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정, "일본의 복수노조관련 부당노동행위 사례연구" 고용노동부 2012
2 최석환, "일본의 개별노동분쟁 해결시스템-재판외 분쟁해결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1
3 송강직, "일본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 개념-최고재판소 판례법리를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41) : 337-366, 2011
4 최석환, "일본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성 판단의 새로운 기준― 노사관계법 연구회의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법학회 (52) : 325-359, 2014
5 송강직, "일본 노동심판제도의 운영상의 과정과 문제점"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27) : 345-389, 2009
6 송강직, "복지사회를 위한 노동사회법과 노사관계" 중앙경제사 2014
7 강성태, "미국·일본 부당노동행위 구제명령 사례 비교연구" 중앙노동위원회 2015
8 최홍엽,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성에 대한 일본의 논의 - 2011년 최고재판소의 두 판결을 계기로 -" 법학연구원 19 (19): 461-493, 2012
9 이승욱, "노동위원회제도 발전방안 세부연구" 노동부 2009
10 이성희, "노동분쟁해결방안에 대한 국제비교 및 개선방안" 한국노사관계학회 2012
1 이정, "일본의 복수노조관련 부당노동행위 사례연구" 고용노동부 2012
2 최석환, "일본의 개별노동분쟁 해결시스템-재판외 분쟁해결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1
3 송강직, "일본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 개념-최고재판소 판례법리를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41) : 337-366, 2011
4 최석환, "일본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성 판단의 새로운 기준― 노사관계법 연구회의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법학회 (52) : 325-359, 2014
5 송강직, "일본 노동심판제도의 운영상의 과정과 문제점"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27) : 345-389, 2009
6 송강직, "복지사회를 위한 노동사회법과 노사관계" 중앙경제사 2014
7 강성태, "미국·일본 부당노동행위 구제명령 사례 비교연구" 중앙노동위원회 2015
8 최홍엽,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성에 대한 일본의 논의 - 2011년 최고재판소의 두 판결을 계기로 -" 법학연구원 19 (19): 461-493, 2012
9 이승욱, "노동위원회제도 발전방안 세부연구" 노동부 2009
10 이성희, "노동분쟁해결방안에 대한 국제비교 및 개선방안" 한국노사관계학회 2012
11 野田進, "韓国における不当解雇等の労働委員会による救済" (226) : 2008
12 菅野和夫, "雇用社会の法" 有斐閣 1996
13 菅野和夫, "新雇用社会の法" 有斐閣 2002
14 仁田道夫, "戦後期における労働委員会と労使関係:偉大なる調停者の時代" (252) : 2016
15 道幸哲也, "労組法改正と労働委員会システムの見直し" (104) : 2004
16 直井春夫, "労委制度ノート" 総合労働研究所 1998
17 労使関係法研究会, "労働組合法上の労働者性の判断基準について" 2011
18 道幸哲也, "労働組合の変貌と労使関係法" 信山社 2010
19 山川隆一, "労働紛争処理法" 弘文堂 2012
20 籾山錚吾, "労働法が目指すべきもの(渡辺章先生古稀記念)" 信山社 2011
21 荒木尚志, "労働法" 有斐閣 2013
22 菅野和夫, "労働法" 弘文堂 2012
23 濱口桂一郎, "労働局あっせん、労働審判及び裁判上の和解における雇用紛争事案の比較分析"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2015
24 諏訪康雄, "労働委員会制度の現状と課題" (252) : 2016
25 野田進, "労働委員会制度の再編に向けて" (648) : 2010
26 全国労働委 員会連絡協議会事務局, "労働委員会七〇年の歩み" 全国労働委員会連絡協議会事 2016
27 道幸哲也, "労働委員会の役割と不当労働行為法理" 日本評論社 2014
28 塚本重頼, "労働委員会-制度と手続-" 日本労働協会 1979
29 道幸哲也, "不当労働行為法理の課題" (252) : 2016
30 宮里邦雄, "不当労働行為救済制度の過去・現在・未来" (631) : 2008
31 濱口桂一郎, "不当労働行為審査制度をさかのぼる" (206) : 2004
32 河野尚子, "フランチャイジーの労組法上の労働者性" (126) : 2015