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코핑 고찰 방법을 활용한 한국 상호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Scoping Review on the Intercultural Educ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2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late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which have never researched b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Scoping Review, systemic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nalyzed 95 articles published as of 2001 through 2020 in the journals registered by KCI. As a result, only a few researches were found in 2001 through 2008, then studies were increased from 2009.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humanities (50.5%) field, in specific education and German literature. For study design, proportion of theoretical studies (78.9%) defining overseas literature was high. In mid 2010, using domestic literature and case work were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is study provides future task of intercultural education of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This article relate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which have never researched b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Scoping Review, systemic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nalyzed 95 articles ...

      This article relate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which have never researched b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Scoping Review, systemic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nalyzed 95 articles published as of 2001 through 2020 in the journals registered by KCI. As a result, only a few researches were found in 2001 through 2008, then studies were increased from 2009.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humanities (50.5%) field, in specific education and German literature. For study design, proportion of theoretical studies (78.9%) defining overseas literature was high. In mid 2010, using domestic literature and case work were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is study provides future task of intercultural education of future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20"

      2 김유리, "한국대학에서의 상호문화 교육인력 양성을 위한 상호문화적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1 : 31-51, 2004

      3 장한업, "프랑스의 이민정책과 상호문화교육 -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79) : 633-656, 2009

      4 장한업, "프랑스의 상호문화교육과 미국의 다문화교육의 비교연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2) : 105-121, 2009

      5 조해정, "유럽중심주의 비판: 동서문화의 동등한 만남을 위하여" 범한철학회 82 (82): 51-84, 2016

      6 정영근, "세계화시대 상호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 한국의 세계화교육에 대한 반성적고찰" 6 (6): 1-20, 2001

      7 장한업,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기반에 대한 고찰 - 상호주관성과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 한독교육학회 21 (21): 33-54, 2016

      8 장한업, "상호문화교육 :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적 대안" 박영사 2020

      9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연구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10 UNESCO, "UNESCO Guideline on Intercultural Education"

      1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20"

      2 김유리, "한국대학에서의 상호문화 교육인력 양성을 위한 상호문화적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1 : 31-51, 2004

      3 장한업, "프랑스의 이민정책과 상호문화교육 -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79) : 633-656, 2009

      4 장한업, "프랑스의 상호문화교육과 미국의 다문화교육의 비교연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2) : 105-121, 2009

      5 조해정, "유럽중심주의 비판: 동서문화의 동등한 만남을 위하여" 범한철학회 82 (82): 51-84, 2016

      6 정영근, "세계화시대 상호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 한국의 세계화교육에 대한 반성적고찰" 6 (6): 1-20, 2001

      7 장한업,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기반에 대한 고찰 - 상호주관성과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 한독교육학회 21 (21): 33-54, 2016

      8 장한업, "상호문화교육 :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적 대안" 박영사 2020

      9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연구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10 UNESCO, "UNESCO Guideline on Intercultural Education"

      11 UNESCO, "The Socio-Cultural Impact of COVID-19-Exploring the Role of Intercultural Dialogue in Emerging Responses" UNESCO 2020

      12 Arksey, H., "Scoping Studies : Towards a Methodological Framework" 8 (8): 19-32, 2005

      13 NCCA, "Inter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Guidelines"

      14 Council of Europe, "Education Pack"

      15 Grant, M. J., "A Typology of Reviews : An Analysis of 14 Review Types and Associated Methodologies" 26 (26): 91-108, 2009

      16 장한업, "20세기‘상호문화 담론들’에 대한 비교 고찰" 한국비교교육학회 28 (28): 265-289,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