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자궁경부암과 전이 임파절의 파라핀포매 (Paraffin-Embedded) 조직에서의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을 이용한 HPV의 검색 = Detection of Human Papillomavirus (HPV)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Paraffin-Embedded Cervical Carcinomas and Their Metastatic Lymph Nod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58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9년 1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임파선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임파절에 전이된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미 파라...

      1989년 1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임파선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임파절에 전이된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미 파라핀에 포매되어 병리과에 보관되어 있는 자궁경부 및 전이된 임파절 등 총 38개의 파라핀포매 조직절편을 얻어 종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HPV type 16, 18번의 검출을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PV type-16은 9명 중 8명에서 검출되어 89%양성률을 보였다.
      2) HPV type-18은 모든 조직절편에서 음성이었다. 3) 자궁경부암에서 HPV type-16이 검출된 경우는 동일 환자의 전이 임파절에서도 모두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자궁경부암에서 HPV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동일 환자의 전이 임파절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궁경부암의 원발부위와 전이 임파절에서의 HPV의 유병률(prevalence)은 100% 일치하였다. 이러한 상관 관계는 자궁경부암에서 기인한 전이암의 병리학적 분석(pathologic analysis)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자궁경부암의 발생원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그리고 종합효소 연쇄반응은 빠르고 정확하다는 장점 이외에, 검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결조직 및 세포뿐만 아니라 임상적으로 구하기가 쉬운 파라핀 포매(paraffin-embedded) 조직에서도 특정 유전자의 검색이 가능하므로 후향적(retrospective)연구에도 매우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last several years, attention has been increasingly focused on the HPV and its relationship to cervical neoplasia.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for detection of HPV in genital lesions, including Southern blot analysis, dot blot analysis, ...

      During the last several years, attention has been increasingly focused on the HPV and its relationship to cervical neoplasia.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for detection of HPV in genital lesions, including Southern blot analysis, dot blot analysis, and in situ hybridization. But these methods are cumbersome and often lack sensitivity when the amount of virus or viral DNA if reduced with increasing dysplasia. Recently PCR procedure was developed. This PCR procedure can amplify specific DNA sequences by up to a millionfold.
      In this study, we analysed HPV DNA type 16/18 using PCR in 38 paraffin-embedded tissues of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their metastatic lymph nodes obtained from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regional lymph node dissection due to cervical carcinoma. It had been already proved by other authors that the specificity of the PCR is unaffected by the methods of fixation used before embedding into paraffin. We used 10% formalin as a fixat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eight of nine patients, HPV type-16 DNA was detected in the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also in their lymph node metastases.
      2. All of the nine patients were negative for the HPV type-18.
      Conclusively, HPV DNA positivity in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s was correlated well with HPV prevalence in their metastatic lymph nodes, resulting in a 100% agreement of HPV type-16, 18 prevalence. This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HPV in both the primary cervical carcinoma and its metastasis may become a tool in the pathologic analysis of metastatic tumor derived from the cervix. And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can offer the rapid and sensitive analysis of HPV and possibility of retrospective studies on archival materia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