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eat Opening (gaebyeok) thinking of Donghak (Eastern Learning) and Cheondogyo can be summarized as the ‘Great Opening theory of the trinity of talents.’ The characteristics can be defined as the theory of ‘Dasi (New) Gaebyeok’ by Suun Ch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reat Opening (gaebyeok) thinking of Donghak (Eastern Learning) and Cheondogyo can be summarized as the ‘Great Opening theory of the trinity of talents.’ The characteristics can be defined as the theory of ‘Dasi (New) Gaebyeok’ by Suun Cho...
The Great Opening (gaebyeok) thinking of Donghak (Eastern Learning) and Cheondogyo can be summarized as the ‘Great Opening theory of the trinity of talents.’ The characteristics can be defined as the theory of ‘Dasi (New) Gaebyeok’ by Suun Choe Je-u, the founder of Donghak, the theory of ‘Later Day’s Gaebyeok’ by Haewol Choe Si-hyeong, the successor of Suun, and the theory of Inmul-Gaebyeok by Uiam Son Byeong-hee, the successor of Haewol. The theory of Inmul-Gaebyeok consists of the concrete elements of heaven, earth and humans and, based on this thinking, Donghak campaigned for the Great Opening movement since it’s foundation. The ideas inherited and passed on from the Donghak’s Gaebyeok can be found in examples such as the ‘Gaebyeok-pa (group)’ or ‘Gaebyeok-hak (science).’ As such, while the Gaebyeok ideas of Donghak and Cheondogyo underwent various changes, they continued to try to propose visions based on the Gaebyeok as a way of addressing issues facing modern society.
국문 초록 (Abstract)
동학-천도교의 개벽사상은 ‘삼재개벽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 선생은 다시개벽론, 그 계승자인 해월 최시형 선생은 후천개벽론, 그리고 세 번째 계승자인 의암...
동학-천도교의 개벽사상은 ‘삼재개벽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 선생은 다시개벽론, 그 계승자인 해월 최시형 선생은 후천개벽론, 그리고 세 번째 계승자인 의암 손병희 선생의 개벽론은 ‘인물개벽론’으로 그 특징을 규정할 수 있다. 인물개벽론에는 다시 천·지·인의 구체적인 계기들이 내포되고, 이러한 사상적 기반 위에서 동학은 창도 이래 개벽운동을 전개해 왔다. 오늘날 동학의 개벽사상을 계승하는 움직임은 개벽파, 개벽학 등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이처럼 동학·천도교의 개벽사상은 다양한 변주를 거치면서, 현대사회의 과제상황에 개벽적 비전을 제시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기, "후천개벽사상 연구" 한울아카데미 2004
2 "해월신사법설"
3 오문환,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03
4 강인철, "한국의 종교. 정치. 국가 1945~2012" 한신대학교출판부 2013
5 조성환, "한국근대의 탄생-개화에서 개벽으로"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8
6 윤승용, "한국 신종교와 개벽사상"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7
7 김홍철, "한국 신종교 사상의 연구" 집문당 1989
8 조성환, "하늘을 사는 사람들"
9 표영삼, "표영삼의 동학이야기" 모시는사람들 2014
10 조성환, "토착적 근대화와 개벽사상"
1 김형기, "후천개벽사상 연구" 한울아카데미 2004
2 "해월신사법설"
3 오문환,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03
4 강인철, "한국의 종교. 정치. 국가 1945~2012" 한신대학교출판부 2013
5 조성환, "한국근대의 탄생-개화에서 개벽으로"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8
6 윤승용, "한국 신종교와 개벽사상"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7
7 김홍철, "한국 신종교 사상의 연구" 집문당 1989
8 조성환, "하늘을 사는 사람들"
9 표영삼, "표영삼의 동학이야기" 모시는사람들 2014
10 조성환, "토착적 근대화와 개벽사상"
11 이병한, "최시형의 도덕개벽론"
12 이병한, "청년과 개벽"
13 강인철, "종속과 자율-대한민국의 형성과 종교정치" 한신대학교출판부 2013
14 강인철, "종교정치의 새로운 쟁점들" 한신대학교출판부 2012
15 강인철, "저항과 투항-군사정권들과 종교" 한신대학교출판부 2013
16 박길수, "이제. 개벽파의 시대가 시작된다! - 개벽신문이 뽑은 동학과 개벽5대 뉴스"
17 의암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 "의암손병희선생전기" 의암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 1985
18 "의암성사법설"
19 "용담유사"
20 기타지마 기신, "새로운 근대를 찾아서 : 토착적 근대론의 제안" 2018
21 오문환, "동학의 정치철학"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03
22 정혜정, "동학의 문명론과 주체적 근대: 초등교서(初等敎書)"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3 "동경대전"
24 박길수, "다시. 개벽"
25 원광대학교원불교사상연구원, "근대한국 개벽종교를 공공하다"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8
26 원광대학교원불교사상연구원, "근대한국 개벽사상을 실천하다"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9
27 박길수, "개벽하는 마음 : 개벽의 수양학을 준비하며 - 최근의 개벽파와 개벽학의 흐름 속에서"
28 조성환, "개벽파선언" 다른백년
29 이병한, "개벽의 눈으로 새로운 세상을 전망한다 - <개벽포럼>에서 <개벽학>까지"
30 박맹수, "개벽의 꿈. 동아시아를 깨우다 - 동학농민혁명과 제국 일본"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1
31 박길수, "개벽+ 혹은 개벽 2.0의 전망"
32 박길수, "3.1혁명과 의암 손병희의 개벽사상" 2019
33 박길수, "3.1운동 백주년과 한국 종교개혁" 도서출판모시는사람들 2019
34 이병한, "3.1운동 100주년. ‘개벽파’를 재건하자"
개벽(開闢) 사상의 논증적 재고(再考) -우주 개벽·물질 개벽·정신 개벽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