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캠퍼스는 지역사회에서 교육기관이자 고용 창출을 하는 기관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교육기관으로서는 지역사회에 교육과 정보를 제공하며, 지역 경제 활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66966
서울 :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학위논문(석사) -- 高麗大學校 大學院 , 建築學科 建築計劃學專攻 , 2010.8
2010
한국어
서울
vii, 105장 : 삽화, 설계도 ; 26 cm
지도교수: 여영호
참고문헌: 장 10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학 캠퍼스는 지역사회에서 교육기관이자 고용 창출을 하는 기관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교육기관으로서는 지역사회에 교육과 정보를 제공하며, 지역 경제 활성...
대학 캠퍼스는 지역사회에서 교육기관이자 고용 창출을 하는 기관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교육기관으로서는 지역사회에 교육과 정보를 제공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러 인력들을 고용하기도 하지만 미래에 경제 활성화를 주도할 전문 인력인 학생들을 양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학 캠퍼스 계획은 일정한 대지 위에 단순한 건축물을 계획하는 것과는 달리 해당 도시의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도시적 성격과 건물마다의 독립성을 추구하는 건축적 요소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캠퍼스 액티비티를 적극적으로 유발하는 외부공간을 매우 중요시 한다는 의미에서 복합적인 계획인 것이다.
미국 대학 캠퍼스는 우리에게 원전(Origin)으로서의 성격뿐만 아니라 우리의 근대 시설인 대학을 서술하기 위한 비교 판단의 준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건축사의 대상으로 본다면 대학 캠퍼스는 설립 이후 오늘날까지 대부분 성장과 변화를 지속하고 있어 장소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자료 역시 대학의 역사 차원에서 대학마다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연구에 용이한 편이다. 또한 당대의 대표적 건축가들의 작품을 다수 캠퍼스 내에 포함하고 있어 건축사 연구 자료의 보고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미국 대학 캠퍼스의 대표적인 건물들의 입면을 분석하여 고려대학교 자연계 캠퍼스에 맞는 입면 디자인을 찾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