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82년 솔제니친의 일본 방문과 일본의 솔제니친 수용 : 반공, 일본 공산당과 역사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8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소련의 반체제 지식인이자 유명 작가인 솔제니친의 1982년 일본 방문과 일본의 번역 수용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솔제니친을 반체제작가, 반공 작가, 수용소 작가, 지식인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일본 미디어는 솔제니친과 관련해 1969년(작가동맹 제명), 1970년(노벨문학상 수상), 1974년(솔제니친 강제추방)에 가장 많이 다루었다. 특히 일본인은 솔제니친 추방 사건에서 일본 공산당 반응을 주목했다. 솔제니친의 방일은 그의 수용소 문학뿐만 아니라 일본 인식을 고찰할 수 있는 장(場)이었다. 솔제니친은 일본에서 공산주의 체제를 비판했고 일본의 반성 없는 역사인식과 검정 교과서 왜곡을 지적했다. 그의 방일은 수용소 문학의 수용이면서 일본인이 전후, 냉전, 과거 역사와 사죄 문제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이 글은 일본의 솔제니친 초청을 통한 문화교류, 일본의 솔제니친 수용의 문화사적 의미를 다층적으로 구명(究明)하는 번역문화사연구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소련의 반체제 지식인이자 유명 작가인 솔제니친의 1982년 일본 방문과 일본의 번역 수용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솔제니친을 반체제작가, 반공 작가, 수...

      이 글은 소련의 반체제 지식인이자 유명 작가인 솔제니친의 1982년 일본 방문과 일본의 번역 수용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솔제니친을 반체제작가, 반공 작가, 수용소 작가, 지식인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일본 미디어는 솔제니친과 관련해 1969년(작가동맹 제명), 1970년(노벨문학상 수상), 1974년(솔제니친 강제추방)에 가장 많이 다루었다. 특히 일본인은 솔제니친 추방 사건에서 일본 공산당 반응을 주목했다. 솔제니친의 방일은 그의 수용소 문학뿐만 아니라 일본 인식을 고찰할 수 있는 장(場)이었다. 솔제니친은 일본에서 공산주의 체제를 비판했고 일본의 반성 없는 역사인식과 검정 교과서 왜곡을 지적했다. 그의 방일은 수용소 문학의 수용이면서 일본인이 전후, 냉전, 과거 역사와 사죄 문제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이 글은 일본의 솔제니친 초청을 통한 문화교류, 일본의 솔제니친 수용의 문화사적 의미를 다층적으로 구명(究明)하는 번역문화사연구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Soviet dissident intellectual and famous writer Solzhenitsyn’s visit to Japan in 1982 and Japanese translation acceptance. Solzhenitsyn was recognized as a anti-communist, anti-communist, camp writer, and intellectual in Japan. Japanese media covered Solzhenitsyn the most in 1969 (the expulsion of the Writers’ Alliance), 1970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and 1974 (the deportation of Solzhenitsyn. In particular, the Japanese paid attention to the reaction of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in the deportation of Solzhenitsyn. Solzhenitsyn’s visit to Japan was a place to examine not only his camp literature but also Japanese perception. Solzhenitsyn criticized the communist system in Japan and pointed out Japan’s perception of history without reflection and distortion of authorized textbooks. His visit to Japan was an acceptance of camp literature and an opportunity for the Japanese to look back on the postwar, Cold War, past history and apology issues. In short,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history of translation and culture that examin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Japan’s acceptance of Solzhenitsyn through the invitation of Solzhenitsyn.
      번역하기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Soviet dissident intellectual and famous writer Solzhenitsyn’s visit to Japan in 1982 and Japanese translation acceptance. Solzhenitsyn was recognized as a anti-communist, anti-communi...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Soviet dissident intellectual and famous writer Solzhenitsyn’s visit to Japan in 1982 and Japanese translation acceptance. Solzhenitsyn was recognized as a anti-communist, anti-communist, camp writer, and intellectual in Japan. Japanese media covered Solzhenitsyn the most in 1969 (the expulsion of the Writers’ Alliance), 1970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and 1974 (the deportation of Solzhenitsyn. In particular, the Japanese paid attention to the reaction of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in the deportation of Solzhenitsyn. Solzhenitsyn’s visit to Japan was a place to examine not only his camp literature but also Japanese perception. Solzhenitsyn criticized the communist system in Japan and pointed out Japan’s perception of history without reflection and distortion of authorized textbooks. His visit to Japan was an acceptance of camp literature and an opportunity for the Japanese to look back on the postwar, Cold War, past history and apology issues. In short,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history of translation and culture that examin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Japan’s acceptance of Solzhenitsyn through the invitation of Solzhenitsy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반체제 지식인 솔제니친과 일본
      • Ⅱ. 『수용소군도』의 번역 수용과 일본 공산당
      • Ⅲ. 솔제니친의 방일(1982)과 일본 인식
      • Ⅳ. 일본의 솔제니친 인식 : 공산주의, 역사
      • 5. 나가며
      • Ⅰ. 들어가며: 반체제 지식인 솔제니친과 일본
      • Ⅱ. 『수용소군도』의 번역 수용과 일본 공산당
      • Ⅲ. 솔제니친의 방일(1982)과 일본 인식
      • Ⅳ. 일본의 솔제니친 인식 : 공산주의, 역사
      • 5.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드워드 J. 브라운, "현대 러시아 문학사 침묵과 저항" 충북대학교출판부 2012

      2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1998

      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암 병동 1~2" 민음사 2015

      4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수용소군도: 1918~1956 문학적 탐구의 한 실험 1~6" 열린책들 1995

      5 피델 카스트로, "레볼루션 – 우리의 투쟁이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다" 미토 2004

      6 鮎川信夫, "鮎川信夫全集 8" 思潮社 1989

      7 "週刊新潮"

      8 "読売新聞"

      9 "群像"

      10 小熊英⼆, "生きて帰ってきた男――ある日本兵の戦争と戦後" 岩波書店 2015

      1 에드워드 J. 브라운, "현대 러시아 문학사 침묵과 저항" 충북대학교출판부 2012

      2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1998

      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암 병동 1~2" 민음사 2015

      4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수용소군도: 1918~1956 문학적 탐구의 한 실험 1~6" 열린책들 1995

      5 피델 카스트로, "레볼루션 – 우리의 투쟁이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다" 미토 2004

      6 鮎川信夫, "鮎川信夫全集 8" 思潮社 1989

      7 "週刊新潮"

      8 "読売新聞"

      9 "群像"

      10 小熊英⼆, "生きて帰ってきた男――ある日本兵の戦争と戦後" 岩波書店 2015

      11 "毎日新聞"

      12 "朝日新聞"

      13 "朝日ジャ-ナル"

      14 福冨建一, "日本共産党の正体" 新潮社 2019

      15 RFラジオ日本, "日本よ何処へ⾏くソルジェニーツィン滞日全記録" 原書房 1983

      16 斎藤美奈⼦, "日本の同時代小説" 岩波書店 2018

      17 "新日本文学"

      18 木村浩, "文学的ソビエト論" 岩波書店 1982

      19 "文化評論"

      20 沼野充義, "徹夜の塊 亡命文学論" 作品社 2002

      21 A·ソルジェニーツィン, "収容所群島(1)~(6)" 新潮社 1977

      22 "前衛"

      23 "中央公論"

      24 江川卓 他, "ロシア文学への招待" 三省堂 1978

      25 松戸清裕, "ソ連史" 筑摩書房 2011

      26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ソルジェニーツィンㅡ問題ー日本共産党の⾒解"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出版局 1974

      27 ロシア手帖の会, "ソルジェニーツィンを考える" 集英社 1975

      28 木村浩, "ソルジェニーツィンの眼" 文藝春秋社 1992

      29 ソルジェニツィン, "ガン病棟" 新潮社 1969

      30 ソルジェニツィン, "イワン·デニーソヴィチの一日 マトリョーナの家" 講談社 1971

      31 "すばる"

      32 "⽉刊自由⺠主"

      33 Katherine B. Feuer, "Solzhenitsyn: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Prentice Hall 1976

      34 John B. Dunlop, "Aleksandr Solzhenitsyn: Critical Essays and Documentary Materials" Macmillan Pub Co 1975

      35 양아람, "1957년 소련 작가 에렌부르그의 일본 방문과 일본의 ‘해빙’"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7) : 181-21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