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기감지기 감도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06356
2020
-
500
KCI등재
학술저널
37-46(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기감지기 감도시...
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과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종이화재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 및 UL 268 종이화재실험에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교차 대입한 결과 공기질 측정기(IAQ) S1의 경우 PM 10(평균값제외), HCH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 IAQ S2의 경우 PM 1.0, PM 2.5, PM 10, 연소가스분석기(CGA)의 경우 C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가 모든 실험 조건에서 연기발생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통해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실험 조건에서 측정되는 인자들 중 적응성이 가장 우수한 PM 10 및 CO는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In this study, operation experiment using smoke detector sensitivity tester and paper fire experiment s...
This is a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In this study, operation experiment using smoke detector sensitivity tester and paper fire experiment specified in UL 268 standard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Based on the cross-substitution of values measured in the paper fire experiment, PM10 (excluding average) and HCHO (excluding average and maximum) for the indoor air quality meter (IAQ); PM1.0, PM2.5, and PM10 for IAQ S2; and CO (excluding the average and maximum) for combustion gas analyzers showed consistent tendency despite changes in the measured values for smoke generation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In particular, PM10 and CO are considered the most applicable fire detection factors among the factors measured in the experi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화, "화재모델링 예측성능 개선을 위한 이온화식 연기감지기의 장치물성 측정" 한국화재소방학회 27 (27): 27-34, 2013
2 이종화, "연기감지기의 광복합식 챔버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3
3 이호성, "분진색상에 따른 광전식연기감지기 챔버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44-52, 2017
4 이춘하, "분진 및 풍속에 따른 광전식연기감지기 챔버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50-57, 2017
5 "http://rm.samsungfire.com/pub/html/2002/2002wtr11.html"
6 Underwriters Laboratories, "UL 268 Standard for Safety Smoke Detectors for Fire Alarm Systems"
7 National Fire Agency 119, "National Fire Information Center Fire Statistics" 2018
8 "National Fire Agency 119 Notice (No. 2017-5), Technical Standards for Formal Approval and Product Inspection of Fire Detector"
9 "NFSC 203, Fire Safety Standards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Visual Alarm Equipment"
10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
1 김경화, "화재모델링 예측성능 개선을 위한 이온화식 연기감지기의 장치물성 측정" 한국화재소방학회 27 (27): 27-34, 2013
2 이종화, "연기감지기의 광복합식 챔버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3
3 이호성, "분진색상에 따른 광전식연기감지기 챔버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44-52, 2017
4 이춘하, "분진 및 풍속에 따른 광전식연기감지기 챔버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50-57, 2017
5 "http://rm.samsungfire.com/pub/html/2002/2002wtr11.html"
6 Underwriters Laboratories, "UL 268 Standard for Safety Smoke Detectors for Fire Alarm Systems"
7 National Fire Agency 119, "National Fire Information Center Fire Statistics" 2018
8 "National Fire Agency 119 Notice (No. 2017-5), Technical Standards for Formal Approval and Product Inspection of Fire Detector"
9 "NFSC 203, Fire Safety Standards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Visual Alarm Equipment"
10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
11 장효연, "FDS 기반의 연기감지기 예측모델을 위한 입력인자 재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44-51, 2017
12 Y. G. Park,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bustion Risk Characteristics of Industry Using Insulating Materials" Graduate School of Hoseo University 2005
아파트 거주자의 안전교육 만족도와 소방계획서의 활용성이 화재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배관용 보온재의 난연 성능 시험방법에 따른 최대 발열량 분석
천장 은폐장소 전선관 연소에 따른 화재확산 및 피난 위험도에 관한 연구
소방공무원의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화재.소방학회지 ->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7-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RANSACTION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5 | 0.613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