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승선공인을 받지 않은 선장의 지위와 책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si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Skipper on Board without official approv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8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hereafter "KMST") judged that a skipper must not perform his duties when he boarded the ship without official approval even if he holds the relevant certificate of competency. Therefore the KMST also judged that the ship is operated by an unqualified seafarer if the ship is maneuvered by a skipper who boarded the ship without official approval.
      But even if the KMST judged that the skipper is unqualified, they imposed administrative punishment on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for skippers. But in several similar cases, some local Maritime Safety Tribunal did not impose administrative punishment on the skipper's certificate of competency, and they just impose recommendations upon the skipper. And also there is arguments on the cases which the guilty skipper possess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for “operators of small ships” and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for “6th class mates” and the KMST imposed administrative punishment on all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Though there is necessity for such administrative measure, but as there is no legal basis on that, it should to be authorized by legislation.
      This paper reviewed concerning laws and regulations, and understand that if the skipper holds the relevant certificate of competency and had performed his duties, the KMST must admit that he is the skipper of the ship and impose administrative punishment on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even if he boarded the ship without official approval
      번역하기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hereafter "KMST") judged that a skipper must not perform his duties when he boarded the ship without official approval even if he holds the relevant certificate of competency. Therefore the KMST also judged that the...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hereafter "KMST") judged that a skipper must not perform his duties when he boarded the ship without official approval even if he holds the relevant certificate of competency. Therefore the KMST also judged that the ship is operated by an unqualified seafarer if the ship is maneuvered by a skipper who boarded the ship without official approval.
      But even if the KMST judged that the skipper is unqualified, they imposed administrative punishment on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for skippers. But in several similar cases, some local Maritime Safety Tribunal did not impose administrative punishment on the skipper's certificate of competency, and they just impose recommendations upon the skipper. And also there is arguments on the cases which the guilty skipper possess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for “operators of small ships” and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for “6th class mates” and the KMST imposed administrative punishment on all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Though there is necessity for such administrative measure, but as there is no legal basis on that, it should to be authorized by legislation.
      This paper reviewed concerning laws and regulations, and understand that if the skipper holds the relevant certificate of competency and had performed his duties, the KMST must admit that he is the skipper of the ship and impose administrative punishment on the certificates of competency, even if he boarded the ship without official approv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해양안전심판원에서는 비록 유효한 해기사 면허를 소지하였다고 할지라도 「선원법」에따라 “승선공인을 받지 않은 어선 등의 선장은 해당 선박직원의 직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태도를 견지해 왔다. 따라서 해양안전심판원은 유효한 면허가 있더라도 승선공인을 받지 않고 사고 선박에서 선장 직무를 수행하던 자를 “무자격 선원”으로 보고 “사고 당시 이 선박은 무자격자에 의해 운항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장 직무를 수행하던 자가 소지한 해기사 면허에 대하여 업무정지 등의 행정처분을 한 경우와 해기사 면허에 대한 행정처분을 하지 않고 단지 개선을 권고하는 재결을 한 경우로 나누어져 문제가 되었다. 특히 승선공인은 받지 않았으나 해양사고관련자가 소형선박 조종사 면허를 행사하여 소형선박 선장의 직무를 수행하던 중 항해과실로 해양사고를 야기한 경우, 해양사고관련자가 가진 6급 항해사 면허에도 행정처분을 한 사례가 있어 논란을 일으켰다. 이러한 복수의 면허에 대한 행정처분은 그 필요성이 인정되기도 하나 법률적 근거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관련 규정들과 법원의 태도 등을 고려할 때 비록 승선공인이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도 그가 유효한 면허를 소지하고 실질적으로 선장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었다면 선장으로서의 지위를 인정하고, 그 책임을 물어 해당 면허에 대한 행정처분을 내리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그동안 해양안전심판원에서는 비록 유효한 해기사 면허를 소지하였다고 할지라도 「선원법」에따라 “승선공인을 받지 않은 어선 등의 선장은 해당 선박직원의 직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

      그동안 해양안전심판원에서는 비록 유효한 해기사 면허를 소지하였다고 할지라도 「선원법」에따라 “승선공인을 받지 않은 어선 등의 선장은 해당 선박직원의 직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태도를 견지해 왔다. 따라서 해양안전심판원은 유효한 면허가 있더라도 승선공인을 받지 않고 사고 선박에서 선장 직무를 수행하던 자를 “무자격 선원”으로 보고 “사고 당시 이 선박은 무자격자에 의해 운항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장 직무를 수행하던 자가 소지한 해기사 면허에 대하여 업무정지 등의 행정처분을 한 경우와 해기사 면허에 대한 행정처분을 하지 않고 단지 개선을 권고하는 재결을 한 경우로 나누어져 문제가 되었다. 특히 승선공인은 받지 않았으나 해양사고관련자가 소형선박 조종사 면허를 행사하여 소형선박 선장의 직무를 수행하던 중 항해과실로 해양사고를 야기한 경우, 해양사고관련자가 가진 6급 항해사 면허에도 행정처분을 한 사례가 있어 논란을 일으켰다. 이러한 복수의 면허에 대한 행정처분은 그 필요성이 인정되기도 하나 법률적 근거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관련 규정들과 법원의 태도 등을 고려할 때 비록 승선공인이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도 그가 유효한 면허를 소지하고 실질적으로 선장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었다면 선장으로서의 지위를 인정하고, 그 책임을 물어 해당 면허에 대한 행정처분을 내리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석, "행정심판과 해양안전심판의 인적 요소에 대한 비교 고찰" 법학연구소 58 (58): 1-23, 2017

      2 이상일, "해양안전심판과 국민의 권리구제에 관한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24 (24): 87-116, 2012

      3 서동희,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과 관련한 약간의 검토" 해상보험법연구회 2 : 2006

      4 박영선, "해양사고에 따른 선원의 행정제재 개선방안 - 헌법상 이중처벌금지 원칙을 중심으로 -" 한국해사법학회 26 (26): 101-124, 2014

      5 김호기, "재난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야기자에 대한 중한 형의 부과를 통한 재난예방 가능성: 사회적/기술적 시스템에서의 위험지배의 구조와 형법의 역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37, 2014

      6 권창영, "선원법 판례연구(9) ; 승선․하선의 공인" 월간 해양한국 2015

      7 박성호, "선박운항관리에 대한 선장의 법적책임에 관한 소고"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2017): 2017

      8 전영우, "船舶의 安全乘務基準에 관한 考察 - 沿岸商船을 중심으로 -" 한국해사법학회 23 (23): 55-78, 2011

      9 박영선, "「선박직원법」의 행정처분 규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해사법학회 20 (20): 291-316, 2008

      1 정영석, "행정심판과 해양안전심판의 인적 요소에 대한 비교 고찰" 법학연구소 58 (58): 1-23, 2017

      2 이상일, "해양안전심판과 국민의 권리구제에 관한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24 (24): 87-116, 2012

      3 서동희,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과 관련한 약간의 검토" 해상보험법연구회 2 : 2006

      4 박영선, "해양사고에 따른 선원의 행정제재 개선방안 - 헌법상 이중처벌금지 원칙을 중심으로 -" 한국해사법학회 26 (26): 101-124, 2014

      5 김호기, "재난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야기자에 대한 중한 형의 부과를 통한 재난예방 가능성: 사회적/기술적 시스템에서의 위험지배의 구조와 형법의 역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25): 1-37, 2014

      6 권창영, "선원법 판례연구(9) ; 승선․하선의 공인" 월간 해양한국 2015

      7 박성호, "선박운항관리에 대한 선장의 법적책임에 관한 소고"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2017): 2017

      8 전영우, "船舶의 安全乘務基準에 관한 考察 - 沿岸商船을 중심으로 -" 한국해사법학회 23 (23): 55-78, 2011

      9 박영선, "「선박직원법」의 행정처분 규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해사법학회 20 (20): 291-316,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586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