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花村美樹의 대명률직해 교정에 대하여 = On the Daemyengryul-Jikhae corrected by Hanamura Yosik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7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그동안 학계에서 널리 이용하여 온 조선총독부중추원 간행 『校訂 大明律直解』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고, 여기에 담겨 있는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대명률직해는 명나라 법전인 대...

      이 글은 그동안 학계에서 널리 이용하여 온 조선총독부중추원 간행 『校訂 大明律直解』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고, 여기에 담겨 있는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대명률직해는 명나라 법전인 대명률을 1395년에 조선에서 이두로 번역하여 간행한 책으로, 현재 16세기 이후의 중간본 30여 가지가 남아 있다. 일제 시기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고법전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당시 경성제국대학 교수 하나무라에게 위촉하여 대명률직해의 이본 5가지와 주석서 3가지를 대교하고 교감한 『교정 대명률직해』를 1936년에 간행하였고, 이 책은 그동안 대명률직해의 定本 역할을 하여 왔다.
      『교정 대명률직해』를 검토한 결과, 이 책에 기록된 내용은 대체로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대교 작업 가운데 탁족암본의 대교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점, 교정본의 저본으로 홍문관본을 택한 것이 최선이 아니라는 점, 교감 기록이 형식적인 측면에서 보완할 부분이 많은 점 등은 문제이다. 그리고 최근에 발견된 이본 가운데 하나무라가 보지 못한 진주판 계통이 있어 대교 작업을 새로이 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교정 대명률직해』는 더 이상 정본 텍스트라고 하기 어렵다. 앞으로 이 책의 훌륭한 부분은 계승하고 미흡한 부분은 교훈으로 삼아 새로운 정본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호, "한국법제사" 민속원 2012

      2 장진번, "중국법제사" 소나무 2006

      3 장경준, "조선 초기 대명률의 이두 번역에 대하여" 우리어문학회 (52) : 451-490, 2015

      4 장경준, "일본 내각문고와 호사문고에 소장된『대명률직해』의 서지에 관한 기초 연구" 민족어문학회 (68) : 329-356, 2013

      5 김미정, "식민권력과 근대지식: 경성제국대학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6 안병희, "대명률직해 이두의 연구" 9 : 1985

      7 서울대학교규장각, "규장각소장어문학자료 어학편 해설" 서울대학교규장각 2001

      8 장경준, "고마자와대학과 호사문고에 소장된 『대명률직해』 고판본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64 : 117-168, 2014

      9 조선총독부중추원, "校訂 大明律直解" 조선총독부중추원 1936

      10 문소라, "朝鮮時代 간행의 『大明律』 註釋書 版本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 박병호, "한국법제사" 민속원 2012

      2 장진번, "중국법제사" 소나무 2006

      3 장경준, "조선 초기 대명률의 이두 번역에 대하여" 우리어문학회 (52) : 451-490, 2015

      4 장경준, "일본 내각문고와 호사문고에 소장된『대명률직해』의 서지에 관한 기초 연구" 민족어문학회 (68) : 329-356, 2013

      5 김미정, "식민권력과 근대지식: 경성제국대학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6 안병희, "대명률직해 이두의 연구" 9 : 1985

      7 서울대학교규장각, "규장각소장어문학자료 어학편 해설" 서울대학교규장각 2001

      8 장경준, "고마자와대학과 호사문고에 소장된 『대명률직해』 고판본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64 : 117-168, 2014

      9 조선총독부중추원, "校訂 大明律直解" 조선총독부중추원 1936

      10 문소라, "朝鮮時代 간행의 『大明律』 註釋書 版本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1 정긍식, "朝鮮 前期 『大明律』의 受容과 變容" 진단학회 (96) : 205-242, 2003

      12 박성종, "明律의 변천과 문체, 그리고 『大明律直解』의 저본" 국어사학회 (17) : 167-196, 2013

      13 黃彰健, "明代律例彙編" 中央研究院歴史語言研究所 1979

      14 朴喜淑, "大明律直解의 吏讀硏究" 명지대학교 대학원 1985

      15 서울대학교규장각, "大明律直解(규장각자료총서 법전편)"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1

      16 하나무라 요시키, "大明律直解 解說(조선총독부중추원 편 所收)"

      17 법제처, "大明律直解" 법제처 1964

      18 정긍식, "大明律 解題"

      19 劉海年, "中國珍稀法律典籍集成 乙編 第一冊: 洪武法律典籍" 科學出版社 1994

      20 장경준, "『대명률직해』의 정본 확정을 위한 기초 연구(2)- 경북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연세대, 충남대 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그리고 일본 소케문고(宗家文庫) 소장본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22) : 269-320, 2013

      21 장경준, "『대명률직해』의 정본 확정을 위한 기초 연구(2)- 경북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연세대, 충남대 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그리고 일본 소케문고(宗家文庫) 소장본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22) : 269-320, 2013

      22 장경준, "『대명률직해』의 계통과 서지적 특징" 한국서지학회 (58) : 549-590, 2014

      23 박성종, "『大明律直解』吏讀의 예비적 고찰" 진단학회 (96) : 289-321, 2003

      24 장윤희, "『大明律直解』의 書誌學的 考察" 진단학회 (96) : 265-288, 2003

      25 안병희, "『大明律直解』의 書名" 1 : 2003

      26 "(전자 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85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