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도시 브랜드화: 장소의 시각 문화적 의미 = UK City Branding: Visual Cultural Meaning of the Pl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39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development of city branding in a number of cities across the UK. City branding has developed over the late part of the 20th century as a means to change both outsider's and residents' perception and opinion of a city.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UK, it specifically analyses three cities: London; the UK's capital city, Manchester: the first industrial city, and Glasgow; the largest ship maker in the world pre-war. The research examines how the city organizers: mayors and council leaders, cooperating with city residents and workers have had to develop ways to keep their city relevant for its continued existence post-industrialisation. The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ities, and how the visual image of the city is being superimposed to branding, creating brand recognition that promotes and establishes a cultural meaning of the place.
      The paper concludes that UK city branding tries to represent what is perceived as the philosophies present in the city, appropriated as a brand to turn the city into a product for consumption to the wider public.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plores the development of city branding in a number of cities across the UK. City branding has developed over the late part of the 20th century as a means to change both outsider's and residents' perception and opinion of a city. This...

      This research explores the development of city branding in a number of cities across the UK. City branding has developed over the late part of the 20th century as a means to change both outsider's and residents' perception and opinion of a city.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UK, it specifically analyses three cities: London; the UK's capital city, Manchester: the first industrial city, and Glasgow; the largest ship maker in the world pre-war. The research examines how the city organizers: mayors and council leaders, cooperating with city residents and workers have had to develop ways to keep their city relevant for its continued existence post-industrialisation. The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ities, and how the visual image of the city is being superimposed to branding, creating brand recognition that promotes and establishes a cultural meaning of the place.
      The paper concludes that UK city branding tries to represent what is perceived as the philosophies present in the city, appropriated as a brand to turn the city into a product for consumption to the wider publ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영국의 도시 브랜드화의 과정과 발전에 대한 것으로, 20세기 후반부터 진행된 도시 브랜드화가 어떻게 도시의 거주민과 외부인의 인식 변화를 촉구하며 변모하였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1.2 차 세계대전 이후 약 70년 동안 영국이라는 국가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밝히며, 그 과정에서 각 도시의 기획자들인 시장, 시의회 위원들은 어떠한 계획을 세우며 도시브랜드화 전략에 힘썼는지를 연구한다. 이에 영국의 수도이자 국제적 도시인 런던, 산업혁명의 발생지이자 공업도시인 맨체스터, 스코틀랜드의 제 2의 도시이자 문화수도인 글래스고라는 세 도시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하며, 이 도시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각각의 도시들은 계획, 전략, 캠페인을 통해 도시브랜드화에 힘썼으며, 이를 통해 도시라는 공간이 시각적인 이미지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도시민과 노동자들과의 협업을 통하여 어떻게 도시가 변화 발전하였는지 도시 이미지의 시각 문화적 의미를 통해 심도 있게 다루며, 영국 도시 브랜드화는 도시의 거주민 뿐 아니라 외부인이 도시를 방문하게 하는 도시소비, 상품화의 기재도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역사, 정치, 문화, 사회적인 결합과 그에 따른 랜드마크의 형성 및 정체성의 확립, 그리고 그것의 프로모션과정 및 결과가 따르는 복합과정임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 <영국 도시 브랜드화: 장소의 시각 문화적 의미>는 영국의 세 도시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시 브랜드화는 도시 기획자의 노력뿐 아니라 이에 참여하는 도시 거주민, 그리고 도시를 방문하는 외부인들의 노력 등의 모든 과정을 통하여 통합 발전하는 것임을 도시 브랜드화의 다양한 시각, 문화적 의미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영국의 도시 브랜드화의 과정과 발전에 대한 것으로, 20세기 후반부터 진행된 도시 브랜드화가 어떻게 도시의 거주민과 외부인의 인식 변화를 촉구하며 변모하였는지를 고찰한다....

      본 논문은 영국의 도시 브랜드화의 과정과 발전에 대한 것으로, 20세기 후반부터 진행된 도시 브랜드화가 어떻게 도시의 거주민과 외부인의 인식 변화를 촉구하며 변모하였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1.2 차 세계대전 이후 약 70년 동안 영국이라는 국가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밝히며, 그 과정에서 각 도시의 기획자들인 시장, 시의회 위원들은 어떠한 계획을 세우며 도시브랜드화 전략에 힘썼는지를 연구한다. 이에 영국의 수도이자 국제적 도시인 런던, 산업혁명의 발생지이자 공업도시인 맨체스터, 스코틀랜드의 제 2의 도시이자 문화수도인 글래스고라는 세 도시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하며, 이 도시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각각의 도시들은 계획, 전략, 캠페인을 통해 도시브랜드화에 힘썼으며, 이를 통해 도시라는 공간이 시각적인 이미지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도시민과 노동자들과의 협업을 통하여 어떻게 도시가 변화 발전하였는지 도시 이미지의 시각 문화적 의미를 통해 심도 있게 다루며, 영국 도시 브랜드화는 도시의 거주민 뿐 아니라 외부인이 도시를 방문하게 하는 도시소비, 상품화의 기재도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역사, 정치, 문화, 사회적인 결합과 그에 따른 랜드마크의 형성 및 정체성의 확립, 그리고 그것의 프로모션과정 및 결과가 따르는 복합과정임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 <영국 도시 브랜드화: 장소의 시각 문화적 의미>는 영국의 세 도시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시 브랜드화는 도시 기획자의 노력뿐 아니라 이에 참여하는 도시 거주민, 그리고 도시를 방문하는 외부인들의 노력 등의 모든 과정을 통하여 통합 발전하는 것임을 도시 브랜드화의 다양한 시각, 문화적 의미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innie, Keith, Palgrave Mcmillan 2011

      2 Gosling, Emily, "V&A brings in Ben Kelly to work on British Design exhibition"

      3 "Urban Splash"

      4 Montgomery, John, "Upwave: City Dynamics and the Coming Capitalist Revival" Ashgate Publishing Ltd 2011

      5 "University Network of European Capitals of Culture"

      6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7 Ashworth, Gregory, "Towards Effective Place Brand Management: Branding European Cities and Regions" Edward Elgar Publishing Ltd 2010

      8 Urry, John, "The Tourist Gaze" SAGE Publications 2002

      9 Sterns, Pe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World History" Westview Press 2013

      10 Lynch, Kevin, "The Image of the City" The Technology Press &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1 Dinnie, Keith, Palgrave Mcmillan 2011

      2 Gosling, Emily, "V&A brings in Ben Kelly to work on British Design exhibition"

      3 "Urban Splash"

      4 Montgomery, John, "Upwave: City Dynamics and the Coming Capitalist Revival" Ashgate Publishing Ltd 2011

      5 "University Network of European Capitals of Culture"

      6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7 Ashworth, Gregory, "Towards Effective Place Brand Management: Branding European Cities and Regions" Edward Elgar Publishing Ltd 2010

      8 Urry, John, "The Tourist Gaze" SAGE Publications 2002

      9 Sterns, Pe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World History" Westview Press 2013

      10 Lynch, Kevin, "The Image of the City" The Technology Press &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11 Hook, Peter, "The Hacienda: How Not to Run a Club" Simon & Schuster UK 2009

      12 MacInnes, John, "The Deindustrialisation of Glasgow" (Spring issue 11) : 1995

      13 "Tate Organisation"

      14 Vogel, Carol, "Tate Modern Expansion Is the Cost of Success"

      15 "Princeton University"

      16 Olympics, "Opening Ceremony-London Olympic 2012"

      17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18 Lloyd, Isabel, "Mr. Poots Reinvents Manchester"

      19 Stevens, Andrew, "Mayor of the Month for September 2012 Boris Johnson Mayor of London"

      20 "Marketing Manchester"

      21 Haslam, D, "Manchester, England: The Story of the Pop Cult City" Harper Collins 2003

      22 "Manchester International Festival"

      23 "John Struthers Advertising man credited with devising the famous Glasgow's Miles Better campaign"

      24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5 "Glasgow unveils £1.5m rebranding"

      26 "Glasgow City Council"

      27 "Glasgow Chamber of Commerce"

      28 Morgan, Nigel, "Destination Brands- Managing Place Reputation" Butterworth-Heineman 2011

      29 King, Emily, "Designed By Peter Savill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03

      30 Ebert, Roger, "Danny Boyle’s London Olympics opening ceremony is gob-smacking"

      31 Chernatony, Leslie De, "Creating Powerful Brands" Butterworth-Heinemann 2003

      32 "Commonwealth Games Federation"

      33 "City of London"

      34 Manheim, J. B., "Changing national images: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and media agenda setting" 78 : 1984

      35 Morgan, Kenneth, "Britain Since 1945: The People's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6 "Association of Leading Visitor Attractions"

      37 Lyall, Sarah, "A Five-Ring Opening Circus, Weirdly and Unabashedly British"

      38 "'People Make Glasgow' unveiled as new city bran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0.77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