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생활 내 주요 대인관계인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우울 및 공격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99359
2014
Korean
우울 ; 공격성 ; 교사관계 ; 교우관계 ; 대인관계 ; 학교적응 ; 학대 ; 방임 ; depression ; aggression ; teacher relationship ; peer relationship ; interpersonal relationship ; school adjustment ; child abuse ; neglect
334
KCI등재
학술저널
5-33(29쪽)
4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생활 내 주요 대인관계인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우울 및 공격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생활 내 주요 대인관계인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우울 및 공격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2010’ 중1 패널 3차년도(중학교 3학년)의 총 2,164명에 대한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는 교우관계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방임은 교사관계와 교우관계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은 교사관계와 교우관계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공격성은 교우관계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대와 방임이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효과분해를 분석한 결과, 학대는 교사, 교우관계에 대해서 우울과 공격성을 통해 미치는 간접효과가 컸지만 방임은 교사, 교우관계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대와 방임이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우울의 간접효과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우울과 공격성의 간접효과가 각각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복지 개입과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 maltreatment(abuse and negl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eacher and peer) in middle schoo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This study utilized the 3rd wave d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 maltreatment(abuse and negl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eacher and peer) in middle schoo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This study utilized the 3rd wave data(3rd grade of middle school) from the 2010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consisted of 2,164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the purposes of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hild abuse and peer relationships, whereas child neglect was involved in b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while depression negatively influenced b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ggression only impacted peer relationships. Third, child abuse was indirectly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ed by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contrast, child neglect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both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Furthermore, only depression appeared to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teacher relationships, whereas depression and agg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1 Ⅱ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2 Urquiza, A. J., "학대와 방임 피해 아동의 치료: 0세부터 18세까지" 학지사 2003
3 이진성, "학교부적응학생이 경험한 부모로부터의 아동학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1 (11): 101-110, 2013
4 이태준, "피학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377-389, 2007
5 권지은,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과 학대가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교사관계 및 교우관계 매개효과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42 (42): 29-54, 2013
6 조민규, "중학생이 지각한 학대경험과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9-54, 2014
7 김정민,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5-27, 2014
8 이기혜, "중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39-168, 2013
9 강승희, "중학생의 부·모애착, 우울,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1-29, 2010
10 안은미, "정서학대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201-226, 2013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1 Ⅱ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2 Urquiza, A. J., "학대와 방임 피해 아동의 치료: 0세부터 18세까지" 학지사 2003
3 이진성, "학교부적응학생이 경험한 부모로부터의 아동학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1 (11): 101-110, 2013
4 이태준, "피학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377-389, 2007
5 권지은,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과 학대가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교사관계 및 교우관계 매개효과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42 (42): 29-54, 2013
6 조민규, "중학생이 지각한 학대경험과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9-54, 2014
7 김정민,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5-27, 2014
8 이기혜, "중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39-168, 2013
9 강승희, "중학생의 부·모애착, 우울,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1-29, 2010
10 안은미, "정서학대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201-226, 2013
11 김수정, "아동학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3 (43): 1-28, 2013
12 정익중,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한국아동학회 29 (29): 79-95, 2008
13 이재성,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233-246, 2012
14 노영천, "아동의 학대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0, 2013
15 장희순, "아동의 신체적 학대 경험과 반응적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와 사회정보처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6 (26): 19-45, 2013
16 정익중, "아동복지론" 학지사 2013
17 정익중, "아동방임의 재조명: 방임의 사회적 방임을 넘어서" 107 : 1-33, 2011
18 김재엽, "신체학대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69-191, 2012
19 김혜금,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2 (52): 11-19, 2014
20 전소연,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의 매개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185-200, 2012
21 홍영수, "부모학대가 아동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정서적 지지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0 (30): 225-244, 2010
22 김재철, "부모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9-32, 2011
23 박기원,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5 (35): 1-15, 2014
24 박재연, "부모로부터 학대받은 경험이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차이"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8 (28): 61-92, 2010
25 박영준, "보호자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46) : 85-114, 2014
26 Galdston, R., "Violence begins at home : The parents center for the study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10 : 336-350, 1971
27 Stirling, Jr. J., "Understanding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onsequences of child abuse" 122 (122): 667-673, 2008
28 Power, A., "The protective role of friendship on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and depression" 26 (26): 46-53, 2009
29 Hoglund, W. L. G., "Reciprocating risks of peer problems and aggression for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s" 50 (50): 586-599, 2014
30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0
31 Anthonysamy, A., "Peer status and behaviors of maltreated children and their classmates in the early years of school" 31 (31): 971-991, 2007
32 Gaetner, A. E., "Parenting and friendship quality as predictor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early adolescence" 19 (19): 101-108, 2010
33 Cui, M., "Parental behavior and the quality of adolescent friendships : A social-contextual perspective" 64 (64): 676-689, 2002
34 Sentse, M.,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dyadic friend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behavior problems in early adolescence" 39 (39): 873-884, 2010
35 Chan, A., "Monthly instability in early adolescent friendship networks and depressive symptoms" 18 (18): 1-23, 2009
36 Piko, B., "Impulsivity, depression and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69 : 33-37, 2014
37 Ang, R. P., "Gender differences in life stressors associated with child and adolescent suicides in singapore from 1995 to 2003" 52 (52): 561-570, 2006
38 Galambos, N., "Gender differences in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adolescence : A 4-year longitudinal study" 28 (28): 16-25, 2004
39 Fröjd, S. A., "Depression and school performance in middle adolescent boys and girls" 31 (31): 485-498, 2008
40 Sobel, M.,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1 (1): 290-312, 1982
41 Rudasill, K. M., "Assessment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in residential treatment center schools" 18 (18): 193-211, 2013
42 de Matos, M. G., "Anxiety, de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 Result from the Portuguese national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survey" 18 (18): 3-14, 2003
43 Smith, C. A., "Adolescent maltreatment and its impact in young adult antisocial behavior" 29 (29): 1099-1119, 2005
44 Hankin, B. L., "Adolescent depression : Description, cause and intervention" 8 (8): 102-114, 2006
45 보건복지부, "2013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14
46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2년 상담경향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중·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분석
중학생의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의 조절효과
청소년의 성에 따른 완벽주의 및 부모·또래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5-3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청소년개발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청소년연구외국어명 : Studies on Korean Youth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86 | 2.86 | 3.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3.84 | 3.58 | 4.967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