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속도로 교통소통진단기법 개발, 2006  :  (Development of Traffic Operating Condition Audit Technique on Freeway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pacity used in planning and design of freeway is determined as invariable value and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raffic congestion would occur when traffic demand is larger than capacity. However, traffic congestion occurs not only when traffic demand is larger than capacity, but also when traffic demand is smaller than capacity, especially in some bottleneck section as freeway merging area. Thus, due to occurred traffic congestion, freeway loses function of high speed. In enlargement of freeway capacity, a long period is needed and in case of occurring of traffic congestion, it would be impossible to avoid long period traffic congestion. So, it is needed to cope with traffic congestion before traffic-operating condition would wors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islation tool as like traffic operating condition audi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ome contents like traffic operating condition audit system, congestion analysis technique, before and after congestion management.
      번역하기

      The capacity used in planning and design of freeway is determined as invariable value and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raffic congestion would occur when traffic demand is larger than capacity. However, traffic congestion occurs not only when traf...

      The capacity used in planning and design of freeway is determined as invariable value and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raffic congestion would occur when traffic demand is larger than capacity. However, traffic congestion occurs not only when traffic demand is larger than capacity, but also when traffic demand is smaller than capacity, especially in some bottleneck section as freeway merging area. Thus, due to occurred traffic congestion, freeway loses function of high speed. In enlargement of freeway capacity, a long period is needed and in case of occurring of traffic congestion, it would be impossible to avoid long period traffic congestion. So, it is needed to cope with traffic congestion before traffic-operating condition would wors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islation tool as like traffic operating condition audi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ome contents like traffic operating condition audit system, congestion analysis technique, before and after congestion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고속도로의 계획 및 설계시 적용하는 도로용량편람에서는 용량을 불변의 값으로 보고 있으며, 교통수요가 용량을 초과할 경우에 지정체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으나, 실제 고속도로 현장에 있어서는 교통수요의 용량 초과 시뿐만 아니라 교통수요가 용량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정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속도로 본연의 고속주행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용량 확대에는 계획, 설계, 건설 등 장기간이 소요되어 혼잡 발생시 상당기간 동안 혼잡상황의 지속이 불가피해 지므로, 소통이 악화되기 이전에 지정체 원인을 미리 파악하여 보다 빠른 대처를 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구체적인 교통소통진단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통소통진단은 단지 문제가 심각한 구간에 대한 단편적 대책만을 수립·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관리대책의 수립시 해당지정체구간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해결대안모색/대안간 상호비교/효과평가 등의 일련의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취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체계적인 혼잡관리를 위한 교통소통진단 제도의 도입 필요성 및 이의 실현을 목표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초기 시발점으로서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한 교통소통진단기법의 개발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번역하기

      현재 고속도로의 계획 및 설계시 적용하는 도로용량편람에서는 용량을 불변의 값으로 보고 있으며, 교통수요가 용량을 초과할 경우에 지정체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으나, 실제 고속도로 현...

      현재 고속도로의 계획 및 설계시 적용하는 도로용량편람에서는 용량을 불변의 값으로 보고 있으며, 교통수요가 용량을 초과할 경우에 지정체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으나, 실제 고속도로 현장에 있어서는 교통수요의 용량 초과 시뿐만 아니라 교통수요가 용량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정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속도로 본연의 고속주행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용량 확대에는 계획, 설계, 건설 등 장기간이 소요되어 혼잡 발생시 상당기간 동안 혼잡상황의 지속이 불가피해 지므로, 소통이 악화되기 이전에 지정체 원인을 미리 파악하여 보다 빠른 대처를 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구체적인 교통소통진단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통소통진단은 단지 문제가 심각한 구간에 대한 단편적 대책만을 수립·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관리대책의 수립시 해당지정체구간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해결대안모색/대안간 상호비교/효과평가 등의 일련의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취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체계적인 혼잡관리를 위한 교통소통진단 제도의 도입 필요성 및 이의 실현을 목표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초기 시발점으로서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한 교통소통진단기법의 개발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 및 수행절차
      • 1.2.1 연구 범위
      • 1.2.2 연구 수행절차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 및 수행절차
      • 1.2.1 연구 범위
      • 1.2.2 연구 수행절차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관련연구 고찰
      • 2.1 국내외 고속도로 지정체 관리체계
      • 2.1.1 국내의 고속도로 지정체 관리
      • 2.1.2 미국의 고속도로 지·정체 관리
      • 2.1.3 일본의 고속도로 지·정체 관리
      • 2.2 지정체 계량화 지표
      • 2.2.1 도로교통 혼잡의 측정기준
      • 2.2.2 혼잡지표 개발사례
      • 2.2.3 적정 혼잡 측정기준의 설정
      • 2.3 수요예측
      • 2.3.1 교통수요 추정기법의 유형
      • 2.3.2 시간교통량 수요분석기법의 유형
      • 2.4 혼잡분석 방법론
      • 2.4.1 혼잡분석 이슈
      • 2.4.2 임계차두간격 산출모형
      • 2.4.3 차두간격분포모형 개요
      • 2.4.4 Gap Acceptance Model
      • 2.5 혼잡관리기법
      • 2.5.1 혼잡관리기법의 개요
      • 2.5.2 혼잡관리기법의 유형
      • 2.5.3 고속도로 혼잡관리기법
      • 제3장 연구 방법론 수립
      • 3.1 교통소통진단의 정의
      • 3.2 지정체 원인진단 및 관리방안 설정과 관련한 교통소통진단의 필요성
      • 3.2.1 오진단 유형
      • 3.2.2 지정체원인 진단 사례
      • 3.3 교통소통진단 방법론 설정
      • 3.3.1 지정체 계량화지표
      • 3.3.2 수요예측
      • 3.3.3 혼잡분석 기법
      • 3.3.4 지정체 관리방안
      • 3.3.5 고속도로 지정체 관리방안 효과평가
      • 제4장 교통소통진단기법
      • 4.1 고속도로 지정체 계량화지표 개발
      • 4.1.1 고속도로 지정체 계량화지표의 필요성
      • 4.1.2 고속도로 지정체 계량화지표의 선정
      • 4.1.3 지정체 계량화지표의 적용
      • 4.2 중·단기교통수요 예측기법
      • 4.2.1 단기교통수요 예측기법 개발
      • 4.2.2 중기교통수요 예측기법 개발
      • 4.3 혼잡분석기법
      • 4.3.1 지정체 유형별 정체 메커니즘 및 분석 방법
      • 4.3.2 고속도로 지정체 분석 모형
      • 4.4 혼잡관리방안
      • 4.4.1 사전/사후 지정체 관리 결정
      • 4.4.2 유형 구분
      • 4.4.3 지정체 관리방안 수립 방향
      • 4.5 혼잡관리방안 효과평가
      • 4.5.1 비용-편익 분석
      • 4.5.2 비용-효과 분석
      • 4.5.3 의사결경
      • 제5장 현장조사 및 고속도로 교통소통진단 시범사례 예시
      • 5.1 현장조사 및 모형 검증
      • 5.1.1 대상구간 선정 및 현황파악
      • 5.1.2 지정체 분석모형 정산(Model Calibration) 및 검증
      • 5.2 교통소통진단 시범사례 예시
      • 5.2.1 기 시행된 지정체 개선 사례
      • 5.2.2 지정체 관리방안 도출
      • 5.3 지정체 관리방안 효과평가
      • 5.3.1 지정체 관리방안 효과 산출
      • 5.3.2 결과 종합
      • 제6장 고속도로 교통소통진단체계 구축
      • 6.1 진단 방법
      • 6.2 진단 절차
      • 6.3 진단 내용
      • 6.3.1 조사 및 자료
      • 6.3.2 분석 내용
      • 6.4 진단조직 및 전담팀 구성
      • 제7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