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건강보험법의 개정 및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6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 상반기 건강보험 체납액(누적)은 2조 1918억원이며 4대 보험을 합친 체납액은 9조원을 넘어섰다. 현행 보험료 징수는 4대 보험을 통합하여 건보공단이 맡고 있다. 학계, 재계, 언론 등 많...

      2013년 상반기 건강보험 체납액(누적)은 2조 1918억원이며 4대 보험을 합친 체납액은 9조원을 넘어섰다. 현행 보험료 징수는 4대 보험을 통합하여 건보공단이 맡고 있다. 학계, 재계, 언론 등 많은 분야에서 건강보험의 재정악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개선되지 못하는 것은 주로 정책적인 측면이나 비용부담의 개선책에 따른 재정통합 등의 내용을 담고 있어 제도 자체의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존의 논문들에서도 여전히 정책의 변화 등 추상적인 개념에 일관하는 외 법률학자에 의한 법조개정을 검토한 바 없고 나아가 건보공단 자체의 개혁 등이 부재한 바 개선방안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핵심적인 개혁부분은 탈피해온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건보법의 제정취지에는 전반적으로 공감하면서도 동법에 대하여 끊임없는 저항과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하여 미비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어 왔음에도 이러한 비판들이 계속되는 것은 개선방향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는 현재까지의 지엽적이고 임기응변식의 단기적인 대응에 대한 한계점을 시사하며 이제까지와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에 왔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가 한다. 미래지향적인 사고에 근거하여 보다 핵심적이고 근본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비대하고 방만한 경영에 대한 제도 자체의 개혁이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책이 국민의 건강을 올바르게 지킬 수 있는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근본적 개혁 없이는 준조세적 거친 저항은 물론 국가 재정 파탄위기의 주범으로 전락할 것이다. 개선방안에서 거론한 관련 법률의 개정에 이어 건보공단의 기능을 축소하고 민영보험을 절충하는 방향으로 빠른 시일 내 개혁이 단행되어야 한다. 기본보험은 처음에는 세대주로 하고 향후 연령별로 세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건보공단의 재정확충정책의 일환으로 지원이나 소송 등으로 인한 보험료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감시기능을 활성화하고 상시 관리감독체제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는 건보공단 기능을 축소하는 것과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건보공단은 점차 노인공단으로 그 업무를 이관하여 보험료 징수로부터 벗어나야 할 것이다. 제도 개선책으로는 기본건강보험제의 시행으로 민간보험이 도입되면 불량보험이 진입하지 않도록 관리ㆍ감독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재정운용 건전성의 폭을 넓혀나가야 할 것이다. 건보공단의 유휴인력은 향후 준사법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지위향상은 물론 대우를 달리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입법추진 상황
      • Ⅲ. 개정 방안
      • Ⅳ. 결론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입법추진 상황
      • Ⅲ. 개정 방안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정원,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방안 연구" 여성연구소 21 (21): 197-235, 2011

      2 송호신, "보험약관의 교부ㆍ설명의무" 한국법학회 (37) : 319-344, 2010

      3 남선모, "민간조사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51) : 313-331, 2013

      4 박현식,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법제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51) : 333-350, 2013

      5 정희선,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사" 서울대 사회보장법 연구회 (1) : 2012

      6 김한중, "국민건강보험법의 평가와 발전방향" 한국의학원 2001

      7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과 민간보험의 협력을 통한 의료보장체계의 개선방안"

      8 최정식, "고지의무위반으로 인한 보험계약해지와 인과관계부존재에 관한 검토 (대법원, 2010. 7. 22. 선고, 2010다 25353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41) : 361-384, 2011

      9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연보(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10 "건강보험연구센터 발간자료"

      1 한정원,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방안 연구" 여성연구소 21 (21): 197-235, 2011

      2 송호신, "보험약관의 교부ㆍ설명의무" 한국법학회 (37) : 319-344, 2010

      3 남선모, "민간조사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51) : 313-331, 2013

      4 박현식,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법제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51) : 333-350, 2013

      5 정희선,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사" 서울대 사회보장법 연구회 (1) : 2012

      6 김한중, "국민건강보험법의 평가와 발전방향" 한국의학원 2001

      7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과 민간보험의 협력을 통한 의료보장체계의 개선방안"

      8 최정식, "고지의무위반으로 인한 보험계약해지와 인과관계부존재에 관한 검토 (대법원, 2010. 7. 22. 선고, 2010다 25353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41) : 361-384, 2011

      9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연보(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10 "건강보험연구센터 발간자료"

      11 "www.opc.go.kr"

      12 "www.nps.or.kr"

      13 "www.ktcu.or.kr"

      14 "www.khan.co.kr"

      15 "http://www.whitehouse.gov/healthreform"

      16 "http://www.segye.com"

      17 "http://www.nhic.or.kr"

      18 "http://www.mohw.go.kr"

      19 "http://www.kisi.org"

      20 "http://www.hospitallaw.or.kr"

      21 "http://www.hira.or.kr"

      22 "http://www.google.co.kr/url?"

      23 "http://www.4insure.or.kr"

      24 "http://news.hankooki.com"

      25 "http://news.bbc.co.uk/2/hi/8160058.stm"

      26 "Insurance Statistics Yearbook 2010"

      27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년 지역별의료이용통계연보"

      28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년 건강보험주요통계"

      29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년도 장기요양기관 평가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9-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Law Review -> Law Review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Law Review -> Korean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法學硏究 -> 법학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2 1.08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