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이주 필리핀여성의 한국에서 반평생 살아가기 생애사 = Marriage Migrant Filipino Woman’s Half-Life Stor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632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he life history of Filipino marriage migrant woman’s half-life in Korea. For data analysis, Rosenthal’s narrative- life history analysis 5 steps were appli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loved and married a Korean man in his twenties in spite of big age difference, but she became a victim of the IMF financial crisis in the year she moved to Korea. She lost her husband because of diabetes, remained her alone, has lived in Korea for 23 years. But she lost her stable job due to American policy and the fault of her own judgment. In the environment of the Corona-19 pandemic, restaurants that opened due to successive errors of judgment are also very hard to earn money. However, she is working hard to make more money in a safe Korea and build her stable base so she can live after her retirement in her home country, the Philippines. She has a strong religious belief and a secure support system in the background of her life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reality.
      As suggestions of the study, the need to support the recovery of the religious community by the quick end of the corona-19 pandemic, the need to establish a social safety net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left alone without a family, and the experience delivery network between the first and subsequent generations of marriage immigrant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the life history of Filipino marriage migrant woman’s half-life in Korea. For data analysis, Rosenthal’s narrative- life history analysis 5 steps were appli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loved and...

      This study is the life history of Filipino marriage migrant woman’s half-life in Korea. For data analysis, Rosenthal’s narrative- life history analysis 5 steps were appli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loved and married a Korean man in his twenties in spite of big age difference, but she became a victim of the IMF financial crisis in the year she moved to Korea. She lost her husband because of diabetes, remained her alone, has lived in Korea for 23 years. But she lost her stable job due to American policy and the fault of her own judgment. In the environment of the Corona-19 pandemic, restaurants that opened due to successive errors of judgment are also very hard to earn money. However, she is working hard to make more money in a safe Korea and build her stable base so she can live after her retirement in her home country, the Philippines. She has a strong religious belief and a secure support system in the background of her life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reality.
      As suggestions of the study, the need to support the recovery of the religious community by the quick end of the corona-19 pandemic, the need to establish a social safety net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left alone without a family, and the experience delivery network between the first and subsequent generations of marriage immigrant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에서 반평생 살아가기에 대한 생애사를 로젠탈의 내러티브 분석 5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는 20대의 순수한 마음으로 나이 차이가 많은 한국인 남자와 서로 사랑하여 결혼하였으나 한국으로 이주한 해에 IMF외환위기의 희생자가 되었다. 필리핀에서 시작한 신혼생활에서부터 당뇨병이 있었던 남편은 IMF외환위기의 와중에 병이 심해져 사망했다. 연구참여자는 병으로 남편을 잃고 이 땅에서 23년째 살아가고 있으며 미군기지에서의 전문적이고 안정된 직장을 미국의 정책과 자신의 판단 착오로 잃었다. 연이은 판단 착오로 개업한 식당도 코로나 팬데믹의 환경에서 경영상태가 매우 부진하다. 그러나 그녀는 한국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긴다. 그리고 필리핀에 비해 가장 차별되는 장점으로 안전을 꼽는다. 치안이 좋은 한국에서 더 많은 돈을 벌어 안정된 기반을 구축한 후 형제가 있는 필리핀에서 노후를 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녀의 삶의 배경에는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절대자에 대한 종교적 신념을 강하고 안전한 지지체계로 가지고 있다. 연구의 제안점으로, 조속한 코로나의 종식으로 종교공동체의 회복을 지원해야 한다는 점과, 가족없이 홀로남은 결혼이주여성에게 사회적안전망의 수립이 필요한 점과, 결혼이주1세대와 이후 세대간의 경험전달네트워크 구축지원이 필요한 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에서 반평생 살아가기에 대한 생애사를 로젠탈의 내러티브 분석 5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는 20대의 순수한 마음으...

      이 연구는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에서 반평생 살아가기에 대한 생애사를 로젠탈의 내러티브 분석 5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는 20대의 순수한 마음으로 나이 차이가 많은 한국인 남자와 서로 사랑하여 결혼하였으나 한국으로 이주한 해에 IMF외환위기의 희생자가 되었다. 필리핀에서 시작한 신혼생활에서부터 당뇨병이 있었던 남편은 IMF외환위기의 와중에 병이 심해져 사망했다. 연구참여자는 병으로 남편을 잃고 이 땅에서 23년째 살아가고 있으며 미군기지에서의 전문적이고 안정된 직장을 미국의 정책과 자신의 판단 착오로 잃었다. 연이은 판단 착오로 개업한 식당도 코로나 팬데믹의 환경에서 경영상태가 매우 부진하다. 그러나 그녀는 한국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긴다. 그리고 필리핀에 비해 가장 차별되는 장점으로 안전을 꼽는다. 치안이 좋은 한국에서 더 많은 돈을 벌어 안정된 기반을 구축한 후 형제가 있는 필리핀에서 노후를 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녀의 삶의 배경에는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절대자에 대한 종교적 신념을 강하고 안전한 지지체계로 가지고 있다. 연구의 제안점으로, 조속한 코로나의 종식으로 종교공동체의 회복을 지원해야 한다는 점과, 가족없이 홀로남은 결혼이주여성에게 사회적안전망의 수립이 필요한 점과, 결혼이주1세대와 이후 세대간의 경험전달네트워크 구축지원이 필요한 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숙, "화교노인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해 본 화교의 정체성"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179-202, 2012

      2 오경석, "한국의 다문화주의: 특징과 과제" 이주사학회 1 : 9-32, 2009

      3 김정석, "필리핀 국제결혼여성의 이주흐름" 한국인구학회 32 (32): 127-144, 2009

      4 강영미,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자기 복원’ 생애사-로젠탈의 내러티브 분석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9 (9): 108-136, 2015

      5 김현경,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결혼생활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519-535, 2008

      6 김정선, "필리핀 결혼 이주 여성의 귀속(Belonging)의 정치학" 21 : 4274-4231, 2010

      7 이효선, "질적 연구에 의한 한국 노인들의 삶의 이해" 한국노인복지학회 (31) : 69-96, 2006

      8 민성은, "생애사 연구를 위한 효과적인 자료 분석 방법 탐구" 과학교육연구소 54 (54): 621-638, 2015

      9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10 Bauman, Zygmunt, "모두스 비벤디: 유동하는 세계의 지옥과유토피아" 후마니타스 2010

      1 김영숙, "화교노인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해 본 화교의 정체성"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179-202, 2012

      2 오경석, "한국의 다문화주의: 특징과 과제" 이주사학회 1 : 9-32, 2009

      3 김정석, "필리핀 국제결혼여성의 이주흐름" 한국인구학회 32 (32): 127-144, 2009

      4 강영미,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자기 복원’ 생애사-로젠탈의 내러티브 분석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9 (9): 108-136, 2015

      5 김현경,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결혼생활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519-535, 2008

      6 김정선, "필리핀 결혼 이주 여성의 귀속(Belonging)의 정치학" 21 : 4274-4231, 2010

      7 이효선, "질적 연구에 의한 한국 노인들의 삶의 이해" 한국노인복지학회 (31) : 69-96, 2006

      8 민성은, "생애사 연구를 위한 효과적인 자료 분석 방법 탐구" 과학교육연구소 54 (54): 621-638, 2015

      9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10 Bauman, Zygmunt, "모두스 비벤디: 유동하는 세계의 지옥과유토피아" 후마니타스 2010

      11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 관련 통계 현황 2020"

      12 지영임, "다문화 연구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론의 활용과 가치" 3 (3): 79-97, 2014

      13 한경구, "다문화 사회의 이해: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전망" 동녘 2008

      14 양영자,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 -재독한인노동이주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271-298, 2013

      15 김희주,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을 위한 대처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33-66, 2007

      16 Saleebey, 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 Extensions and Cautions" 41 (41): 296-305, 1996

      17 Wang, Hong-zen, "The Commodific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s : Cross-Border Marriage Business in Taiwan and Viet Nam" 40 (40): 93-116, 2002

      18 Castles, Stephen,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Macmillan 1998

      19 Robinson, K, "Marriage Migration, Gender Transformations, and Family Values in the ‘Global Ecumene" 14 (14): 483-497, 2007

      20 김동엽, "Intermarriage Migration and Transnationalism: Filipina Wives in South Korea" 아세안연구원 5 (5): 107-150, 2013

      21 Rosenthal, Gabriele, "Die Erforschung Kollektiver Und Individueller Dynamik. Zu Einer Historisch Und Prozess-Soziologisch Orientierten Interpretativen Sozialforschung" 17 (17): 12-21, 2016

      22 Piper, Nicola, "Bridging Gender, Migration and Governance : Theoretical Possibilities in the Asian Context" 12 (12): 21-48, 2003

      23 Asis, Maruja MB, "Being Church for Migrants: The Catholic Church and the Care of Migrants in As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5-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한상문화연구단 ->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영문명 : Reseach Group for Global Korean Business & Culture -> Center for Global Diaspora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5 1.433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