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A교육대학교 예비초등교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자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A 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
으며,...
본 연구는 A교육대학교 예비초등교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자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A 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
으며, 개인특성과 함께 교직 신념 및 태도, 대학생활적응을 평가하였고, 빈도분석(교차분석)과
평균비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하여 일반전형에서는 남학생
이, 재수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리고 이과계열학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여학생
이 남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력 지수 점수가 높았고, 세부적으로 학생특성 영역에서 높은 적응
력, 대학특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특성
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높은 대학생활적응력 지수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력
을 비교했을 때,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대학생활적응력지수 점수를 나타냈고, 학생특성에서
높은 적응력과 대학특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진로 신념 및 태도와 대학생활
적응력 간의 상관을 보았을 때, 교직에 대한 내적동기와 교직 자신감, 그리고 교사가 되었을
때 가지게 될 사회경제적 기대감과 자기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대학생활적응력과 높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