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실제 언어 자료인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용 텍스트인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용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사용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39094
신민섭 (연세대학교)
2021
Korean
용언의 활용형 ; 접속 부사 ; 담화 표지 ; 말뭉치 ; conjugated form ; conjunctive adverb ; discourse marker ; corpus
810
KCI등재,ESCI
학술저널
113-145(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실제 언어 자료인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용 텍스트인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용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사용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실제 언어 자료인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용 텍스트인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용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사용 양상을 기술하고 두 말뭉치에서의 쓰임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그러면’을 사전에서 풀이하는 의미에 따라 용언의 활용형, 접속 부사, 담화 표지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각각의 용례들을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 텍스트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모두 ‘접속 부사>담화 표지>용언의 활용형’ 순으로 ‘그러면’이 쓰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교재 말뭉치의 경우 전체 ‘그러면’ 용례의 절반 이상이 접속 부사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여 실제 언어 자료에서의 분포와 다소 차이가 있었고두 말뭉치 모두 담화 표지로 쓰이는 용례의 분포에서는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용언의 활용형으로 사용되는 ‘그러면’의양상을 살펴본 결과 특히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서 다른 범주에 비해낮은 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어 교육용 텍스트가 보다 실제적인 언어 사용을 반영하여 구성되어야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analyze examples of ‘Geureomyeon’ in two types of corpora, a Korean register corpus and a Korean textbook corpus, by describing the aspects of uses and comparing their uses in a respective corpus. To this end, firs...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analyze examples of ‘Geureomyeon’ in two types of corpora, a Korean register corpus and a Korean textbook corpus, by describing the aspects of uses and comparing their uses in a respective corpus. To this end, first, the use of ‘Geureomyeon’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onjugated form, conjunctive adverb, and discourse marker- in accordance with their definitions suggested in a Korean dictionary. The next step was to analyze the examp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corpus illustrated the same ordering by frequency. Conjunctive adverbs constituted the most frequent, discourse marker was the second most and conjugated form accounts for the least. In case of the Korean textbook corpus, more than half of the examples of ‘Geureomyeon’ were employed as conjunctive adverbs, showing a certain degree of difference from real language data. Meanwhile, both corpu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Geureomyeon’ as a purpose of discourse marker. Lastly, the examples classified as conjugated forms accounted for a lower proportion of use, particularly in the Korean textbook corpus, than those of other categori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language text for education should reflect Korean usage more realistically.(Yonsei Univers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梁明姬,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 서상규, "한국어의 구어와 말뭉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71-107, 2013
3 이희정, "한국어의 [그러-]형 담화표지 기능 연구: 일상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한송화, "한국어 접속부사의 사용 양상 - 텍스트 유형에 따른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원 31 : 139-169, 2013
5 박선자, "한국어 어찌말의 통어의미론" 세종출판사 1996
6 안주호, "한국어 담화표지 분석"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7 : 21-38, 1992
7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박이정 2017
8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9 김미선, "접속부사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0 박주영, "접속부사의 사전적 처리를 위한 기초 연구" 한국사전학회 87-98, 2009
1 梁明姬,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 서상규, "한국어의 구어와 말뭉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71-107, 2013
3 이희정, "한국어의 [그러-]형 담화표지 기능 연구: 일상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한송화, "한국어 접속부사의 사용 양상 - 텍스트 유형에 따른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원 31 : 139-169, 2013
5 박선자, "한국어 어찌말의 통어의미론" 세종출판사 1996
6 안주호, "한국어 담화표지 분석"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7 : 21-38, 1992
7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박이정 2017
8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9 김미선, "접속부사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0 박주영, "접속부사의 사전적 처리를 위한 기초 연구" 한국사전학회 87-98, 2009
11 임유종, "접속부사의 구문론적 특성"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8 : 177-209, 2001
12 서반석, "접속 부사어 ‘그러면’과 ‘그렇다면’의 의미 연구-‘시간성’과 ‘사실성’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93) : 227-264, 2020
13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71
14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6
15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 1998
16 김한샘,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학회 83 : 1-33, 2019
17 도수희, "대용언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5 : 67-98, 1967
18 전영옥, "구어와 문어의 접속부사 실현 양상 비교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2 : 223-247, 2007
19 배진영, "구어·문어 사용역에 따른 어휘 사용 양상 연구-접속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23 : 95-129, 2014
20 김미선, "‘그런데’의 담화 기능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 35-54, 2012
21 안주호, "‘그러-’ 계열 접속사의 형성과정과 문법화" 국어학회 35 : 113-141, 2000
22 김인환, "‘그러-’ 계열 접속부사의 세 가지 영역 - ‘그러면, 그래서, 그러니까’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39) : 21-49, 2018
23 하영우, "{그러면}의 접속 기능과 형식 감쇄: 기능과 형식 간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71 : 211-233, 2016
24 도수희, "[그러나, 그러고... 그러니, 그러면...] 등 어사고" 한국언어문학회 3 : 82-105, 1965
25 서상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신원프라임 2006
26 유현경, "(말뭉치 기반) 한국어 접속어 연구" 보고사 2019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07 | 1.737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