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화는 소중화와 다르다[中華不類小中華]” -황재(黃梓)의 연행록(燕行錄)에 나타난 18세기 중반 중화 인식의 단면- = Korean intellectuals' view on China in the mid-18th century: A study on Hwangjae(黃梓)'s Yonhaengrok(燕行錄) in the context of his contempora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1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8세기 중반 연행 사절단의 일원으로 두 차례 북경에 다녀온 황재의 연행과 연행록을 분석하여 그의 연행 태도와 함께 그의 연행록에 나타난 중화 인식을 고찰하였다. 황재는 연행...

      이 연구는 18세기 중반 연행 사절단의 일원으로 두 차례 북경에 다녀온 황재의 연행과 연행록을 분석하여 그의 연행 태도와 함께 그의 연행록에 나타난 중화 인식을 고찰하였다. 황재는 연행 전부터 여느 ‘노론 청류’ 인사와 마찬가지로 청나라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공유하였는데, 그 결과 세 편의 연행록에서 그의 주된 문제의식은 청나라의 부정적인 모습들을 부각하고, 청나라 쇠락의 조짐을 발견하는 서술들로 채워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황재가 접한 여러 사실과 전문(傳聞)들은 그의 특정한 시각에 의해 선택되고 재구성되었다. 황재의 연행록에 나타난 청나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그의 주변과 조정, 임금에게까지 공유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18세기 중반 조선사회에서 연행록이 단순히 개인적 차원의 여행기가 아닌, 중화 인식을 중심으로 한 특정한 시각을 조선 사회에 확산시키는 매개체로 기능한 모습의 단면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Hwang Jae (黃梓)’s perception of central efflorescence (中華, Zhonghua) by surveying his tribute missions to Beijing and his records of the missions, or Yeonhaengrok (燕行錄). Having shared the strong animosity t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Hwang Jae (黃梓)’s perception of central efflorescence (中華, Zhonghua) by surveying his tribute missions to Beijing and his records of the missions, or Yeonhaengrok (燕行錄). Having shared the strong animosity toward Qing China with Noron Cheongryu (老論 淸流) even before his tribute missions, Hwang highlighted the negative aspects of Qing and repeatedly found the signs of Qing’s decline in his travel records. In the process of recording his missions, Hwang selectively reconstructed various facts and hearsay, filtered through his own lens of viewpoint. Hwang’s pejorative perception of Qing China was shared by the royal court of Joseon Korea as well as other intellectuals. Hwang’s records illustrate the fact that Yeonhaengrok functioned as vehicles that disseminated particular sets of evaluation of central efflorescence in the 18<sup>th</sup> century Korean society, rather than as mere personal records of trave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2 임영길, "조선후기 연행록에서 북경 ‘西山’의 의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7 (57): 205-240, 2018

      3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일지사 1998

      4 후마 스스무, "조선연행사와 조선통신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5 안대회,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9) : 87-121, 2010

      6 계승범, "정지된 시간: 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7 거자오광, "이역을 상상하다: 조선 연행사절단의 연행록을 중심으로" 그물 2019

      8 Jahyun Kim Haboush, "왕이라는 유산" 너머북스 2017

      9 연갑수, "영조대 對淸使行의 운영과 對淸關係에 대한 인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29-63, 2010

      10 임기중, "연행록연구층위" 학고방 2014

      1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2 임영길, "조선후기 연행록에서 북경 ‘西山’의 의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7 (57): 205-240, 2018

      3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일지사 1998

      4 후마 스스무, "조선연행사와 조선통신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5 안대회,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9) : 87-121, 2010

      6 계승범, "정지된 시간: 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7 거자오광, "이역을 상상하다: 조선 연행사절단의 연행록을 중심으로" 그물 2019

      8 Jahyun Kim Haboush, "왕이라는 유산" 너머북스 2017

      9 연갑수, "영조대 對淸使行의 운영과 對淸關係에 대한 인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29-63, 2010

      10 임기중, "연행록연구층위" 학고방 2014

      11 김백철, "두 얼굴의 영조: 18세기 탕평군주상의 재검토" 태학사 2014

      12 황재, "국역 경오연행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13 신로사, "국역 갑인연행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14 황재, "국역 갑인연행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15 마크 C. 엘리엇, "건륭제" 천지인 2012

      16 황재, "갑인연행별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17 신로사, "黃梓의 甲寅․庚午 연행록에 관한 고찰-雍正․乾隆 연간의 정세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52) : 91-124, 2013

      18 임현채, "英祖代 朝鮮人 범월사건 처리방침을 통해 본 朝鮮의 對淸 태도" 명청사학회 (48) : 503-534, 2017

      19 "畢依齋遺稿"

      20 "甲寅燕行錄"

      21 "甲寅燕行別錄"

      22 조민우, "燕行錄의 死角: 의도된 省略과 縮小 – 이상적의 연행기록과 해당 연행록 비교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82) : 197-222, 2018

      23 "燕行日記"

      24 "熱河日記"

      25 藤塚鄰, "淸朝文化東傳の硏究" 國書刊行會 1975

      26 "淸實錄"

      27 "淸史稿" 中華書局 1975

      28 "浦渚年譜"

      29 "朝鮮王朝實錄"

      30 丁晨楠, "明淸時代朝鮮의 중국정보 수집: ‘新聞類소식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8

      31 "承政院日記"

      32 "庚午燕行錄"

      33 남호현, "『熱河日記』 黃敎 관련 서술을 통해 본 박지원의 淸朝 인식" 한국학연구소 (65) : 145-173, 2018

      34 진재교, "‘燕行錄’과 知識・情報 ― 지식・정보의 수집과 기록방식" 대동문화연구원 (97) : 45-80, 2017

      35 BOWEI ZHANG, "‘燕行錄’ 및 관련 문헌의 ‘眞實性’ 문제 初探" 대동문화연구원 (97) : 9-44, 2017

      36 노대환, "19세기 전반 지식인의 對淸危機認識과 北學論의 변화" 학고방 2014

      37 백옥경, "18세기 연행사의 정보수집활동" 명청사학회 (38) : 201-229, 2012

      38 김현미, "18세기 연행록의 전개와 특성" 혜안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2 1.92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