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예비초등교원의 대학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Life Adap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4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conducted for students of the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valu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teaching beliefs and attitud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in the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than male
      students, and in detail, they showed high adaptability i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igh
      satisfaction in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comprehensive student-affiliated screening showed high scores in college characteristics and
      high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When comparing th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by
      grade, the first year showed higher scores on the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than the
      third year and showed high adaptability i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igh satisfaction in
      university characteristics. Lastly, when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eliefs and
      attitudes and college life adaptability,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teaching confidence,
      and socioeconomic expectations and self-development expectations when becoming a teacher
      are highly correlated with college life adaptability was confirm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conducted for students of the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valu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conducted for students of the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valu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teaching beliefs and attitud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in the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than male
      students, and in detail, they showed high adaptability i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igh
      satisfaction in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comprehensive student-affiliated screening showed high scores in college characteristics and
      high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When comparing th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by
      grade, the first year showed higher scores on the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than the
      third year and showed high adaptability i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igh satisfaction in
      university characteristics. Lastly, when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eliefs and
      attitudes and college life adaptability,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teaching confidence,
      and socioeconomic expectations and self-development expectations when becoming a teacher
      are highly correlated with college life adaptability was confirm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교육대학교 예비초등교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자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A 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
      으며, 개인특성과 함께 교직 신념 및 태도, 대학생활적응을 평가하였고, 빈도분석(교차분석)과
      평균비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하여 일반전형에서는 남학생
      이, 재수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리고 이과계열학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여학생
      이 남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력 지수 점수가 높았고, 세부적으로 학생특성 영역에서 높은 적응
      력, 대학특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특성
      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높은 대학생활적응력 지수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력
      을 비교했을 때,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대학생활적응력지수 점수를 나타냈고, 학생특성에서
      높은 적응력과 대학특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진로 신념 및 태도와 대학생활
      적응력 간의 상관을 보았을 때, 교직에 대한 내적동기와 교직 자신감, 그리고 교사가 되었을
      때 가지게 될 사회경제적 기대감과 자기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대학생활적응력과 높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A교육대학교 예비초등교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자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A 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 으며,...

      본 연구는 A교육대학교 예비초등교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자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A 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
      으며, 개인특성과 함께 교직 신념 및 태도, 대학생활적응을 평가하였고, 빈도분석(교차분석)과
      평균비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하여 일반전형에서는 남학생
      이, 재수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리고 이과계열학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여학생
      이 남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력 지수 점수가 높았고, 세부적으로 학생특성 영역에서 높은 적응
      력, 대학특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특성
      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높은 대학생활적응력 지수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력
      을 비교했을 때,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대학생활적응력지수 점수를 나타냈고, 학생특성에서
      높은 적응력과 대학특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진로 신념 및 태도와 대학생활
      적응력 간의 상관을 보았을 때, 교직에 대한 내적동기와 교직 자신감, 그리고 교사가 되었을
      때 가지게 될 사회경제적 기대감과 자기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대학생활적응력과 높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