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트워크텍스트분석을 통한 숲 체험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Forest Experiences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09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숲 체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 형성을 위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RISS에서 ‘체험’과 ‘숲’ 관련 키워드의 조합을 사용하여 검색하고, KCI 등재 및 등재 후보 논문 15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연도별 논문 수, 학술지 및 연구자 분석, 주제어 워드클라우드 분석, 시기별 주제어 빈도수 분석·네트워크 텍스트 분석·클러스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련 논문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나, 1~2명의 연구자가 국내 연구를 주도했고, 유아 교육 분야의 학술지에서 상당 부분의 연구가 출간됐다. 주제어 분석 결과, 연구 대상은 시기가 지남에 따라 분화됐지만, 모든 시기에서 주로 ‘유아’가 주도하고 있었다. 또한 초기에 많던 ‘(자연친화적)태도’가 줄어들고, ‘능력’과 ‘정서’가 증가하고 있었다. 시기별 NTA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아’와 ‘체험’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능력’의 영향력은 증가했지만 ‘태도’의 영향력은 낮아졌다. 클러스터 분석에서는 1시기(2001~2014) 3개 그룹, 2시기(2015~2016) 3개 그룹, 3시기(2017~2022) 2개 그룹으로 분화되면서 시기별로 그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2시기에는 유아 대상 능력 연구의 군집화 그리고 3시기에는 유아, 활동, 능력이 연결된 연구가 활발했다.
      결론 본 연구의 주요 결론 및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논문의 양은 증가하고 있으나, 연구자나 연구주제는 더 다양해져야 하고, 연구내용 역시 숲 체험효과, 유용성 그리고 태도 등이 더 고루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 유아에 집중됐던 연구는 ‘청소년’, ‘성인’, ‘전문가’로 확장되어야한다. 또한 사회현상을 반영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기술’, ‘안전’, ‘산림융복합경영’ 등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연구가 요망된다. 국내 학계가 균형적 관점을 유지하도록 유아교육 분야 숲체험 동향분석이나 연구 목적, 방법 등의 세부적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숲 체험에 대한 국내 학계의 더 많은 관심과 참여와 함께 다양한 외국의 숲 체험 동향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엄밀한 체험학습의 개념에 바탕을 둔, 기본 및 기초(숲 체험의 개념·종류·원리 등) 관련 성찰연구들이 요청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숲 체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 형성을 위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RISS에서 ‘체험’과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숲 체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 형성을 위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RISS에서 ‘체험’과 ‘숲’ 관련 키워드의 조합을 사용하여 검색하고, KCI 등재 및 등재 후보 논문 15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연도별 논문 수, 학술지 및 연구자 분석, 주제어 워드클라우드 분석, 시기별 주제어 빈도수 분석·네트워크 텍스트 분석·클러스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련 논문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나, 1~2명의 연구자가 국내 연구를 주도했고, 유아 교육 분야의 학술지에서 상당 부분의 연구가 출간됐다. 주제어 분석 결과, 연구 대상은 시기가 지남에 따라 분화됐지만, 모든 시기에서 주로 ‘유아’가 주도하고 있었다. 또한 초기에 많던 ‘(자연친화적)태도’가 줄어들고, ‘능력’과 ‘정서’가 증가하고 있었다. 시기별 NTA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아’와 ‘체험’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능력’의 영향력은 증가했지만 ‘태도’의 영향력은 낮아졌다. 클러스터 분석에서는 1시기(2001~2014) 3개 그룹, 2시기(2015~2016) 3개 그룹, 3시기(2017~2022) 2개 그룹으로 분화되면서 시기별로 그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2시기에는 유아 대상 능력 연구의 군집화 그리고 3시기에는 유아, 활동, 능력이 연결된 연구가 활발했다.
      결론 본 연구의 주요 결론 및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논문의 양은 증가하고 있으나, 연구자나 연구주제는 더 다양해져야 하고, 연구내용 역시 숲 체험효과, 유용성 그리고 태도 등이 더 고루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 유아에 집중됐던 연구는 ‘청소년’, ‘성인’, ‘전문가’로 확장되어야한다. 또한 사회현상을 반영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기술’, ‘안전’, ‘산림융복합경영’ 등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연구가 요망된다. 국내 학계가 균형적 관점을 유지하도록 유아교육 분야 숲체험 동향분석이나 연구 목적, 방법 등의 세부적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숲 체험에 대한 국내 학계의 더 많은 관심과 참여와 함께 다양한 외국의 숲 체험 동향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엄밀한 체험학습의 개념에 바탕을 둔, 기본 및 기초(숲 체험의 개념·종류·원리 등) 관련 성찰연구들이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forest experiences in order to inform future development and research direc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RISS was searched using a combination of keywords related to ‘experience’ and ‘forest’, and 158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e number by year, journal & researcher analysis, word cloud 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NTA,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relevant articles increased overall, but 1~2 researchers dominated the domestic research, with a significant proportion of public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In the keyword analysis, the research subject was fragmented over time, but overall, “infant” was dominant, and the initially dominant “attitude toward nature” was decreasing, while “ability”, “emotion” were increasing. In the NTA analysis by period, “infant”, “experience” were dominant overall, with “ability” increasing and “attitude” decreasing. The cluster analysi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eriod, with three groups in the period 1(2001-2014), three groups in the period 2(2015-2016), and two groups in the period 3(2017-2022). In particular, there was a clustering of ability studies on infants in the period 2, and studies linking infants, activities, and abilities in the period 3.
      Conclusions The mai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number of papers is increas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research topics needs to be more diverse, and the content of the research needs to be more evenly diversified in terms of forest experience effects, usefulness, and attitudes.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adolescents, adults, professionals. Also, research that reflects social phenomena is lacking, the needs of the times(technology, safety, forest complex management) should be reflected. As the domestic academia needs a balanced approa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nalyze detailed topic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various foreign forest experience trends and reflective studies based on a more rigorous concept of experiential learning, are requested.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forest experiences in order to inform future development and research direc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RISS was searched using a combination of keywords related to ‘expe...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forest experiences in order to inform future development and research direc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RISS was searched using a combination of keywords related to ‘experience’ and ‘forest’, and 158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e number by year, journal & researcher analysis, word cloud 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NTA,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relevant articles increased overall, but 1~2 researchers dominated the domestic research, with a significant proportion of public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In the keyword analysis, the research subject was fragmented over time, but overall, “infant” was dominant, and the initially dominant “attitude toward nature” was decreasing, while “ability”, “emotion” were increasing. In the NTA analysis by period, “infant”, “experience” were dominant overall, with “ability” increasing and “attitude” decreasing. The cluster analysi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eriod, with three groups in the period 1(2001-2014), three groups in the period 2(2015-2016), and two groups in the period 3(2017-2022). In particular, there was a clustering of ability studies on infants in the period 2, and studies linking infants, activities, and abilities in the period 3.
      Conclusions The mai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number of papers is increas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research topics needs to be more diverse, and the content of the research needs to be more evenly diversified in terms of forest experience effects, usefulness, and attitudes.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adolescents, adults, professionals. Also, research that reflects social phenomena is lacking, the needs of the times(technology, safety, forest complex management) should be reflected. As the domestic academia needs a balanced approa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nalyze detailed topic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various foreign forest experience trends and reflective studies based on a more rigorous concept of experiential learning, are requ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