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의료이용이 주관적 건강수준과 행복감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22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제적 수준에 따라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행복감 및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ž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경제적 수준에 따라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행복감 및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ž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지역사회건강조사_지표뱅크(2015)_v09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63,929명을 대상으로 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이용 정도가 주관적 건강수준과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주관적 건강수준을 종속변수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중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급자의 경우 의료이용은 비수급자에 비해 낮았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여성일 경우, 나이가 75세 이상,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 낮은 의료이용을 보였다. 현재 또는 과거 수급자인 경우 미수진 한 결과는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쁠수록 증가하였고, 비수급자의 경우 행복감과 삶의 질은 높았다. 결과적으로 수급 대상자의 의료이용에 대한 기회를 늘릴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여성과 75세 이상 노인에 대한 각별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추후 저소득층 노인인구의 건강증진 및 행복감 및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ncrete measures to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level,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economic level and to propose social and policy alternatives accordingly. As a research method, 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ncrete measures to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level,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economic level and to propose social and policy alternatives accordingly. As a research method, 63,929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surveyed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Indicator Bank) _v09, and the frequency of health use by economic level, subjective health level, euphoria and quality of life Analysis and Chi square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Multi 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ubjective health level as a dependent variabl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euphoria an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recipients, medical use was lower than that of non-recipients, lower education level, female age of 75 years or older, and less stress, In case of present or past recipients, the result of non - receipt increased as the subjective health level was worse, and the non - recipient had higher euphoria and quality of life. As a result, there is a need for alternatives to increase opportunities for medical use among the recipients, with particular attention being paid to women and elderly people over 75 years ol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to effectively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eople of low income grou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고찰
      • 5.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수,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415-442, 2003

      2 박미진,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197-211, 2007

      3 김민정,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5-28, 2010

      4 조경희,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유아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양육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1 (21): 725-744, 2016

      5 한은애,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 강혜원,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64-201, 2007

      7 김민지,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영양소섭취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125-145, 2017

      8 서경현,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15-137, 2003

      9 전영자,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24 (24): 219-236, 2015

      10 최현석, "노인의 생활전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31-142, 2012

      1 김명수,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415-442, 2003

      2 박미진,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197-211, 2007

      3 김민정,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5-28, 2010

      4 조경희,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유아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양육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1 (21): 725-744, 2016

      5 한은애,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 강혜원,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64-201, 2007

      7 김민지,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영양소섭취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125-145, 2017

      8 서경현,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15-137, 2003

      9 전영자,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24 (24): 219-236, 2015

      10 최현석, "노인의 생활전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31-142, 2012

      11 이주일, "노인의 대인애착 경향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활동 및 지지적 관계 추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8 (18): 11-29, 2004

      12 곽인숙, "노인과 예비노인의 가정건강성과 행복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51 (51): 1-16, 2013

      13 백지은,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 경험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425-445, 2010

      14 Y. S. Jeon, "The Study on Effect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a Leisure Awaren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rson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2005

      15 H. R. Kim,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Seoul, Korea" 25 (25): 3-35, 2005

      16 Y. K. Park, "The Effects of Unmet Medical and Income Interaction on Subjective Health Levels : The Effects of Unmet Medical and Income on Subjective Health Levels" 47 (47): 1-17, 2013

      17 Michael E. Sadler, "Subjective Wellbeing and Longevity: A Co-Twin Control Stu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14 (14): 249-256, 2011

      18 G. Turrell, "Socioeconomic Position Across the Lifecourse 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 Middle Age" 57 (57): S43-S51, 2002

      19 S. K. Kim, "Health Behaviour an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by Socioeconomic status"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2017

      20 B. C. Cheon, "Factors Influencing Older People`s Quality of Life" 31 (31): 124-137, 2005

      21 M. Son, "Commentary : Why the educational effect is sostrong in differentials of mortality in Korea" 33 (33): 308-310, 2004

      22 Yunhwan Lee, "A comparison of correlates of self-rated health and functional disability of older persons in the Far East: Japan and Korea" Elsevier BV 37 (37): 63-76, 2003

      23 H. J. Han, "A Study on the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nd Financial Satisfaction of Single Household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