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구성요소 및 교육적 의미 탐색 = A Inquiry into the Feat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Play Culture in Cooperative Child C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6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play culture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Cooperative Child Care. Play culture in Cooperative Child Care emphasizes the value of play, the space in which the play occ...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play culture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Cooperative Child Care.
      Play culture in Cooperative Child Care emphasizes the value of play, the space in which the play occurs, the time, and the materials used for play.
      In Cooperative Child Care, play was perceived as the prototype of living, the energy for the life, the belief of social praxis. The openness of the play space, play time and play materials are other factor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play.
      The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lived experiences of play was analyzed through the teachers' reflections about the relative contexts of free play and falk play.
      Regardless of the ambiguity of the play activity and the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argued against the various educational and potential effects and their roles in the free play activities.
      In the traditional falk play, members shared their experiences of living in the community in daily lif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play study that goes beyond developmental-based theo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동육아 구성원들이 생산한 놀이담론을 통하여 공동육아의 놀이문화를 이루는 요소와 교육적 의미를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동육아 놀이...

      본 연구는 공동육아 구성원들이 생산한 놀이담론을 통하여 공동육아의 놀이문화를 이루는 요소와 교육적 의미를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요소에는 놀이에 대한 신념, 공간, 시간, 놀이감이 포함된다. 공동육아에서 공유되는 놀이 개념은 삶의 원형, 생명의 에너지였으며 사회적 실천행위의 신념이기도 했다. 그리고 놀이 공간과 시간과 사물의 개방성은 그들의 놀이에 대한 개념이 일관되고도 고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였다. 다음으로, 놀이문화의 요소들이 작동되어 이루어지는 놀이체험의 교육적 함의를 자유놀이와 전래놀이의 맥락에서 탐색하였다. 자유놀이의 다양하고도 잠재적인 교육적 효과와 이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놀이와 학습의 경계, 진정한 교사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반성적 대화가 자유놀이의 교육적 의미였다. 또한 공동육아 구성원들은 전래놀이를 통해 공동체적 체험, 신명나는 놀이판을 체험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전래놀이가 갖는 본질적인 질문인 전통과 현대의 갈등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또 그 갈등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의 일상성의 복원을 제시함으로 전래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부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izinga,J, "호모 루덴스" 까치 1993

      2 정병호, "함께 크는 우리 아이" 또 하나의 문화 1994

      3 이부미, "함께 크는 삶의 시작" 또 하나의 문화 2006

      4 이영환, "통합과 배제의 사회정책과 담론" 함께 읽는 책 2003

      5 정은경, "유치원 유아들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6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303, 2004

      7 Cannella,G,S, "유아교육 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창지사 1997

      8 김문환, "어린이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적 참가" 1 (1): 29-36, 1997

      9 Roopnarine, J. L,, "어린이·문화·놀이:다문화에서 어린이들의 놀이" 창지사 2003

      10 Takeuchi.M, "어린이·문화·놀이-일본의 유아놀이" 창지사 2003

      1 Huizinga,J, "호모 루덴스" 까치 1993

      2 정병호, "함께 크는 우리 아이" 또 하나의 문화 1994

      3 이부미, "함께 크는 삶의 시작" 또 하나의 문화 2006

      4 이영환, "통합과 배제의 사회정책과 담론" 함께 읽는 책 2003

      5 정은경, "유치원 유아들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6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303, 2004

      7 Cannella,G,S, "유아교육 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창지사 1997

      8 김문환, "어린이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적 참가" 1 (1): 29-36, 1997

      9 Roopnarine, J. L,, "어린이·문화·놀이:다문화에서 어린이들의 놀이" 창지사 2003

      10 Takeuchi.M, "어린이·문화·놀이-일본의 유아놀이" 창지사 2003

      11 New,R.S, "어린이·문화·놀이-유아놀이에 대한 이탈리아인의 관점" 창지사 2003

      12 Roopnarine, J. L., "어린이·문화·놀이-동인도에서의 놀이" 창지사 2003

      13 Pan.H.L.W, "어린이·문화·놀이-대만의 유아놀이" 창지사 2003

      14 박승현, "상호텍스트성의 이해: 영화와 텔레비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15 한양명, "민속놀이와 민중의식" 집문당 1996

      16 조채영, "민속놀이를 통한 아동 놀이문화의 방향 모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 (2): 163-184, 2003

      17 Mills,S, "담론" 인간사랑 2001

      18 Jhonson, J. E., "놀이와 유아교육" 학지사 2001

      19 Frank, "놀이와 아동" 교육과학사 1996

      20 Pellegrini,A.D, "교육현장에서 본 아동발달 연구" 이화대학교 출판부 1995

      21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22 서덕희,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6 (6): 55-89, 2003

      23 Jo,Yong Hwan, "Understanding the boundaries of make-believe: an ethnographic case study of pretend play aming Korean children in a U.S.community. Unpublished dissertation"

      24 Bruner,J, "The culture of education" Havard University Press 1996

      25 Schwartz,T, "The acquisition of culture" 9 (9): 4-17, 1981

      26 Nicolopoulou,A, "Play,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social world: Piget, Vygotsky, and beyond" 37 (37): 259-76, 1993

      27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 Inc. 1985

      28 Griffing,P, "Encouraging dramatic play in early childhood" 38 (38): 13-22, 1983

      29 United Nations,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