱법(OLS)과 공간계량경제모형인 공간자기회귀모형(SAR), 공간오차모형(SEM)과 비모수적 추정방법인 지리적 가중회귀모형(GWR)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25개구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2018년으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주택매매가격으로 독립변수는 물리적 주거환경 및 사회적, 경제적 주거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AIC 평가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네 개의 모형 중 GWR 모형이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자전거도로 길이, 의료기관 수, 체육기관 수, 지방세징수액, 공원면적, 유통업체 연면적은 주택매매가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초생활수급자는 주택매매가격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ffects the housing price by using OLS, SAR, SEM and GWR Model. The spatial scope was 2018, and the spatial range was 25 areas in Seou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House Price index and th...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ffects the housing price by using OLS, SAR, SEM and GWR Model. The spatial scope was 2018, and the spatial range was 25 areas in Seou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House Price index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residential environment, social and economic liv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GWR model performed the most out of the four models when compared with the AIC evaluation criteria. As a result, most of the variables, such as the length of bike path,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sports facilities, the amount of local taxes, the area of the park give a positive (+) effect on the House Price Index.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gives negative (-) effect on the House Price Index.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강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기반의 상황인식 사용자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24 (24): 942-948, 2020
2 조동기, "지역 단위 조사연구와 공간정보의 활용: 지리정보시스템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0 (10): 1-19, 2009
3 박일수, "지리적 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심정지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37-257, 2013
4 윤성도, "제6회대학원생 논문공모 시상논문집" 통계청 2008
5 전해정, "위계적 선형모형과 GIS를 활용한 도시 주거환경요인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5) : 133-145, 2016
6 최열,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71-82, 2004
7 윤효묵, "서울시의 지역주거환경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9 (19): 235-253, 2013
8 고원용, "서울시 주택 하위시장별 주거환경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17 (17): 9-27, 2001
9 김명연, "근린환경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2 (22): 163-175, 2019
10 김재익, "국지적 주거환경특성이 주택유형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 한국주택학회 25 (25): 175-195, 2017
1 이강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기반의 상황인식 사용자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24 (24): 942-948, 2020
2 조동기, "지역 단위 조사연구와 공간정보의 활용: 지리정보시스템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0 (10): 1-19, 2009
3 박일수, "지리적 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심정지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37-257, 2013
4 윤성도, "제6회대학원생 논문공모 시상논문집" 통계청 2008
5 전해정, "위계적 선형모형과 GIS를 활용한 도시 주거환경요인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5) : 133-145, 2016
6 최열,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71-82, 2004
7 윤효묵, "서울시의 지역주거환경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9 (19): 235-253, 2013
8 고원용, "서울시 주택 하위시장별 주거환경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17 (17): 9-27, 2001
9 김명연, "근린환경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2 (22): 163-175, 2019
10 김재익, "국지적 주거환경특성이 주택유형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 한국주택학회 25 (25): 175-195, 2017
11 최윤아, "공동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소의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15-124, 2006
12 박헌수, "공간패널모형을 활용한 우리나라 주택가격의 동학적 특성분석" 한국지역학회 30 (30): 3-18, 2014
13 전해정, "공간계량분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주택가격모형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4) : 46-56, 2016
14 김대영,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의 공간적 분석" 국토지리학회 48 (48): 325-336, 2014
부동산실명법 실효성 제고에 관한 연구: 명의신탁자에게 이익의 귀속을 금지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위험건축물의 긴급정비사업에 따른 원주민의 조기 이주 및 보상의 법정책적 과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