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생학습 관련변인들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ifelong Learning Variables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1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lifelong learning for middle-aged women should be expanded to help middle-aged women understand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restore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s th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in social activities is expanding,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learning,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lifelong learning among middle-aged women.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life of middle-aged wome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lifelong learning variables such as lifelong learning competenc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se three lifelong learning. And that it has a causal influence. Based on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 model, we extracted the relev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a resul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were directly influenced. Was found to be indirectly influenced by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shows that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ffects positive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middle-aged women are not effective in recognizing the quality of life if they do not feel satisfied by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ctive support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o increas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and increase satisfaction with learning outcomes in runn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번역하기

      Research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lifelong learning for middle-aged women should be expanded to help middle-aged women understand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restore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s th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

      Research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lifelong learning for middle-aged women should be expanded to help middle-aged women understand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restore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s th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in social activities is expanding,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learning,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lifelong learning among middle-aged women.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life of middle-aged wome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lifelong learning variables such as lifelong learning competenc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se three lifelong learning. And that it has a causal influence. Based on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 model, we extracted the relev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a resul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were directly influenced. Was found to be indirectly influenced by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shows that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ffects positive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middle-aged women are not effective in recognizing the quality of life if they do not feel satisfied by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ctive support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o increas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and increase satisfaction with learning outcomes in runn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년여성들이 정체성을 이해하고 정립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중년여성들의 사회활동 참여가 확대됨에 따라 평생학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지만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역량, 평생학습 참여동기, 평생학습만족도 등 평생학습 관련변인에 따라 중년여성의 삶의 인지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세 가지 평생학습 관련변인들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지에 상호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가설적 인과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을 추출하고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평생학습역량은 참여동기와 만족도를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평생학습활동에의 참여는 중년여성들의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년여성들이 실제 평생학습활동에 참여하여 만족도를 느끼지 못한다면 삶의 질을 인지하는 데 있어서는 효과가 없는 것 또한 사실로 판명되었다.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는 평생학습에의 참여동기를 부여해주고 학습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중년여성들이 정체성을 이해하고 정립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

      중년여성들이 정체성을 이해하고 정립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중년여성들의 사회활동 참여가 확대됨에 따라 평생학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지만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역량, 평생학습 참여동기, 평생학습만족도 등 평생학습 관련변인에 따라 중년여성의 삶의 인지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세 가지 평생학습 관련변인들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지에 상호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가설적 인과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을 추출하고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평생학습역량은 참여동기와 만족도를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평생학습활동에의 참여는 중년여성들의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년여성들이 실제 평생학습활동에 참여하여 만족도를 느끼지 못한다면 삶의 질을 인지하는 데 있어서는 효과가 없는 것 또한 사실로 판명되었다.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는 평생학습에의 참여동기를 부여해주고 학습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엽, "평생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시론적 접근" 원격교육연구소 5 (5): 123-146, 2009

      2 이경태,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원 17 (17): 97-132, 2010

      3 N. Rescher., "Welfare : The Social Issues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Pittsburgh Press 1972

      4 D. J. Levinson, "The seasons in a man's life" Knopf 1978

      5 C. D. Houle, "The inquiring mind :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University of Wiscousin Press 1961

      6 Seon-Young, Jeon, "The influence of character of adult learn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 o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 Mediator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Dong-A University 2012

      7 Jae-Eun, Kim,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Jongminsa 1983

      8 Bok-Soo, Jeong, "The Impact of Rural Women`s Leisure Activities upon Self-esteemed Feeling and Living Quality" Chung-Ang University 2007

      9 Han-Gyeung, Kwon,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Life as Recognized by the Middle Aged Women on the Self Esteem and Satisfaction of Life" Yeungnam University 2011

      10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95 (95): 542-562, 1984

      1 김창엽, "평생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시론적 접근" 원격교육연구소 5 (5): 123-146, 2009

      2 이경태,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원 17 (17): 97-132, 2010

      3 N. Rescher., "Welfare : The Social Issues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Pittsburgh Press 1972

      4 D. J. Levinson, "The seasons in a man's life" Knopf 1978

      5 C. D. Houle, "The inquiring mind :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University of Wiscousin Press 1961

      6 Seon-Young, Jeon, "The influence of character of adult learn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 o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 Mediator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Dong-A University 2012

      7 Jae-Eun, Kim,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Jongminsa 1983

      8 Bok-Soo, Jeong, "The Impact of Rural Women`s Leisure Activities upon Self-esteemed Feeling and Living Quality" Chung-Ang University 2007

      9 Han-Gyeung, Kwon,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Life as Recognized by the Middle Aged Women on the Self Esteem and Satisfaction of Life" Yeungnam University 2011

      10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95 (95): 542-562, 1984

      11 Yeong-Jong, Kim, "Quality of Life and Public Services" 9 (9): 161-183, 1997

      12 Eun-Seon, Jeon,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n lifelong learning competence of lifelong learners" Dong-Eui University 2012

      13 Hye-Seon, Kang, "Desire and behavior of middle class middle aged women in lifelong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2012

      14 Hey-Seop, Lim, "Conceptual discussion of quality of life" 5 (5): 5-18, 1996

      15 Sook-Kyung, Lim, "An SEM Analysis on Participation Outcomes and Effect Factors of Female Adult Learners" Dong-A University 2007

      16 Yeon-Ha, Park, "A Study on the Learning Patterns of Middle-Aged Women in the Life Context" Dankook University 2006

      17 Kyeong-ok, Han, "A Study on Middle-Aged Women’s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Dong-Eui University 2014

      18 UNESCO, "50 Year for Edu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