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거주 초등학생 33 명 66 안(9. O1::t 1.1 6 세, 2004 년 기준)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
굴절검사, 각약시형도검사 및 A-scan Ultrasollography를 실시하고 2 년 동안 변화노릎 분
석하여, 한...
일산 거주 초등학생 33 명 66 안(9. O1::t 1.1 6 세, 2004 년 기준)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
굴절검사, 각약시형도검사 및 A-scan Ultrasollography를 실시하고 2 년 동안 변화노릎 분
석하여, 한극언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섣겨1 와 저l 조 빛 임상에서 콘택트렌즈 피팅에 관한 참
고 사료를 얻고자 하였다.
2 년끼 능가구면 굴절이상도는 -O,818 :t O, 704 D(p = 0 , 00이 근시쪽으운 변하고. 안축장은
0,310+0,309 rnm(p = 0 , 00이 증가했F며, 각막정점 곡률반경은 -0.007 :tO,033 mrn(p =
0,044) 변하고, 킥막난시는 0,024 ::tO, 367 D(p = 0.590) 변화하였다
각막 정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비구면계수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 비구면
계수의 변화도는 10。반경 O,005 ::tO,092(p = 0.691), 20。반경 0.003 :t 0.076(p = 0.692) 및
30。반경 -O, 012 :tO, 063(p = 0.127) 였다.
전체 대상자에서 비구면계수와 퉁가구면 굴절이상도. 각막 정점 곡활반경, 안축장은 상관
성이 없었고, 2차 측정시 비구변계수와 각막난시는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으나(1' = 0.283, P
= 0,021). 변회노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r 0,009, p = 0,945). 근시군어서는 각딱 정점 곡
률반경 (1 자 , r = • 0.399, p=0.014. 2 치: 1' =-0,361, p=0.028) 과는 낮은 상관성블 띄였
고, 변화도에서도 상관성을 보였다(r 0,110‘ p=0.012) 벼구면계수와 각막난사은 낮은 상
핀성이 있었으나(1차 r=0.354 , p=O , O~~2 , 2 차 r = 0 427‘ p=0.008) , 변회노에서는 상
판성이 없었다(r = -0.012, P = 0.945) 빈연, 비큰시군은 비구면계수와 제시된 안광학상수
사이에 장관성아 없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비구면계수과 관련된 각막의 비구면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성장기 학생의 각막 형상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설계 및 제조를 위해서는 근시안에 대한 장기적 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