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조사자료는 집단상담자 발달 단계별 특성을 통해 한국 집단상담자의 발달 모형을 알아보고자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집단상담전문가에 대해 석사과정, 박사과정, 숙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조사자료는 집단상담자 발달 단계별 특성을 통해 한국 집단상담자의 발달 모형을 알아보고자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집단상담전문가에 대해 석사과정, 박사과정, 숙련...
본 조사자료는 집단상담자 발달 단계별 특성을 통해 한국 집단상담자의 발달 모형을 알아보고자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집단상담전문가에 대해 석사과정, 박사과정, 숙련전문가, 대가의 단계에 맞춰 집단상담 전문가의 단계별 특성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총 40명으로 집단상담자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시간적 시기를 크게 5단계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10명 내외의 집단상담자와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단계로 지칭하였는데 각 단계는 미훈련상태(대학원 진학 전), 석사과정(대학원 석사 1년차에서 석사 졸업까지) 박사과정(박사 입학에서 박사 졸업까지), 숙련전문가(박사 졸업이후에서 전문가 10년에서 20년 사이), 대가(수련감독 이후 10년) 등으로 나누었다. 미훈련상태와 석박사까지의 대학원 과정에서의 집단상담 전문가의 선정은 집단상담자로서의 경험과 집단원으로서의 경험, 대학원 진학 시간, 지역과 성별을 감안하여 선정하였다. 전문가 및 수련감독, 대가에 해당하는 대학원 졸업 이후의 발달에 해당되는 집단상담자는 눈덩이 표집을 통한 동료지명방법(snowball sampling peer nomination)을 사용하였다. 본 조사자료는 숙련된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녹취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