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공간의 스펙터클과 산책자 = Spectacle and Flaneur in Digital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6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ociological study on new sociality and user culture in digital space. It discusses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digital interaction through concepts of spectacle and flaneur. Here ar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t finds that digital space is a multiple and interactive sphere rather than a one-sided surveillant panopticon. Digital spectacles in the synopticon are sights, amusements, productions and consumptions. Second, it shows that social relations in the digital space are changed into displayed spectacles by anonymous intervisuality. Third, it concludes that cyber-flaneurs as mobile and watching bei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visual point of view: attentive flaneur, concealing flaneur and inter-visual spectator.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sociological study on new sociality and user culture in digital space. It discusses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digital interaction through concepts of spectacle and flaneur. Here ar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t find...

      This paper is a sociological study on new sociality and user culture in digital space. It discusses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digital interaction through concepts of spectacle and flaneur. Here ar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t finds that digital space is a multiple and interactive sphere rather than a one-sided surveillant panopticon. Digital spectacles in the synopticon are sights, amusements, productions and consumptions. Second, it shows that social relations in the digital space are changed into displayed spectacles by anonymous intervisuality. Third, it concludes that cyber-flaneurs as mobile and watching bei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visual point of view: attentive flaneur, concealing flaneur and inter-visual spectat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lusser,V, "피상성 예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 노명우, "탈근대사회에서의 개인과 공동체의 변화"

      3 윤명희, "청소년 미니홈피, 블로그의 사회관계 및 일상문화; 중학생 이용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69-208, 2008

      4 Simmel,G,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6

      5 Bolter, J. D,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6 윤명희, "이미지음식의 소비와 커뮤니티의 창조" 한국문화사회학회 6 (6): 205-234, 2009

      7 Poe,E.A, "우울과 몽상" 하늘연못 2005

      8 Benjamin,W, "아케이드 프로젝트" 새물결 2005

      9 박정자, "시선은 권력이다" 기파랑 2008

      10 노명우, "시선과 모더니티" 한국문화사회학회 3 (3): 47-83, 2007

      1 Flusser,V, "피상성 예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 노명우, "탈근대사회에서의 개인과 공동체의 변화"

      3 윤명희, "청소년 미니홈피, 블로그의 사회관계 및 일상문화; 중학생 이용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69-208, 2008

      4 Simmel,G,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6

      5 Bolter, J. D,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6 윤명희, "이미지음식의 소비와 커뮤니티의 창조" 한국문화사회학회 6 (6): 205-234, 2009

      7 Poe,E.A, "우울과 몽상" 하늘연못 2005

      8 Benjamin,W, "아케이드 프로젝트" 새물결 2005

      9 박정자, "시선은 권력이다" 기파랑 2008

      10 노명우, "시선과 모더니티" 한국문화사회학회 3 (3): 47-83, 2007

      11 Baudrillard,J, "시뮬라시옹" 민음사 1995

      12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3

      13 Debord,G, "스펙타클의 사회" 현실문화연구 1996

      14 박창호, "소비주의 사회와 인터넷 소비의 문화 지형"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2 (32): 112-136, 2008

      15 Dyer-Witheford,N, "사이버-맑스" 이후 2003

      16 Mirzoeff,N, "비주얼 컬처의 모든 것: 생각을 지배하는 눈의 진실과 환상" 홍시 커뮤니케이션 2009

      17 윤명희, "블로그의 사회적 유형분석:1인 커뮤니티의 다층화" 한국사회학회 41 (41): 156-193, 2007

      18 Benjamin,W,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3

      19 Giloch,G, "발터 벤야민과 메트로폴리스" 효형출판 2005

      20 Darley,A, "디지털시대의 영상문화" 현실문화연구 2003

      21 신지은, "도시 산책자 : 자기 유폐와 함께하기의 경계에서 방랑/황하는 존재" 한국문화사회학회 6 (6): 53-105, 2009

      22 Virno,P, "다중: 현대의 삶 형태에 관한 분석을 위하여" 갈무리 2004

      23 ZDNetKOrea, "다음 초기화면은 성형중"

      24 정순진, "김기림" 새미 1999

      25 Benjamin,W,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사진의 작은 역사" 길 2008

      26 Le Bon,G, "군중심리" 간디서원 2007

      27 Schwartz,Vanessa R, "구경꾼의 탄생" 마티 2005

      28 Appadurai,A, "고삐 풀린 현대성" 현실문화연구 2004

      29 Gurak,L, "거미줄에 걸린 웹" 들녘 2002

      30 Whitaker,R, "개인의 죽음" 생각의 나무 2001

      31 Evans,D, "감정 : 감정의 과학으로 가는 가장 사랑스런 지름길" 이소출판사 2002

      32 Featherstone,Mike, "The Flâneur, the City and Virtual Public Life" 35 (35): 909-925, 1998

      33 Baudrillard,J, "The Ecstasy of Communication" Semiotext 1988

      34 Buck-Morss,S, "The Dialectic of Seeing: Walter Benjamin and the Acades Project" Press 1989

      35 Featherstone,Mike, "Public lif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Global City : New Possibilities for Citizenship and Identity Formation. in Identity and Social Change" Transaction Publishers 2000

      36 Jameson,F,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146 : 53-92, 1984

      37 Jay,M, "Downcast Eyes: The Denigration of Vision in Twentieth-century French Though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38 Goffman,E, "Behavior in Public Places" Free Press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76 1.2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