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교회에서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선교적 교회에 대해 북미 교회 위기의 상황에서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삼자대화를 통해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제기된 문제와 대안을 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82450
2014
-
선교적 교회 ; 문화 ; 지역교회 ; 신학함 ; 리더십 ; 민중교회 ; missional church ; culture ; local church ; doing theology ; leadership ; Minjung church
230
KCI등재
학술저널
489-529(4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교회에서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선교적 교회에 대해 북미 교회 위기의 상황에서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삼자대화를 통해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제기된 문제와 대안을 배...
이 글은 한국교회에서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선교적 교회에 대해 북미 교회 위기의 상황에서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삼자대화를 통해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제기된 문제와 대안을 배우고, 그런 관점에서 한국의 민중교회를 살핌으로써 양쪽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상호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교회 뿐 아니라 북미 교회에서도 선교적 교회를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신학적으로 깊이 있는 논의이기 때문이어서 이해가 쉽지 않은 측면이 있고, 목회자들이 결국은 교회중심적 선교관을 포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은 선교적 교회론이 태동된 배경과 신학적 전제와 정의,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가 지역교회를 강조하기 때문에 선교적 지역교회에서 신학함을 다루고, 지역교회로서의 선교활동이 갖고 있는 내용이 앞에서 언급했던 신학적 방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려 한다. 그리고 선교적 공동체를 육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또 선교적 리더십이 선교적 공동체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선교적 리더십의 기초와 형태를 다룬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론의 장점과 한계를 지적한다.
이런 선교적 교회론을 민중교회에 적용해 보면 우선 신학적 회심과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북미교회가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대화를 한다면, 민중교회는 시대적 과제와 씨름하려 했기 때문에 삼자대화가 큰 의미를 갖기보다는 민중교회에 대한 민중의 반응이 초래한 민중에 대한 부정적 이해가 민중교회와 목회자의 정체성을 변화시키고, 이전보다 더 확대된 민중선교를 하게 됨을 본다. 그리고 민중교회에서 선교적 교회의 구성요소와 신학함, 그리고 선교활동을 살펴본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민중교회의 장점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main points of the missional church of the North America and to apply them to the Minjung church in South Korea so that the merits of both churches,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Minjung church could complement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main points of the missional church of the North America and to apply them to the Minjung church in South Korea so that the merits of both churches,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Minjung church could complement each other.
It is not easy for us to understand the missional church, for the missional church is produced by the results of the theological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in depth. Even though we agree with th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new orientations such as the Trinity, the reign of God and the missio Dei, it is almost impossible for us to be liberated from the attractional church. In other words, unless the mind-set of the attractional church is dead the missional church cannot be born. That is the reason why so many pastors looking for the missional church turn out to be satisfied with new mission strategies rather than to keep those theological orientation in mind.
As the local church is the focal point of the missional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local church is necessary for the missional church. There are three types of doing theology, community theology, prophetic theology and outsider theology. The local church should participate in the missio Dei for the sake of the reign of God through identifying the boundary-breaking activities of the Holy Spirit, becoming a witness to the reign of God and challenging to the current unjust system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Foundations of the missional leadership are Jesus Christ who confronts the current power of the world, the Holy Spirit who leads the people of God toward the reign of God, and the recovered eschatology.
The Minjung church aims at the reign of Go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missio Dei,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As the Minjung church wrestles with the signs of the times the Minjung church is beyond the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the Minjung church on its theological orientation was radical enough to accept thos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orientation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njung mission became diversified from the mid-nineties for Minjung pastors who participated in the boundary-breaking mission of the Holy Spirit. This resulted in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the Minjung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Minjung church, however, is limited to Minjung pastors so laity and women of the Minjung church must involve in doing theology in the near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일, "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세계선교연구원 (30) : 75-115, 2012
2 이후천,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접근방법들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세계선교연구원 (30) : 49-74, 2012
3 황홍렬, "한국기독교의 디아코니아 사례와 선교신학적 의의: 대안적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선교신학회 19 (19): 11-40, 2008
4 황홍렬, "한국 민중교회 선교역사(1983-1997)와 민중선교론" 한들출판사 2004
5 박천응, "이주민신학과 국경없는 마을실천" 국경없는마을 2006
6 대럴 구더, "선교적 교회: 북미 교회의 파송을 위한 비전" 주안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13
7 Rouse, Rick, "선교적 교회 만들기: 성공적인 교회변혁을 위한 지침서" 한국교회선교연구소 2013
8 레슬리 뉴비긴, "선교신학개요" 한국신학연구소 1995
9 정승현, "서구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태동 및 발전" 세계선교연구원 (30) : 13-48, 2012
10 박보경, "복음주의 진영의 선교적 회중(Missional Congregation) 모색" 한국선교신학회 32 (32): 201-234, 2013
1 한국일, "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세계선교연구원 (30) : 75-115, 2012
2 이후천,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접근방법들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세계선교연구원 (30) : 49-74, 2012
3 황홍렬, "한국기독교의 디아코니아 사례와 선교신학적 의의: 대안적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선교신학회 19 (19): 11-40, 2008
4 황홍렬, "한국 민중교회 선교역사(1983-1997)와 민중선교론" 한들출판사 2004
5 박천응, "이주민신학과 국경없는 마을실천" 국경없는마을 2006
6 대럴 구더, "선교적 교회: 북미 교회의 파송을 위한 비전" 주안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13
7 Rouse, Rick, "선교적 교회 만들기: 성공적인 교회변혁을 위한 지침서" 한국교회선교연구소 2013
8 레슬리 뉴비긴, "선교신학개요" 한국신학연구소 1995
9 정승현, "서구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태동 및 발전" 세계선교연구원 (30) : 13-48, 2012
10 박보경, "복음주의 진영의 선교적 회중(Missional Congregation) 모색" 한국선교신학회 32 (32): 201-234, 2013
11 기독여민회, "발로쓴 생명의 역사, 기독여민회 20년" 대한기독교서회 2006
12 황홍렬, "민중교회의 선교역사(1983-2005)와 새로운 과제" 한국선교신학회 17 (17): 35-76, 2008
13 고 최주상목사추모위원회, "맑은내 이야기 : 고 최주상 목사 추모" 고최주상목사추모위원회 2009
14 이원돈, "마을이 꿈을 꾸면 도시가 춤을 춘다" 도서출판 동연 2011
15 최형근,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31 : 369-389, 2005
16 김현수, "똥교회 들꽃피는 마을 이야기" 청어람미디어 2004
17 레슬리 뉴비긴,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IVP 1998
18 최동규, "교회성장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한 시론 ― 선교적 교회성장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한국선교신학회 32 (32): 235-267, 2013
19 Gelder, Craig Van, "The Missional Church in Perspective : Mapping Trends and Shaping the Conversation" Baker Academic 2011
20 Roxburgh, Alan J, "Missional Joining God in the Neighborhood" Baker Books 2011
21 Wainwright, Geoffrey, "Lesslie Newbigin : A Theological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2 Roxbourh, Alan J, "Introducing the Missional Church : What It is, Why It Matters, How to Become One" Baker Books 2009
23 최동규, "GOCN의 선교적 교회론과 교회성장학적 평가" 한국선교신학회 25 (25): 233-263, 2010
24 Newbigin, Lesslie, "Foolishness to the Greeks : The Gospel and Western Culture" SPCK 1986
25 Hunsberger, George R, "Church Between Gospel & Culture : The Emerging Mission in North America" Eerdmans 1996
26 Forrester, Duncan B, "A Scandalous Prophet: The Way of Mission after Newbigin" Eerdmans 200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8-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issi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84 | 0.564 | 0.69 |
다문화코칭과 관계리더십
한남대학교 반신환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The Roots of Korean Culture(한국문화의 뿌리)
K-MOOC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한국어문학연구소 나수호선교적 교회론
고신대학교 신경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