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대면 수업을 비대면 수업으로 많이 전환하 고 있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대면 수업을 비대면 수업으로 많이 전환하 고 있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
최근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대면 수업을 비대면 수업으로 많이 전환하 고 있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매체 효능감, 실재감, 수업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본 후, 매 체 효능감, 실재감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달도에 따라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지 않았다. 실재감은 수업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쳤는데 매체 효능감은 수업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숙달도 는 매체 효능감,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했고, 실재감이 높을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즉 실시간 온라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수업에서 실재감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any in-person classes have converted to virtual class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have gained popularity due to circumstantial factor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 efficacy, feeling of presence,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experience...
Recently, many in-person classes have converted to virtual class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have gained popularity due to circumstantial factor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 efficacy, feeling of presence,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experienced by students who take Korean classes as part of the KIIP program in the real-time online format. Firs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fluency in Korean and analyzes whether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affect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result is that fluency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Although feeling of presence significantly affects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latter does not exhibit a relationship with media efficacy. This shows that fluenc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and that the higher the feeling of presen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shows that in real-time online Korean classes—a part of the KIIP program—a feeling of presence affects the satisfaction of learning.(Yonsei Univers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정민, "한국어 교사의 교수실재감 인식 -온라인·오프라인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 (31): 139-159, 2020
2 임진호, "초등학생의 e-러닝에서 인지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모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해령, "중국인 학습자의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 및 학습효율에 관한 연구: D 대학교 한국어 전공 중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언어정보연구소 40 : 87-112, 2020
4 오윤진, "웹기반 협동학습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보상구조가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5 이다슴,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의 학습실재감과 학습 성과에 대한 연구 -학습실재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8 (18): 93-119, 2021
6 김현우, "온라인 한국어 수업과 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의 학습자 성취도 비교연구 : 초급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연구학회 13 : 19-35, 2020
7 노정은,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환경에서의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 (31): 21-53, 2020
8 배소영,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개선 방안: 학습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회 47 : 377-411, 2020
9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247-277, 2020
10 이해영,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129-150, 2020
1 안정민, "한국어 교사의 교수실재감 인식 -온라인·오프라인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 (31): 139-159, 2020
2 임진호, "초등학생의 e-러닝에서 인지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모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해령, "중국인 학습자의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 및 학습효율에 관한 연구: D 대학교 한국어 전공 중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언어정보연구소 40 : 87-112, 2020
4 오윤진, "웹기반 협동학습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보상구조가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5 이다슴,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의 학습실재감과 학습 성과에 대한 연구 -학습실재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8 (18): 93-119, 2021
6 김현우, "온라인 한국어 수업과 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의 학습자 성취도 비교연구 : 초급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연구학회 13 : 19-35, 2020
7 노정은,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환경에서의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 (31): 21-53, 2020
8 배소영,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개선 방안: 학습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회 47 : 377-411, 2020
9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247-277, 2020
10 이해영,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129-150, 2020
11 이해영,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실시간 온라인 한국학 강좌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5 (15): 187-210, 2018
12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3 Al-Khaldi, M. A, "The relationships of attitudes to computer utilization: New evidence from a developing natio" 14 (14): 23-42, 1998
14 Kang, M. H, "Investing presence as a predictor of learning outcomes in e-learning environments" 4175-4180, 2008
15 Johnson, D. W,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ucations and technology: A project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MacMiilan 785-812, 1996
16 Wang, M, "Engaged leraning with emering technologies" Springer 225-253, 2006
17 Shin, N. M,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online learning on distance education" 35 (35): 275-288, 2004
18 Steuer, J,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42 (42): 73-93, 1993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07 | 1.737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