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 경험을 통한 일의 의미 = The Meaning of the Work of the Elderly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Senior Job Particip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2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work that senior citizens themselves observe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of senior citizens taking part in the elderly job project. We interviewed in depth eight senior residents who have joined in the job project for old civilian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with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classifications are “work that makes money”, “to be a working being”, and “ego created through work experience”. For the aged, work was more for getting money than anything else. working itself has great significance for the elderly. Working meant that there is a place to go and come for work. Also, work was to affirm one's existence and ability and to let them gain a sense of achievement and pride through the recognition and respect of others. However, the meaning of the job for the elderly differed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 and work relationship, which showed that social perception influenced the meaning of the job for the elderl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improve the enterprise performance proces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work that senior citizens themselves observe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of senior citizens taking part in the elderly job project. We interviewed in depth eight senior residents who have joined in the job proj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work that senior citizens themselves observe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of senior citizens taking part in the elderly job project. We interviewed in depth eight senior residents who have joined in the job project for old civilian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with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classifications are “work that makes money”, “to be a working being”, and “ego created through work experience”. For the aged, work was more for getting money than anything else. working itself has great significance for the elderly. Working meant that there is a place to go and come for work. Also, work was to affirm one's existence and ability and to let them gain a sense of achievement and pride through the recognition and respect of others. However, the meaning of the job for the elderly differed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 and work relationship, which showed that social perception influenced the meaning of the job for the elderl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improve the enterprise performance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기(2004~2007) 노인일자리사업 백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8

      2 우국희, "일(work)의 의미 변화와 사회적 공헌 - 중장년 퇴직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 -"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65-92, 2007

      3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집문당 2016

      4 강은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통한 노인의 다차원적 변화 검증: 공익활동과 시장형 사업단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29-53, 2018

      5 유용식,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지역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노인이 경험한 긍정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9) : 1-25, 2016

      6 변금선,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의 경향과 쟁점" 204-225, 2018

      7 김지선,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의 일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 공익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5 (75): 127-158, 2020

      8 신현정,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들의 일의 의미 발견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9 최혜지, "노인복지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10 이경욱, "노인과 지역사회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623-640, 2011

      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1기(2004~2007) 노인일자리사업 백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8

      2 우국희, "일(work)의 의미 변화와 사회적 공헌 - 중장년 퇴직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 -"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65-92, 2007

      3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집문당 2016

      4 강은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통한 노인의 다차원적 변화 검증: 공익활동과 시장형 사업단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29-53, 2018

      5 유용식,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지역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노인이 경험한 긍정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9) : 1-25, 2016

      6 변금선,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의 경향과 쟁점" 204-225, 2018

      7 김지선,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의 일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 공익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5 (75): 127-158, 2020

      8 신현정,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들의 일의 의미 발견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9 최혜지, "노인복지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10 이경욱, "노인과 지역사회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623-640, 2011

      11 이재영,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양기대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353-382, 2012

      12 Miriam, H., "Labour market Policy for ‘Active Ageing’ in Europe : Expanding the Options for Retirement Transition" 37 (37): 409-431, 2008

      13 Maddox, G. L., "Activity and moral : A longitudinal study of selected elderly subjects" 42 : 195-204,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