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재연, "한국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이르는 경로분석 : 실존적 영성, 가족의 지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81-105, 2010
2 허재홍,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861-878, 2009
3 조용래, "우울과 불안증상 및 안녕감에서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 주의 자각의 역할"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1135-1154, 2009
4 이창식,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의 중재효과 - 남녀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183-213, 2004
5 이훈진, "수용(Acceptacne)이 심리적 증상,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여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9 (9): 1-23, 2009
6 박경,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 문제해결과 완벽주의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265-284, 2004
7 김현진, "범물안장애환자와 주요우울증환자 간에 인지적 형태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비교"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8 (8): 50-58, 2002
8 박준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29 (29): 611-629, 2010
9 고정민, "기분장애 환자의 스트레스와 정서반응 - 우울, 불안, 분노 반응 -"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5 (5): 113-121, 1999
1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nd statistical mmanual of mental disorder(DSM-IV)"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4
1 박재연, "한국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이르는 경로분석 : 실존적 영성, 가족의 지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81-105, 2010
2 허재홍,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861-878, 2009
3 조용래, "우울과 불안증상 및 안녕감에서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 주의 자각의 역할"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1135-1154, 2009
4 이창식,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의 중재효과 - 남녀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183-213, 2004
5 이훈진, "수용(Acceptacne)이 심리적 증상,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여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9 (9): 1-23, 2009
6 박경,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 문제해결과 완벽주의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265-284, 2004
7 김현진, "범물안장애환자와 주요우울증환자 간에 인지적 형태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비교"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8 (8): 50-58, 2002
8 박준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29 (29): 611-629, 2010
9 고정민, "기분장애 환자의 스트레스와 정서반응 - 우울, 불안, 분노 반응 -"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5 (5): 113-121, 1999
1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nd statistical mmanual of mental disorder(DSM-IV)"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4
11 Garnefski 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Psychometric Features and Prospective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s" 23 : 141-149, 2007
12 Margaret B, "Resilience in response to life stress: the effects of coping" 34 : 77-95, 2003
13 Nolen-Hoeksema S,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childhood depressive symptoms: A 5-year longitudinal study" 101 : 405-422, 1992
14 Jung SZ, "Path analysis of family variables effect on learned helplessness" 10 : 257-290, 1996
15 Garnefski 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30 : 1311-1327, 2001
16 Kraaij V, "Ne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nding and Cognitive Coping as Vulnerability Factors" 32 : 185-193, 2003
17 Beck AT, "Manual for the BDI-II, In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TX 1996
18 Abramson LY,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87 : 49-74, 1978
19 Beck AT, "Hopelessn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23 : 139-145, 1993
20 Lazarus RS,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44 : 1-21, 1993
21 Choi SW, "Developmen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Korean version" Korea 540-541, 2008
22 Synder C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te hope scale" 70 : 321-335, 1996
23 Benjamin LH, "Cognitive vulnerability-stress theories of depression: Examining affective specificity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versus anxiety in three prospective studies" 28 : 309-345, 2004
24 Kraaij V, "Cognitive cop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a longitudinal study" 6 : 275-281, 2002
25 Seifffge-Krenke I, "Causal links between stressful events, coping style, and adolescent symptomatology" 23 : 675-691, 2000
26 Park IK, "An evaluation of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the 1995-1996 editions of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19 : 460-464, 1999
27 Abela JRZ, "A Test of the Integration of the Hopelessness and Self-Esteem Theories of Depression in Schoolchildren" 27 : 519-535, 2003
28 Rhee MK,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2 - Korean Version (K - BDI): validity" 4 : 96-104, 1995
29 Cohen S,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24 : 385-396,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